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모니터]인건비 줄이는 롯데, 증가하는 이마트신세계는 인건비율 한자릿수 유지, 현백은 작년부터 두자릿수로 상승
원충희 기자공개 2024-07-19 08:48:14
[편집자주]
이익을 확대하려면 수익(매출)을 늘리거나 비용을 줄여야 한다. 이 중 경기침체 국면에선 많은 기업이 비용을 줄이는 쪽을 택한다. 시장 수요가 줄어 수익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때 '돈을 관리함으로써 돈을 버는' 최고재무책임자(CFO)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THE CFO가 기업의 비용 규모와 변화, 특이점 등을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7월 12일 15시13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유통 대기업들은 매출 대비 인건비가 10%대에서 관리되고 있다. 다만 추이는 회사별로 엇갈린다. 롯데쇼핑이 2021년 이후부터 인건비가 감소추세인 반면 이마트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21년 G마켓 인수 등으로 인건비가 대폭 늘었다.신세계와 현대백화점 역시 인건비는 증가세를 보인다. 신세계는 인건비율을 계속 한 자릿수로 관리하는데 반해 현대백화점은 2021~2022년에 한 자릿수를 유지하다 작년부터 두 자릿수로 뛰어올랐다.
◇롯데쇼핑, 매출 감소에 인건비 조금씩 축소 중
THE CFO가 국내 주요 유통 대기업인 매출 대비 인건비(급여+퇴직급여+복리후생비)를 조사한 결과, 신세계와 이마트, 현대백화점은 인건비가 매년 증가한 반면 롯데쇼핑만 감소세로 돌아섰다. 롯데쇼핑의 연결기준 인건비는 2020년 1조6622억원(매출 대비 10.3%)에서 2021년 1조6883억원(10.8%)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2022년에는 1조6828억원(10.9%)으로 조금 줄더니 작년에는 1조6242억원(11.2%)을 기록, 감소세로 돌아섰다. 반면 인건비율은 계속 상승세다. 달리 말하면 그만큼 매출이 줄고 있다는 뜻이다. 2020년 1조61843억원이었던 롯데쇼핑의 매출은 2023년 1조45558억원으로 감소했다.

롯데쇼핑은 올 3월 말 기준 백화점 32개점(위·수탁운영 2개점 포함), 아울렛 22개점, 할인점 111개점(위·수탁운영 1개점 포함), 슈퍼마켓 181개점, 쇼핑몰 6개점(위·수탁운영 1개점 포함)을 운용하고 있다. 백화점은 서울, 경기권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줄었으며 롯데마트, 롯데홈쇼핑 등이 주춤했다. 다만 롯데홈쇼핑의 경우 매출은 작년 대비 약간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156% 증가했다.
다른 유통 대기업은 반대 행보를 걷고 있다. 전반적으로 인건비가 증가하는 추세다. 이마트의 경우 매출이 늘어남과 동시에 인건비도 증가했다. 2022년 2조1179억원(매출 대비 9.6%)에서 지난해 3조3613억원(11.4%)로 늘었다. 올 1분기도 8714억원(12.1%)으로 전년 동기 8323억원(11.7%)보다 증가했다.
특히 가장 증가 폭이 큰 시기는 2022년이다. 연결기준 3조2987억원으로 전년(2조4913억원)대비 32.4% 늘었다. 2021년 11월 인수한 G마켓(당시 이베이코리아)의 인력 등이 반영된 효과다.
◇신세계·현백, 매출·인건비 동시 증가세
신세계는 연간 인건비율이 한 자릿수로 유지됐다. 2020년 3903억원(매출 대비 8.2%)에서 2021년 4199억원(6.6%), 2022년 4790억원(6.1%), 지난해 5199억원(8.2%)다. 올해 1분기에는 1386억원(8.6%)을 기록했다.
인건비가 계속 오르는데도 인건비율이 한 자릿수를 유지한 것은 매출도 그만큼 증가했기 때문이다. 2020년 4조7692억원이었던 신세계의 매출은 2023년 6조3571억원으로 늘었다. 다만 올 1분기는 1386억원으로 전년 동기(1414억원)대비 줄어든 모습이다.
이와 달리 현대백화점은 작년부터 두 자릿수로 치솟았다. 2020년 2965억원(매출액 대비 13%)였던 인건비는 2021년 3141억원으로 증가했으나 비율은 8.8%로 하락했다. 매출이 2조2731억원에서 3조5724억원으로 급증한 덕분이다.
2022년에도 비슷했다. 인건비는 3994억원으로 2021년 대비 증가했으나 매출이 5조141억원으로 급격히 늘어나 인건비율은 8%로 개선됐다. 코로나 사태가 다소 가라앉고 2021년 2월 오픈한 '더현대 여의도'가 자리잡으면서 매상이 늘었다.
다만 작년에는 11.2%로 급상승했다. 인건비는 4731억원으로 늘었으나 매출은 4조2074억원으로 줄어서다. 올해 1분기 역시 매출이 9517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977억원)대비 감소하면서 인건비율은 12.1%를 기록했다.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8%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
- [Board Change]삼성카드, 새로운 사내이사 코스로 떠오른 '디지털'
- [Board Change]삼성증권, 이사회 합류한 박경희 부사장…WM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