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그룹, 대원강업 신임 사장 박민희 내정 현대리바트 부사장 출신, 박대수·류지원 실장 등도 이동
허인혜 기자공개 2023-01-06 07:37:19
이 기사는 2023년 01월 05일 13:2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자동차 부품사 대원강업이 현대백화점그룹 출신의 임원들을 새 경영진으로 맞게 됐다. 대원강업은 현대차그룹의 1차 협력사로 최근 현대그린푸드가 최대주주로 등극했다.5일 업계에 따르면 대원강업 신임 사장으로 박민희 현대리바트 부사장이 내정됐다. 현대백화점 출신의 박대수 경영지원실장과 현대그린푸드 출신의 류지원 영업실장도 대원강업으로 적을 옮긴다. 대원강업은 그동안 대표이사와 사장, 경영지원과 영업부문 실장들을 주요 임원으로 명시해 왔다.
박 신임 사장은 재무 관리와 경영 전략에 전문성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백화점 재무담당 상무와 현대백화점 경영지원본부 경영전략실장을 거쳤다. 2019년 현대리바트로 적을 옮겨 영업본부장을 지냈고 최근 현대백화점그룹 인사에서 현대리바트의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1967년생으로 중앙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박 사장은 허재철·재웅 형제의 빈 자리를 채울 예정이다. 오너2세였던 허재철 회장과 허재웅 사장 등 형제 4인은 지난해 11월 현대그린푸드에 대원강업 보유지분 14.13%(876만1073주)을 매각한다고 밝혔다. 허 회장은 지난달 말일자로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다. 허 사장도 퇴임할 것으로 전해진다.
박대수 신임 경영지원실장은 현대백화점(한무쇼핑) 관리담당 임원으로 재직한 바 있다. 류지원 영업실장은 대원강업에서 처음으로 임원에 올랐다. 직전까지 현대그린푸드 푸드서비스사업팀 팀장으로 일했다.
사외이사도 일부 물갈이 됐다. 대원강업은 지난달 30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이혁, 김윤성, 정재상 사외이사 3인을 추가했다. 현대백화점그룹이 추천한 인물들로 알려져 있다.
김항수 대표는 자리를 보전한다. 임기 만료일은 2025년 3월이다. 인사와 노무, 안전보건 부문을 총괄하는 역할을 그대로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대원강업의 사명도 차후 바뀔 가능성이 높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 중 사명에 '현대'가 없는 곳은 지난해 3월 인수로 1년이 채 되지 않은 가구 인테리어 기업 지누스와 의류 브랜드로 사명 인지도가 높았던 한섬 뿐이다. 현대리바트와 현대에버다임, 현대L&C와 현대바이오랜드 등이 인수 후 사명에 전 기업체 명을 떼고 현대를 붙였다.
한편 현대백화점그룹 출신 경영진이 선임된 후에도 일부 창업주 친족일가는 회사에 남는다고 전해진다. 허승호 이사회 의장 등이다. 허 의장은 대원강업 대표이사 부회장을 지내며 대원강업의 차기 회장으로도 거론된 인물이다.
대원강업은 고(故) 허주열 명예회장과 고 허송열 명예회장 형제, 동업자인 고 허백 명예부회장이 공동 창업한 기업이다. 허승호 의장은 허주열 명예회장의 손자이자 허재철 회장에게는 조카가 된다. 허주열 명예회장의 장남이었던 허재문 전 사장(회장)이 작고하자 허승호 의장이 허재철 회장 등과 대표를 맡았다가 지난해 3월 이사회 의장 선출을 이유로 사임했다.
허승호 의장을 비롯한 친족들의 지분도 잔존해 있다. 지분을 매각한 허재철·재웅·재헌·재성 형제를 제외하면 3분기 말을 기준으로 30명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허승호 의장이 3분기 말을 기준으로 5.72%의 지분을 보유해 가장 많다. 허승호 의장의 동생인 허재무 대원총업 사장(1.96%)과 허수원(1.85%), 허승원(1.30%) 씨가 지분을 1% 이상 갖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손경익 시노펙스 대표 국민훈장 동백장 수훈
- [i-point]에이트원, 고려자산개발과 토큰증권 비즈니스 MOU
- [i-point]알에프세미, 진평전자 LFP 배터리 국내판권 평가·이전 마쳐
- [thebell interview]"한화증권 IPO 비즈니스 확대 원년"
- [건축자재 기업 돋보기]암울한 시멘트·레미콘업체, 기댈 구석 '가격인상뿐'
- [i-point]바이브컴퍼니, 한국형 생성 AI 언어모델 'VAIV GeM' 공개
- [2023 BIO USA]바이오 최대 박람회 D-1, 삼성바이오로직스 韓 유일 스폰서
- [보험경영분석]신협공제, 유가증권 포트폴리오 재조정
- 우리은행, '승계 프로그램' 다음 스텝은 '인사평가'
- [ETF 위클리]갈곳없는 자금…금리형 상품 여전한 인기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HL만도, 준수율 같았지만 달라진 내부통제정책
- [박지원의 에코 에너지]국산 바람의 결 찾은 18년 뚝심…해상풍력 '원톱'
- [박지원의 에코 에너지]'큰손' 만난 후계자, 공장투어에 담은 친환경 미래
- [박지원의 에코 에너지]광고사 출신 CEO가 20년전 카피에 담은 비전은
- [아시아나항공 M&A]대한항공 합병, '승객'에 가려진 '화물' 운송 쟁점은
- [현대차그룹 EV 2030 중간점검]'쏘 쿨' 글로벌 톱3 꿈은 이뤄질까
- [아시아나항공 M&A]대한항공, 슬롯 떼주며 합병하더라도 이득일까
- 에어프레미아 미주노선 '도미노' 취항, FSC 합병 대안 가능할까
- [아시아나항공 M&A]대한항공, 미국과 '끝장 협상' 가능할까
- 현대차 출신 합류한 KG모빌리티, 글로벌 전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