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분석]소임 마친 GS칼텍스 LNG도입관리위원회, 해산 수순 밟나2021년 4월 이후 활동 멈춰..."추가 검토 후 해산 논의 다시 진행할 것"
이호준 기자공개 2022-09-14 07:43:11
이 기사는 2022년 09월 08일 11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GS칼텍스가 LNG도입관리위원회 해산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령LNG터미널 2-2단계 준공 등으로 이사회 운영의 필요성이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회사는 내부적으로 추가 검토를 진행한 뒤 해산 여부를 확정 지을 방침이다.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GS칼텍스는 최근 정기 이사회를 열고 이사회 내 소위원회 중 하나인 LNG도입관리위원회 해산 논의를 진행했다. LNG도입관리위원회는 이사회 내 위원회로 지난 2005년 설치된 이후 약 17년간 운영돼왔다.
논의 결과 해산 여부는 확정되지는 않았다. GS칼텍스는 추가 검토가 더 필요하다며 이사회 최종 결의를 보류했다. 회사 관계자는 "아직은 세부적인 논의가 더 이뤄져야 한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전했다.
현재 LNG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 LNG 비축 경쟁이 벌어져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예컨대 가스공사의 이달 가스 도매가격(열량단가)은 Gcal당 14만4634원으로 2년 전과 비교해 4배가 올랐다.
운임 비용도 치솟고 있다. 유럽연합(EU)를 중심으로 러시아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이 일자 LNG유조선 수요가 늘었다. 겨울 성수기 대비 상황이 맞물려 현재 용선 비용은 전년 대비 50% 증가한 하루 12만달러(약 1억6558만원) 수준이다.
그럼에도 GS칼텍스가 LNG도입관리위원회 해산 논의를 진행한 배경으로는 보령LNG터미널의 저장 능력 향상을 꼽는다. 보령LNG터미널은 지난 2013년 GS칼텍스 모회사인 GS에너지와 SKE&S가 50대 50으로 출자해 설립한 상업용 LNG터미널이다.
최근 보령LNG터미널의 저장능력이 급격히 늘고 있다. 지난해 9월 2-2단계 설비가 가동하면서 보령LNG터미널의 LNG 저장능력은 기존 300만톤(t)에서 600만t으로 증가했다.
보령LNG터미널의 저장 능력이 향상되면서 GS칼텍스는 이같은 환경 변화에 영향을 덜 받게 됐다. GS칼텍스는 보령LNG터미널에 저장한 LNG를 여수공장 연료 및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보관 기간이 길어지면서 LNG도입관리위원회의 소집 주기도 길어진 상황이다.
GS칼텍스는 현재 이사회 산하에 감사위원회와 경영조정위원회, LNG도입관리위원회 등 총 3개의 소위원회를 두고 있다. 이 가운데 LNG도입관리위원회는 LNG 도입과 관련한 안건을 다루고 있다.
LNG도입관리위원회는 활동이 멈춰 있는 상태다. GS칼텍스는 지난해 3월 LNG도입관리위원회를 열고 LNG 장기구매계약 가격 조정 승인의 건을 의결했다. 한 달 뒤인 4월 또다시 위원회를 열고 '2020년 LNG 사업 실적'을 공유한 이후 현재까지 소집된 적이 없다.
LNG도입관리위원회에는 이두희 GS칼텍스 사장과 Jablonski 셰브론 임원 등이 참여하고 있다. 1962년생인 이 사장은 올해 GS칼텍스 최고안전책임자(CSO)·각자대표 겸 생산본부장 사장으로 승진했다. Jablonski는 미 석유회사 셰브론의 한국지사 의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LNG도입관리위원회의 주된 업무는 결국 가격 적정성 논의"라며 "굳이 이사회를 열 필요 없이 실무선에서 관련 업무 처리가 가능해졌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디벨로퍼 리포트]외형 키우는 신세계프라퍼티, 투자 더 늘린다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삼성물산, 사우디 네옴시티에 'OSC 기술' 활용
- [지배구조 분석]건설사 KD 대주주, 채무 부담에 지분 매각 '결단'
- [디벨로퍼 리포트]DK퍼스트, '왕로푸' 매출인식 본격화
- [건설리포트]제일건설, 안정적 실적 속 재무비율 개선 '뚜렷'
- [Company Watch]BS한양, 신용등급 전망 조정…에너지 사업 '성장통'
- 금호타이어, 저금리 조달로 고금리 빚부터 갚는다
- [GM·르노·KGM 생존기]한국GM, 최대성과에도 못 웃었다
- [GM·르노·KGM 생존기]돌파구는 '수출', 전략은 '3인 3색'
- 매각 추진중인 현대IFC, 현대제철에 첫 배당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업계 재편 불붙나...현대제철, 동국제강과 현대IFC 매각 논의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세금부담 줄어든 지금이 '증여 적기'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운전자본 가중 동국산업, 현금흐름 개선 묘수있나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성장보단 생존 우선...동국산업, 올해 만기 도래 '2200억'
- [thebell note]장세욱의 싸움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무관세' 종료 美시장…KG스틸USA, 실적유지 가능할까
- 아주스틸, 420억 손상차손…PMI 통해 자산 재평가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