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전문점 지각변동]할리스, '라이프스타일 MD 강화' 반등 신호탄 쐈다BI에서 '커피' 떼며 콘셉트 재정비, 화장품·골프용품 등 MD 차별화
변세영 기자공개 2023-04-23 20:13:44
[편집자주]
국내 커피시장이 코로나19 이후 격변기를 보내고 있다. 부동의 1위 스타벅스가 사은품 논란으로 위기를 마주한 가운데 저가 커피 업체들이 치고 올라오면서 중상위권 순위 싸움이 치열하다. 변화의 파고에 놓인 커피전문점들은 특색 있는 점포를 개발하거나 해외 진출 등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주요 커피전문점들의 사업 현황과 엔데믹 이후 생존 전략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4월 19일 16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할리스가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재정비를 마치고 새로운 도약에 나섰다. 화장품부터 스포츠용품 등으로 MD 라인업을 다각화하며 단순히 외식을 넘어 라이프 전반의 ‘생활밀접’ 콘셉트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할리스(법인명 케이지할리스에프앤비)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2379억원, 영업이익은 11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105%, 300% 각각 증가한 수치다. 육가공업체 케이지프레시(구 HJF)를 인수하면서 덩치가 커진 게 주효했다. HJF는 지난해 매출액 1021억원을 올리며 알짜 자회사로 등극했다.
◇국내 토종 커피프랜차이즈, 매출 역성장 고리 끊었다
본업만 놓고 봐도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별도기준 할리스 매출액은 1359억원, 영업이익은 85억원으로 각각 17.2%, 203.5% 증가했다. 할리스는 1998년 1호점을 시작으로 20년 이상 역사를 갖는 국내 토종 커피프랜차이즈 브랜드다. 2020년 KG그룹에 인수됐다.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KG이니시스의 종속회사이자 특수목적회사인 ㈜크라운에프앤비가 최대주주(74.29%)다. 2대주주는 청오앤캑터스(15.14%)다. 청오앤캑터스는 당초 HJF의 최대주주였다. 지난해 할리스가 HJF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청오앤캑터스가 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면서 할리스 지분을 일부 확보했다.
업계는 할리스가 반등하면서 2020년부터 이어진 역성장 고리를 끊어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적 추이를 살펴보면 2019년을 정점으로 하강 곡선을 그려왔다. 매출액은 2019년 1649억원, 2020년 1406억원, 2021년 1159억원으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155억원, 37억원, 29억원을 기록하는 등 급감했다.
◇마케팅 전문가 이종현 대표, 골프공·화장품 등 MD 라인업 다각화
호실적 배경에는 'MD차별화'가 있다. 커피전문점 간 경쟁이 치열해진 상황에서 더는 음료만으로는 승부를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기존 BI에서 ‘COFFEE(커피)‘를 떼고 ‘HOLLYS(할리스)’로 이름을 변경한 것도 이러한 의지를 반영한다. 이와 맞물려 할리스는 캠핑이나 골프, 뷰티 등 생활전반에 걸친 MD상품군을 선보이면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도약을 시도했다.
지난해 할리스는 ‘레드 벨벳 립‘과 핸드크림·립밤 세트를 선보이며 뷰티 MD 구색을 넓혔다. 커피전문점에서 식품만 판다는 발상의 전환을 깬 행보다. 이 과정에서 음료와 MD상품을 세트로 묶어 선보이는 방식으로 시너지를 냈다.
골프 굿즈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 할리스는 젊은 MZ세대 골프인구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 골프볼·골프티·릴타월 등을 하나의 세트로 담아낸 MD를 선보였다. 골프공은 국내 대표 골프 브랜드 볼빅과 협업해 완성도를 높였다. 소기의 성과도 달성했다. 지난해 3월 출시한 ‘골프 시즌2’ 굿즈는 시즌1보다 물량을 3배 늘려 출시했음에도 2개월 만에 완판됐다.
할리스가 브랜드 재정립에 성공한 데는 이종현 대표의 역할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1980년생인 이 대표는 KG그룹 패스트푸드 전문점 KFC코리아에서 CMO(마케팅책임자)를 역임한 인물로 브랜딩 강화 역량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대표는 2021년 11월부터 할리스 수장을 맡아 경영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할리스 관계자는 “고객의 취향을 제품과 공간에 반영하고 고객 일상에 밀접한 라이프스타일 MD 상품 출시를 계속 기획하고 있다”며 “고객이 커피와 공간을 넘어 일상에서도 할리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다방면의 마케팅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변세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애경그룹 리밸런싱]매물로 나온 애경산업, 인수 후보군은
- 훨훨 나는 올리브영, 지분투자 성적표는
- [인스파이어 넥스트 스텝]카지노-비카지노 5:5, 리테일 경쟁력 ‘강화’
- [thebell note]글로벌세아그룹의 민간외교
- [인스파이어 넥스트 스텝]이사회 물갈이, 베인캐피탈 사내이사 '등판'
- [Company Watch]삼성웰스토리, 중국 의존도 낮추고 유럽에서 '새 활로'
- [인스파이어 넥스트 스텝]경영난 모회사, 손바뀜 후 투자재개 기대감↑
- [이사회 분석]롯데홈쇼핑의 건기식 도전, 합작법인 키맨은
- 윤상현 CJ ENM 대표 "턴어라운드 성공, 실적 개선 이어갈것"
- 한화갤러리아, ‘프리미엄 음료 베팅’ 글로벌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