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오른 HMM 매각]몸값 비싸진 HMM, 잠재 후보군 인수 여력은단순 지분가치만 5조원, 경영권 프리미엄 및 메자닌 포함시 가격 급등
허인혜 기자공개 2023-01-30 07:06:40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7일 08시2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업가치가 높아지면 좋은 점만 있을 것 같지만 사실 그렇지가 않다. 특히 인수합병(M&A)을 앞두고 있는 기업에게는 사는 곳이나 파는 곳이나 가치만큼 부담도 높아진다. 군불 떼기가 오래된 HMM의 현재 상황이 딱 그렇다.'HMM 인수'를 구체적으로 쪼개면 산업은행이 보유한 지분 20.69%와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지분 19.96%, 도합 40.65%를 사들이는 작업이다. 경영권 행사를 고려해 산업은행만의 지분을 사들이는 매수하는 방식은 거론되지 않는다.
해운업계 호황 등이 맞물리면서 HMM의 몸값은 고공행진했다. 현재 HMM의 시가총액은 약 10조6610억원 수준으로 두 국책은행의 지분 매수 금액은 약 4조3300억원을 웃돈다. 만약 신용보증기금(5.02%)의 지분을 합한 공공지분 45.67%를 모두 산다면 인수자금은 4조8688억원으로 뛴다.

이 금액도 경영권 프리미엄이 없다는 가정 하에 매긴 가치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붙이면 최소 5조~6조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다른 변수는 영구채다.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지분공사 등이 보유한 영구신주인수권부사채(BW) 규모가 5억3500~5억3600만주에 상당한다고 전해진다. HMM의 발행주식 수인 4억8903만9469주보다도 많다. 모두 신주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인수자로서는 부담스러운 요소다.
신주 전환시 인수자의 지분율은 20% 아래로 떨어져 경영권을 위해 추가 지분매입이 필요할 수 있다. 영구채 전환 후 주가를 현 시점에서 가름하기는 어렵지만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지분공사의 현재 지분 인수에 필요한 자금 4조원 이상을 쌓아야 한다는 이야기다.
인수자금을 마련하려면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여력이 된다면 자신의 곳간을 헐면 되고, 여의치 않으면 남의 손을 빌릴 수밖에 없다. 인수금액 자체만 따져보면 거론돼 왔던 기업들의 당락이 엇갈린다. 현금 유동성을 볼 때 인수자금 마련에 무리가 없어 보이는 곳은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 등이다.
현대차그룹은 기아를 빼고 현대차만의 유동성만 봐도 인수여력이 충분하다. 현대차의 현금성자산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9년 8조6800억원에서 2021년 말 기준 12조7955억원으로 늘었다. 지난해 3분기 말을 기준으로 현금성자산은 19조5844억원까지 쌓였다. 기아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은 2022년 3분기 말 기준 14조8000억원이다.
포스코그룹도 유동성 면에서는 외부의 손을 빌리지 않고 HMM 매수가 가능하다. 포스코홀딩스의 지난해 3분기 말 현금및현금성자산은 7조4953억원, 기타금융자산은 14조850억원에 이른다. 같은 기간 포스코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은 2조4300억원, 기타금융자산은 7조6953억원 수준이다. 하지만 포스코그룹도 마찬가지로 현금 유동성을 기업 인수에만 쏟아부을 수는 없다. 연간 투자 계획만 10조원 안팎이다.
또 다른 주요 후보로 거론되는 SM그룹은 쌓아둔 자금보다 빌려야할 돈이 더 많다. SM상선 등 SM그룹의 주요 계열사들이 비상장사로 정확한 현금 유동성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시장에서는 과거 쌍용차 인수전에 뛰어들었던 이력 등을 토대로 SM그룹의 자금력이 1조원 수준이라고 예상한다. 지분 인수 대금만 놓고 봐도 약 3조원 이상의 외부자금을 끌어들여야 한다는 의미다. '새우가 고래를 삼키려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그룹내 자금 에어로 투입, 투자자 달랠수 있을까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선]경영승계는 차남…오너일가 '못지않은' 박세철 존재감
- '승계 논란' 차단 나선 한화…유상증자 설계도 다시 짰다
- [Red & Blue]유상증자부터 승계까지 '요동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오리엔탈정공, 실적·배당 확대 불구 여전한 저평가
- '터널 끝' 적자 대폭 줄인 대선조선, 흑전 기대감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증여세 '2218억' 삼형제의 재원조달 카드는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몸값 높아진 오스탈, 한화그룹 주판 어떻게 튕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