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판매사 지형도 분석]아샘운용, 한투증권 판매 위축…유안타 '굳건'작년 판매 신규펀드 없어…신한·KB증권 '부상'
황원지 기자공개 2024-06-12 07:58:39
[편집자주]
라임·옵티머스 사태로 책임이 무거워지자 주요 판매사들이 리스크 점검을 내세우며 헤지펀드 판매를 꺼리고 있다. 점검이 장기화되자 운용사들은 판매사들의 그물망 심사에 대응하면서도 생존을 위해 다양한 판매 채널을 모색하고 있다. 금융사고 이후 헤지펀드 운용사별 주요 판매채널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더벨이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6월 07일 14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아샘자산운용이 지난해 판매고가 소폭 감소하는 가운데에서도 유안타증권과의 동맹관계를 굳건하게 유지했다. 코스닥벤처 등 공모주 펀드를 다수 설정하면서 이에 강점을 가진 유안타증권과 협업이 많았다. 다만 오랜 우군이었던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신규 펀드 판매가 완전히 끊기면서 잔고가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3월 결산법인 아샘자산운용의 2023년 사업연도 기준 판매사 설정잔액은 2045억원으로 집계됐다. 직전년도 2335억원에서 약 290억원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신규 펀딩이 잇따라 이뤄졌으나 기존 펀드들의 청산이 몰리면서 설정잔액 감소를 피하긴 어려웠다.

전체 잔액이 줄어드는 가운데 유안타증권은 올해도 1위 판매사 자리를 지켰다. 유안타증권의 지난 3월 말 판매잔고는 1228억원으로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지난해 3월 말 1234억원과 잔고는 거의 비슷했으나 비중은 52%에서 8%p 증가했다.
올해 출시한 대부분의 공모주 펀드를 유안타증권이 판매했다. 유안타증권은 공모주 펀드 판매에 강점을 가진 판매사다. 올해 아샘자산운용이 출시한 ‘아샘 든든 코스닥벤처 5호’, ‘아샘 투게더공모주 1호’ 모두 유안타증권에서 판매를 맡았다. 지난해에는 ‘아샘 든든 코스닥벤처 4호’와 ‘아샘 코스닥벤처플러스 9호’, ‘아샘 하이일드 멀티인컴 2호’를 유안타증권에서 팔았다.
베트남 투자 펀드의 상당수도 유안타증권이 판매했다. 아샘자산운용은 2010년대부터 성장성이 기대되는 동남아시아 국가 투자를 시작해 베트남 채권 및 주식에 투자하는 헤지펀드를 여럿 내놓았다. 지난해 설정한 ‘아샘 베트남메자닌채권혼합 3호’를 비롯해 베트남 주식혼합, 베트남 메자닌채권혼합, 베트남 회사채 시리즈 등 여러 펀드가 모두 유안타증권을 통해 판매됐다.
아샘자산운용과 유안타증권 사이 동맹은 김환균 아샘증권 회장으로부터 출발한다. 김 대표는 1996년 장생컨설팅을 설립하기 전 유안타증권의 전신인 동양종금증권에서 일했다. 유안타증권은 아샘자산운용이 펀드 비즈니스를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주요 판매사로 이름을 올렸다.
2위 자리는 KB증권이 차지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KB증권의 판매잔고는 310억원으로 전체의 15%를 차지했다. 작년 하반기 내놓은 하이일드 펀드 영향이 컸다. 지난해 7~8월 중 ‘아샘 하이일드공모주 5호’ 펀드를 KB증권에서 판매했는데, 총 180억원의 신규 자금이 들어왔다.
오랜 관계를 이어온 한국투자증권은 비중이 크게 줄었다. 지난 3월 말까지만 해도 한국투자증권의 판매잔고는 357억원으로 전체의 15%를 차지했다. 아샘자산운용의 세 축인 메자닌, 공모주, 베트남 펀드를 모두 판매하며 주요 판매사로 자리매김했다.
다만 지난해부터 한국투자증권에서의 신규 펀드 판매가 완전히 끊기면서 판매잔고가 절반 이상 줄었다. 올해 3월 말 한국투자증권의 판매잔고는 173억원으로 전년 대비 184억원 감소했다. 비중도 15%에서 8%로 줄어들었다.
신한투자증권도 하이일드 펀드로 판매잔고를 키웠다. 신한투자증권의 지난 3월 말 판매잔고는 122억원으로 전체의 5%를 차지했다. 지난해 3월 말 50억원에서 두 배 이상 늘었다. 이전까지 2018년 판매한 ‘아샘 메자닌플러스 1호’가 판매 펀드의 전부였으나 ‘아샘 하이일드공모주프러스 3호’로 신규 자금을 모집하며 규모를 키웠다.
유진투자증권과의 거래는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유진투자증권은 2019년부터 아샘자산운용과 거래를 텄다. 유진자산운용 대표를 7년 넘게 지낸 조철희 대표가 2019년 아샘자산운용에 합류한 시기 판매사로 이름을 올렸다. 재작년 조 대표가 사임한 이후에도 판매 잔고는 50억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3월, 8월과 10월 연이어 하이일드 펀드와 코스닥벤처 펀드의 판매를 맡으며 협업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황원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라이프운용, 채권혼합형으로 '라인업 다양화'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한국증권, GWM-PB라운지 '투트랙' 전략
- 한국증권, 첫 고액자산가 특화점포 연다
- [영상] 30억 금융 자산가는 증권사 가면 어떤 서비스 받을까?
- 라이프 강대권, '인게이지먼트 4호' 발빠른 목표 달성
- '기관 러브콜' 에이치알운용, 글로벌퀀트 2호 내놨다
- [공매도 전면 재개 점검]롱숏 매니저 부족에…하우스별 '양극화 현상'
- [공매도 전면 재개 점검]CB 헤지 가능해지는 메자닌펀드, 숨통 트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