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AI 진단]CJ, AI 센터 순항…'초개인화·영상 제작' 연구 집중해외파 인재 영입 지속 기술력 제고, 연내 계열사와 시너지 가시화될까
서지민 기자공개 2024-07-11 14:39:13
[편집자주]
2024년 유통가 회장님들의 신년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키워드는 AI였다. 챗GPT의 출현 이후 거세게 불어 닥친 인공지능 바람은 리테일 업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유통기업들이 AI 도입에 속도를 올리고 있지만 아직 가시적인 성과를 낸 곳은 많지 않다. 한 해의 절반이 흐른 시점에서 더벨은 국내 유통기업들의 AI 도입 현주소와 미래 전략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7월 04일 16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통업계 최초로 AI 센터를 설립한 CJ그룹은 일찍이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경영 체계를 구현했다. 다음 과제는 디지털에서 AI로의 전환이다. 계열사 난제 해결을 넘어 신사업을 발굴하기 위한 '엔진'으로 AI를 활용한다는 목표다.AI 센터는 지속적으로 인재를 영입하고 학계와 적극적인 오픈 이노베이션을 수행하며 기술력 제고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초개인화와 콘텐츠 제작 지원 분야에 초점을 맞추면서 점차 성과가 가시화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외부 전문가 스카웃으로 조직 키워…AI 인재양성에도 투자 지속
CJ그룹의 AI 센터는 2022년 4월 개소해 이달 출범 2년 4개월차를 맞았다. 그룹의 4대 성장엔진 '문화·플랫폼·웰니스·지속가능성' 기반 혁신사업 추진이라는 뚜렷한 과제를 안고 AI 허브 역할을 수행 중이다.

이를 이끄는 키맨은 이치훈 센터장이다. 이 센터장은 AI 센터 초대 센터장으로 2년 넘도록 변함없이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다. 지난해에는 그룹의 최고 디지털 책임자(CDO)까지 겸임하면서 입지를 넓혔다.
이 센터장은 적극적으로 우수 인력을 스카웃하며 기술경쟁력을 높였다. 지난해에는 삼성 강서영 경영리더와 김병학 경영리더가 AI 센터에 합류했다. 강 경영리더는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해외에서 주로 경력을 쌓다가 2017년부터 6년간 삼성전자에서 근무했다.
김 경영리더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헬스케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을 거치며 머신 러닝 연구 경험을 쌓은 AI 전문가다. CJ AI 센터에서는 주로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초점을 맞춰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
현재도 AI 최고인재 확보를 목표로 영입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AI 인재양성을 위해 CJ인재원과 서울대와 협업해 그룹 내 리더급 대상 교육을 진행했고 한국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프린스턴대학교 등과 산학협력을 활발히 하고 있다.
혁신적인 AI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기술경쟁력 확보가 우선이라는 판단이다. AI 센터는 그룹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관심 분야에서 원하는 분석을 진행하는 가치화 시스템과 작은 AI들을 연결시켜 원하는 AI 서비스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는 플랫폼 개발을 진행 중이다.
◇엔터테인먼트 분야 기술에 집중, CJ ENM과 협력해 'AI 영상 시스템' 개발
데이터와 AI 플랫폼 구축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만큼 아직 성과가 크게 가시화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하반기부터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주요 프로젝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현재 개발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분야는 미디어다. 엔터테인먼트 계열사 CJ ENM, CJ 4DPLEX와 협업을 통해 영화, 드라마 예능 등 영상 제작을 지원하는 AI 영상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실제 콘텐츠 제작과 유통 과정에서 발생한 어려움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영상 제작 과정을 효율화할 예정이다.
영상 편집 요소들을 AI에 학습시켜 제작자들을 지원하게 함으로서 완성도 높은 콘텐츠 제작에 기여한다는 목표다. AI 센터는 내부 기술 시연과 단계적 검증을 거친 뒤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방송현장으로 시스템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최근 약 1년 만에 AI 센터와 계열사 간 시너지 사례를 공개하기도 했다. CJ온스타일은 초개인화 영상 쇼핑 플랫폼을 목표로 모바일 앱을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이 과정에서 AI 센터는 AI 기술을 도입해 개인화된 상품 추천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았다.
CJ AI센터 관계자는 "현재 '초개인화'와 '콘텐츠 제작 지원' 분야에 집중해 글로벌 독보적 AI 기술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AI 초격차 역량 기반으로 글로벌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Onlyone 가치 창출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서지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경영권 프리미엄' 145% 기대 근거는
- '버거킹' BKR, 최대 실적에도 치솟은 부채비율 '왜?'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CJ·알리바바' 신세계 이커머스 살릴 동아줄 될까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이마트 중심 '오프라인 유통채널' 부활 총력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영원무역 성래은 "M&A보단 스캇 정상화가 먼저"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신세계그룹 '비상경영' 위기에서 찾은 '승계' 기회
-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삼양식품, '핵심지표' 빠진 기업가치 제고 계획
- [대상그룹 톺아보기]임세령이 일군 축육사업…재정비 나선 까닭은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김동찬 삼양식품 대표 "기업가치 제고 계획 협의 예정"
- [ROE 분석]허리띠 졸라맨 한샘, 1년 만 ROE 61%p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