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합병 셀트리온 비전, '코스피 몸값 30조' 대어로 출발밸류체인 갖춘 신약개발 바이오텍 중 최대 몸집…넥스트 전략도 '혁신신약'
최은수 기자공개 2023-08-22 14:06:22
이 기사는 2023년 08월 18일 08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이 본격화됐다. 올해 연말을 기점으로 합병법인 '셀트리온'의 출발을 위한 첫발을 뗐다. 기존 셀트리온제약까지 한 번에 끌어안으려던 구도에서 일단 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을 택했다.현재 국내 제약바이오 섹터에서 시가총액이 30조원을 넘는 회사는 삼성바이오로직스(17일 종가 기준 54조9463억원)뿐이다. 다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위탁개발생산(CDMO)이 본업인 만큼 합병법인 셀트리온과는 결이 다르다. 현재로선 합병 작업이 완료되면 국내에서 처음으로 30조원 몸값의 '신약개발'을 주사업으로 둔 대어가 출범하게 된다.
◇글로벌 빅파마 위한 '셀트리온 삼형제 퓨전' 시작… 시총 30조 빅 바이오텍 출범 앞둬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7일 장마감을 기해 양사의 흡수합병을 공시하고 제반 절차에 대한 설명회를 진행했다. 먼저 진행되는 1차합병은 셀트리온이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흡수 합병하는 형태다. 이를 위해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주주들에게 셀트리온의 신주를 발행한다. 주당 합병가액은 셀트리온 14만8853원, 셀트리온헬스케어 6만6874원이다.

세부적으로 셀트리온그룹은 셀트리온홀딩스를 지주사로 합병법인으로 일원화한다. 1단계 합병 후 셀트리온홀딩스가 보유한 신설 합병법인의 지분율은 21.5%다. 이 법인의 셀트리온제약의 지분율은 54.7%다. 서 회장이 보유하게 되는 합병법인의 지분율은 3.7%다.
셀트리온그룹은 이와 함께 나머지 상장법인인 셀트리온제약의 2차합병도 예고했다. 셀트리온제약의 경우 세부 합병가액이나 비율, 등은 특정하지 않았다. 다만 연내 합병 셀트리온 법인을 출범한 이후 6개월 안에 제반 작업을 마무리하면서 그간 시장에 제시해 왔던 합병에 대한 그룹 차원의 의지 피력에 나섰다.
서정진 회장은 합병과 관련한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합병법인의 내년 매출은 3조5000억원가량으로 전망된다"며 "매년 6000억원 가량의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이 발생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 규모 역시 시너지 효과에 따라 빠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섹터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 이어 두 번째 대어… 신약 전념 사례로는 '처음'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 출시가 임박했을 당시 그룹 상장사 전체의 시가총액은 90조원에 육박했던 때도 있다. 지금은 당시보다는 전체적인 볼륨은 줄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약개발'의 시작부터 끝(End to end)을 내부에서 모두 소화할 수 있는 밸류체인을 갖춘 대형 바이오텍의 탄생을 앞둔 점은 업계의 이목을 끈다.
이번 바이오 역량을 한데 모으는 것은 기존 시장에 제시했던 '빅 바이오텍'으로의 방향성을 명료화하기 위한 승부수다. 합병만 마무리하면 규격은 이미 국내에서 손꼽히는 수준이다. 시가총액은 업계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보다 적다. 그러나 규모를 떠나 국내에선 없었던 밸류체인을 갖춘 빅 바이오텍의 위용을 합병법인이 처음 갖추는 게 핵심이다.
세부적으로 합병법인 셀트리온엔 그룹의 핵심자산인 바이오 관련 R&D 역량(셀트리온), 해외 유통 판로(셀트리온헬스케어), 완제의약품을 생산할 GMP급 퍼실리티(셀트리온제약)가 한데 모이는 셈이다. 바이오시밀러는 캐시카우로서 그룹이 유동성 고민 없이 혁신신약 개발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셀트리온은 그룹 차원에서 바이오시밀러를 이을 신성장동력을 '혁신신약'으로 점찍은 상태다. 올해 경영 일선에 복귀한 창업주 서정진 회장이 주도하는 만큼 합병법인 역시 이 같은 방향성을 갖고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ADC, 이중항체, 마이크로바이옴, 디지털헬스케어 등 업계에서 주목을 받는 모달리티(Hot Modality) 접점을 계속 넓히는 게 일례다.
남은 과제는 합병법인의 태동으로 선보일 사업 전략을 통해 시장의 신뢰를 얻는 것이다. 규모로는 충분히 합격점이다. 다만 셀트리온이 추진하는 혁신신약 전략은 국내 도처에 여러 경쟁사들이 포진해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합병으로 최소 십년지대계인 신약개발을 위한 그룹의 방향성을 비로소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그룹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신약에 방점을 찍고 시장과 소통과 공감대를 형성해온 만큼 합병법인 역시 같은 방향성과 과업을 내세워 성장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OE 분석]DB손보, '2조 순익·자본소실 최소화'로 20% 이익률
- [ROE 분석]현대해상, 두자릿수 이익률 이면에 자기자본 소실
- [ROE 분석]삼성화재, 자본감소 최소화하며 효익은 최대로
- [밸류업 성과 평가]10대 그룹 참여도 LG·HD현대 으뜸 한화·GS는 불참
- [밸류업 성과 평가]삼성그룹의 저조한 참여, 계열사 중 삼성화재만
- [밸류업 성과 평가]바이오·헬스 부문 밸류업 참여 다수…엘앤씨바이오 톱
- [밸류업 성과 평가]'FDA 넘은 항암제' 유한양행, 코스피 바이오·헬스 으뜸
- [ROE 분석]두자릿수 이익률 낸 손해보험사 'IFRS17·K-ICS가 기회'
- [ROE 분석]생존 기로 선 중소형 생보사, '이익률' 제고 관건
- [밸류업 성과 평가]건설·부동산 업종 현대건설 뿐, '생존'이 급선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