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 Index/삼성그룹]사외이사, 교수보다 고위공직자…'겹치기' 선임도 다수[전문성]④경영·산업 전문성보다 대관, 타사 사외이사도 겸직도 22명
원충희 기자공개 2024-03-12 08:10:30
[편집자주]
이사회는 기업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이자 동시에 최고 감시감독기구다. 기업의 운명을 가르는 결정이 이사회에서 이뤄지고 이에 대한 책임도 이사회가 진다. 기업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주주와 임직원, 정부, 시민사회 등 한 기업을 둘러싼 모든 이해관계자가 이사회에 높은 독립성과 전문성, 투명성, 윤리성 등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이유다. THE CFO가 이사회의 A부터 Z까지 샅샅이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2월 27일 14시52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 주요 상장사 사외이사 58명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사들은 장·차관 및 국회의원 등 정·관계 고위공직자 출신이다. 학계·교수 출신들과 함께 양대 산맥을 이룬다. 기업 경영과 산업 전문성보다는 '대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굵직한 인사들이 많다보니 사외이사 중에 다른 기업 사외이사를 겸하는 인원들도 눈에 띈다. 특히 삼성물산의 경우 사외이사 전원이 타 업체 사외이사직을 같이 맡고 있다. 법규상 문제는 없지만 사외이사 업무 집중이 분산되는 우려도 있다.
THE CFO가 지난해 '3분기 보고서'와 '기업지배구조 보고서'를 기준으로 삼성그룹의 주요 상장 계열사(코스피 기준) 15곳을 살펴본 결과, 사외이사 수 58명 가운데 장·차관 및 국회의원 등 정·관계 고위인사 출신이 19명이다.
삼성중공업의 이기권 전 고용노동부 장관, 호텔신라 김현웅 전 법무부 장관과 주형환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삼성생명 유일호 전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표적이다. 장관급으로 통하는 삼성SDS 문무일 전 검찰총장과 삼성카드의 김준규 전 검찰총장, 삼성전기에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 삼성화재 김소영 전 대법관도 있다.
그 밖에 정부부처 차관 출신은 물론 차관급으로 통하는 삼성화재 김성진 전 조달청장과 호텔신라의 진정구 전 국회사무처 입법처장, 김준기 전 국회예산처장, 삼성전기에 김용균 전 서울행정법원장, 삼성전자에 유명희 전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등이 포진해 있다. 정치권 출신은 제일기획의 장병완 전 국민의당 최고위원, 삼성카드 최재천 전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등이 있다.

국내 주요 기업 사외이사의 주류인 학계·교수 출신들은 18명이다. 정·관계 고위인사 출신과 크게 차이가 없다. 삼성그룹 주요 계열사 사외이사들의 양대 산맥은 정·관계 출신과 학계·교수 출신으로 분석된다.
금융권 전·현직 출신들도 7명으로 눈에 띈다. 삼성물산의 제니스 리 전 SC제일은행 부행장, 삼성엔지니어링 박일동 전 수출입은행 부행장, 삼성전자 김한조 전 하나금융나눔재단 이사장, 김준성 싱가포르투자청(GIC) 이사, 삼성중공업 남기섭 전 수출입은행 수석부행장, 삼성화재 박진회 전 씨티은행장, 삼성카드 강태수 전 한국은행 부총재보 등이다.
특히 ECA(공적수출신용기관)과 사업적 연계가 있는 삼성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 등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계열사에는 공통적으로 수출입은행 출신들이 포진해 있다.
굵직한 인사들이 많은 탓에 타사의 사외이사도 겸직하는 일도 더러 있다. 11개사, 22명에 이른다. 특히 삼성물산의 경우 사외이사 4명 전원이 타 기업의 사외이사를 겸하고 있다. 제니스 리(에스오일), 필립 코쉐(Lightstone Generation LLC), 이상승(현대자동차), 최중경(CJ ENM) 등이다.
이렇다보니 계열사 사외이사들이 특정 한 기업에서 만나는 경우도 있다. 가령 삼성물산의 제니스 리 사외이사는 에스오일에서도 사외이사를 맡고 있는데 에스원의 이재훈 사외이사가 에스오일 이사회에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이창우 사외이사와 삼성엔지니어링의 문일 사외이사는 한화손해보험에, 삼성화재 김소영 사외이사와 삼성생명 유일호 사외이사는 효성 이사회에 몸담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사외이사 요건이 까다로워 인력풀이 겹치는 경우가 더러 있다"며 "법규상 2개 이상의 다른 상장사에 겸직하지만 않으면 되기 때문에 문제 되진 않는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VC 투자기업]자비스앤빌런즈, AI 개인화 서비스 강화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매각대금 수령 '난항', 채무 상환 차질로 이어질까
- [캐시플로 모니터]더본코리아, 실적호조에도 순현금유출 까닭은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바틀링·직수출 투트랙 전략…종착점은 '롯데 브랜드'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CJ·알리바바' 신세계 이커머스 살릴 동아줄 될까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관 출신' 권용현 전무, 하락세 기업부문 살리기 미션
- 카카오게임즈, 4년 만에 끝난 CB 전략 '득과 실'
- [VC 투자기업]트래블월렛, 미국·대만 법인 설립한다…해외 매출 기대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
- [Board Change]삼성카드, 새로운 사내이사 코스로 떠오른 '디지털'
- [Board Change]삼성증권, 이사회 합류한 박경희 부사장…WM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