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모니터/상생(S) 리포트]카카오모빌리티, 동반성장 수익모델 구축에 '속도'이달부터 취소수수료 공유…중장기 광고 수익 공유 방안 제시
김슬기 기자공개 2022-03-23 13:38:29
이 기사는 2022년 03월 21일 17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사회적 책임강화를 위해 여러 상생안을 내놓고 있다. 연초에는 최고경영자(CEO) 산하에 상생 자문 위원회를 만들었을 뿐 아니라 직접 이해관계자들과도 협의회를 꾸려, 상생안을 만들고 있다.이달에는 가맹택시 업계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카카오T 블루' 취소수수료 배분 정책을 마련, 기사들에게 수수료가 돌아가도록 했다. 또 장기적으로는 택시 요금 외에도 광고 수익을 공유할 수 있도록 RSE(Rear Seat Entertainment·차량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확대할 계획이다.
◇ 상생에 속도내는 카카오모빌리티, 조직 정비 마쳤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연초에 CEO 산하 상생 자문 위원회를 출범했다. 상생 자문 위원회에는 교통, 노동, 소비자, 언론, 법조 분야 등 총 11명의 외부 전문가로 구성됐다. 해당 위원회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사업이 미칠 사회적 영향과 이해관계자들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논의한다.

최근 만들어진 상생 자문 위원회는 연 6회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외부 전문가들의 객관적인 조언이 필요한 주제를 선정, 위원회에 사전 발제하는 형식으로 이뤄진다. 해당 위원회가 외부 전문가들로 꾸려졌다면 실제 택시사업자와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위원회도 존재한다. 바로 지난해 10월 만들어진 카카오T블루 가맹점협의회다.
지난해 카카오모빌리티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면서 상생에 대한 요구가 커졌다. 이에 카카오모빌리티는 가맹사업본부인 KM솔루션과 DGT모빌리티를 주축으로 가맹점협의회를 꾸렸다. 지난해 12월 전국 7개 지역의 개인 및 법인택시 가맹점 사업자로 구성된 각 지역 가맹점협의회와 가맹사업본부와 상생 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 논의로 상생안이 도출됐고 이달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특히 당시 한 뜻을 모았던 카카오 T 블루 취소수수료 배분이 이달 15일부터 적용됐다. 취소수수료는 가맹회원사에만 배분되던 방식에서 기사들에게도 배분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과거에는 취소수수료가 가맹사업본부와 가맹점 사업자가 반반씩 가져갔다면 이제는 가맹사업본부가 2, 기사(크루)가 3, 가맹점사업자가 5의 비율로 가져가는 것이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양보가 없었다면 불가능했다.
◇ 플러스티브이 인수로 만든 광고 수익 공유 모델…연내 본격화
취소 수수료 공유로 상생 방안 실행 첫발을 내딛었지만 갈 길이 멀다. 이 때문에 카카오모빌리티는 향후 이해관계자들과 장기적으로 동반성장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여념이 없다. 우선적으로 거론되는 것은 RSE 시스템 확대다. 이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플랫폼으로 이동 중 탑승자에게 영상이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여기서 발생하는 광고 수익을 공유하겠다는 큰 그림을 그렸다. 회사 측은 올해 상반기 내 RSE시스템을 카카오T 블루 1만대에 확대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광고를 할 때 필요한 제반사항 등을 마무리하면 연내에는 가맹회원사와 광고 수익을 공유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번에 수익 공유 모델을 구축하게 되면 향후 모빌리티 기업에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해당 사업이 확대되면 택시 이용에서 발생하는 이용료 뿐 아니라 그 외에도 수익이 발생하게 되면서 수익원이 다변화된다. 이런 수익구조는 웹툰이나 웹소설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네이버웹툰의 경우 콘텐츠와 광고 판매를 결합, PPS(Page Profit Share) 프로그램을 도입하면서 창작자 생태계를 키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ating Watch]등급전망 '부정적' 달린 호텔신라, AA급에서 밀려나나
- [우리투자증권 부활 나래]전면 나선 임종룡 회장, '리테일·IB' 투트랙 시동
- [우리투자증권 부활 나래]미래에셋 출신 주도권, 우리은행과 화학적 결합 '관건'
- [Deal Story]'5년만에 등장' 보령, 수요·금리 둘다 잡았다
- [Deal Story]'11배 수요 확인' HD현대건설기계, 5년물 초강세
- [우리투자증권 부활 나래]금융지주 내 이익 비중 '0.08%'…반전 보여줄까
- 흑자전환 성공 패스트파이브, 외형·수익성 다 잡았다
- [발행사분석]'5년만에 시장 노크' 보령, 등급 상향 조건도 갖췄다
- [Policy Radar]회사채 캡티브 영업, 금리 왜곡 입증 가능할까
- [판 바뀐 종투사 제도]현실화 된 IMA '미래에셋 vs 한투' 2파전 가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