IBK기업은행, 올해 첫 캥거루본드 발행 성공 5년물 FRN·FXD, 총 4억 호주달러…올해 캥거루본드 시장 포문
김지원 기자공개 2022-03-14 07:45:25
이 기사는 2022년 03월 10일 18시2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IBK기업은행이 4억 호주달러 규모의 캥거루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IBK기업은행 자체 역대 최대 규모의 캥거루본드다. 올해 국내 발행사 중 처음으로 캥거루본드 시장을 찾아 호주달러 조달의 벤치마크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10일 IBK기업은행은 캥거루본드 발행을 위한 프라이싱(pricing)에 나섰다. 이번 발행에서는 목표 조달 금액이 최대 4억1000만 호주달러로 한정됐다. 투자자 모집 결과 IBK기업은행은 5년물 고정금리부채권(FXD)와 변동금리부채권(FRN) 발행 규모를 각각 1억2500만 호주달러, 2억8500만 호주달러로 확정했다.
가산금리(스프레드)는 호주달러 3개월 스왑금리(BBSW·Bank Bill Swap Rate)에 93bp를 더한 수준으로 결정됐다. 당초 IBK기업은행은 최초금리(IPG)로 BBSW 대비 95bp를 가산한 수준을 제시했다. 최종적으로 2bp가량 금리를 절감한 셈이다. 이에 따라 고정금리부채권 쿠폰(coupon) 금리는 3.261%로 확정됐다.
IBK기업은행은 이번 딜로 올해 국내 발행사 중 첫 캥거루본드의 스타트를 무사히 끊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잔뜩 얼어붙었던 시장 속에서 호주 발행자들의 벤치마크 수익률 안쪽에서 프라이싱을 마쳐 선방했다는 평가다.
IBK기업은행의 뒤를 이어 현대캐피탈도 캥거루본드 발행을 위한 준비를 마친 상태다. 이번 조달을 시작으로 한동안 잠잠했던 이종 통화 시장에도 국내 발행사들의 발걸음이 잦아질 전망이다.
이번 캥거루본드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채권의 한 종류인 소셜본드(Social Bond) 형태로 발행된다. 소셜본드는 조달 자금의 사용처가 사회적 프로젝트 등으로 제한된다.
IBK기업은행은 무디스로부터 Aa2(안정적), S&P와 피치로부터 AA-(안정적)을 부여받고 있다. 이번 딜은 호주계 은행 ANZ와 MUFG증권이 주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김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시플로 모니터]한일시멘트, FCF 순유입 전환…환경투자 '지속'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KCC, 차입만기 장기화 '성공'...이자부담은 '여전'
- [thebell interview]김두영 코스모화학 대표이사 "기술력 충분, 실적 턴어라운드 최우선 과제"
- [아세아그룹 밸류업 점검]아세아제지, 설비투자 확대로 '본업경쟁력' 집중
- 쌍용C&E, 폐기물 계열사 4년만에 '흑자전환'
- [i-point]대동기어, 에이블맥스와 방산 부문 사업협력 MOU 체결
- 제이에스링크 새 최대주주 주성씨앤에어, 이사회 진입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i-point]박진수 주성씨앤에어 대표 "북미 네트워크 기반 영구자석 사업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