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클로징' MBK, 6호 펀드에 7조 몰렸다 도쿄 연차 총회서 결과 발표…목표액 70% 이상 확보 성공
남준우 기자공개 2024-11-19 09:40:40
이 기사는 2024년 11월 19일 09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MBK파트너스가 최근 2차 클로징을 한 6호 바이아웃 펀드에 약 50억 달러(한화 약 7조원)의 자금을 모으는 데 성공했다. 펀드레이징 시작 후 약 1년 만에 초기 설정 목표액인 70억 달러의 70%가 넘는 투자금을 확보했다.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MBK파트너스는 지난 18일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연차 총회(Annual Investor Conference)'에서 6호 바이아웃 펀드의 2차 클로징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연차 총회에서 직접 연사로 나선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은 "현재까지 약 7조원의 자금이 확약됐다”며 “2025년 1분기에 3차 클로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를 비롯해 북미와 중동 지역 등 다양한 글로벌 LP들의 출자가 이어졌다. 기존 LP들로부터의 강한 신뢰도 확인됐다. 그동안 MBK파트너스에 출자해온 주요 글로벌 LP의 85% 이상이 6호 펀드에 재출자(Re-Up)했다.
이외에 패밀리 오피스와 같은 LP들도 6호 펀드에 참여하는 등 출자자 구성이 전보다 훨씬 다양해졌다. 약 7조원의 펀드레이징은 2차 클로징 기준 올해 아시아 지역 바이아웃 펀드 중 가장 큰 규모로 알려졌다.
올해 펀드레이징을 완료한 아시아 지역 바이아웃 펀드 중에는 유럽계 PE인 CVC캐피탈파트너스의 아시아 6호 펀드가 68억 달러(한화 약 9조5000억원)로 가장 규모가 크다. 2위는 미국 PE인 TPG의 아시아 8호로 53억 달러(한화 약 7조4000억원)를 모았다.
MBK파트너스 관계자는 "올해 일본에서는 아리나민제약 인수와 타사키의 투자 회수가 이뤄졌고, 한국에서는 지오영을 인수하는 등 활발한 투자 활동을 이어갔다"며 "트랙레코드 뿐만 아니라 시장에 대한 뚜렷한 투자 철학, 운용 인력들의 역량과 깊이, 함께 호흡 맞춘 시간 등 종합적인 면모를 살펴본 LP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매각 난항' 한양증권, 원점 재검토 가능성 높아지나
- 원동일 에스아이플렉스 대표, 웰투시에 1000억 '재투자'한다
- '글로벌 운용사' ZCG, 첫 국내 펀딩 도전한다
- 한앤코·정광섭 CFO 또 동행, SK스페셜티 재무통으로
- KCGI·미래에셋, '중복 상장 논란' 에식스솔루션즈 엑시트 플랜은
- '인프라 강자' 스톤피크, 아시아 2호 펀드 조성 추진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형님 잘 둔' 대한항공씨앤디서비스, 한앤코도 웃는다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지급 보증' 테스코, 임대료 미지급 점포 구세주될까
- [thebell League Table]'난공불락' 삼일PwC, 이번에도 산뜻한 선두 출발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FI·SI 다수 접촉' 티오더, 신규 투자 유치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