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로 본 셀트리온 합병]합병법인 예상 매출은③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 내부거래액 제외, 올해 2.4~2.5조 예상
박기수 기자공개 2023-09-01 07:19:41
[편집자주]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불완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생산과 판매, 한 몸으로 해야 할 기능을 떼어뒀으니 실적 투명성을 두고 말이 많았다. 셀트리온헬스케어가 매출을 셀트리온에 몰아준다는 비판이다. 그간 군불만 떼던 '셀트리온 3형제'의 합병이 공식화한 것은 이제 의혹을 떨쳐내고 자생력을 증명할 기반을 확보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확신은 어디서 생겼을까. THE CFO가 실적과 재무 데이터를 분석해 합병 결정의 배경과 전망을 가늠해 봤다.
이 기사는 2023년 08월 28일 13시53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셀트리온이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흡수 합병한 후 합병 법인의 연간 매출은 합병 전 셀트리온의 매출을 웃도는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연결 기준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연결 매출은 각각 2조2840억원, 1조9722억원이다.
두 회사의 연결 매출을 합하면 4조2562억원이지만 이를 합병 법인의 연간 매출 지표로 볼 수는 없다. 셀트리온은 자회사인 셀트리온헬스케어와 셀트리온제약 등 각각 특수관계자들 간의 내부거래액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합병 후에는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가 하나의 회사가 되므로 양 사간 기존에 발생했던 내부거래액을 제외해야 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셀트리온의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대한 바이오의약품 판매 및 용역매출은 9276억원이다. 이는 셀트리온 연결 상반기 매출인 1조1215억원의 84.7%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합병 법인에서는 이런 매출이 손익계산서 상 사라지게 된다.
합병 후 셀트리온의 매출은 기존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매출과 더불어 셀트리온헬스케어향 매출을 제외한 기존 셀트리온의 바이오의약품 CMO와 케미컬 매출 등으로 구성될 전망이다.
셀트리온 공시에 따르면 작년 셀트리온헬스케어로부터 발생한 국내 매출은 1조5622억원이다. 이 금액은 우선 제외 대상이다.
여기에 셀트리온이 셀트리온헬스케어 해외 자회사에 판매한 상품 및 용역 분도 제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셀트리온 USA(Celltrion USA, Inc.)를 비롯해 셀트리온헬스케어 헝가리(Celltrion Healthcare Hungary, Kft.) 등이 있다. 여기서 발생한 작년 셀트리온의 매출이 2427억원이었다.
셀트리온의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대한 매출은 1조5622억원과 2427억원을 합한 1조8049억원으로 작년 셀트리온 연결 매출의 79% 수준이다. 작년 연결 매출 2조2840억원에서 이 값을 빼주면 4791억원이 나온다. 이 가격이 셀트리온헬스케어향 매출을 제외한 작년 셀트리온 매출로 볼 수 있다.
여기에 마지막으로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연결 매출(1조9722억원)을 더해주면 합병 법인의 연간 매출을 짐작할 수 있다. 두 값을 단순 합산하면 2조4512억원이 나온다.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 연결 매출의 단순 합산 값인 4조2562억원보다 1조8050억원 적은 금액이다.
작년 셀트리온의 연결 매출과 계산으로 산출된 합병 법인의 매출을 비교하면 합병 법인의 매출이 작년 셀트리온 연결 매출보다 약 7.3% 많다.
이같은 원리로 합병 법인 셀트리온의 올해 매출을 계산하면 약 2조4466억원이 산출된다. 이는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상반기 연결 매출인 1조1215억원과 1조294억원을 각각 연 환산한 값으로 계산했다. 셀트리온이 밝힌 셀트리온헬스케어향 매출 9276억원도 연 환산해 계산했다.
한편 두 법인의 합병 기일은 올해 12월 28일이다. 양 사의 주주들은 10월 23일부터 11월 13일까지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밸류업 성과 평가]포스코홀딩스, 업황 악화에 고전…밸류업 '하위권'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
- [밸류업 성과 평가]HD현대일렉트릭, 밸류업 1위 영예…실적·주가 완벽 뒷받침
- [밸류업 성과 평가]코스닥 기업 80%가 TSR 마이너스, 밸류업 의지 절실
- [조선업 리포트]사업부에 힘 싣는 한화오션, 관료 출신 사외이사도 영입
- [밸류업 성과 평가]삼양식품, '불닭'이 만들어준 밸류업 1위 '기염'
- [밸류업 성과 평가]메리츠금융·카뱅만 PBR 1배 이상, 저PBR '고질병' 여전
- [밸류업 성과 평가]7할이 PBR 1배 미만, 갈길 먼 '기업가치 제고'
- [밸류업 성과 평가]'밸류업' 1년, 어디가 잘했나…지표로 분석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