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고강도 조직개편…신사업본부도 폐지 사업본부 6개→3개, 의사결정 효율성 고려 '단순화' 초점
이재빈 기자공개 2024-12-09 07:48:58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6일 07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GS건설이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조직구조를 기존 4단계에서 3단계로 단순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의사결정구조 효율화를 위한 조치다. 사업본부도 6개에서 3개로 축소했다.6일 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은 최근 사업조직을 개편했다. 11월 말 발표된 GS그룹 정기인사의 후속조치다. 본부·그룹·담당·팀 4단계로 구성돼 있던 조직구조를 본부·부문·팀 3단계로 단순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의사결정구조를 단순화해 본부장을 중심으로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GS건설은 이번 조직개편으로 기존과 비교해 신속한 의사결정과 정보공유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기침체로 인해 사업환경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신속한 대응능력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이같은 조직개편을 단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발표된 2025년 정기인사에서도 사장·부사장·전무·상무 4단계로 구성돼 있던 임원 직급체계를 사장·부사장·상무 3단계로 축소했다.
조직도 한층 슬림화했다. GS건설은 6개였던 사업본부를 3개로 축소했다. 기존에는 △신사업본부 △플랜트사업본부 △그린사업본부 △건축·주택사업본부 △인프라사업본부 △호주사업본부가 최고경영자(CEO) 산하에 자리했다. 개편 후에는 건축과 인프라, 플랜트본부만 남는다.
신사업본부를 통폐합한 건 GS이니마 매각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신사업본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GS이니마가 매각 수순을 밟고 있는 만큼 관련 본부도 통폐합된 셈이다. GS이니마의 3분기 누적 매출은 4023억원으로 신사업본부 전체 매출 9988억원의 40.3%에 달한다.
GS이니마는 아부다비 국영 에너지기업인 TAQA가 인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강력한 경쟁자였던 캐나다 퀘벡 연기금(CDPQ)이 인수전에서 손을 뗐기 때문이다. 시가총액 120조~130조원 수준인 TAQA는 2005년 설립돼 세계 10여개국에서 전력과 수도, 오일·가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GS건설은 임원 인재 풀도 대폭 확대했다. 젊은 임원을 조기 육성하기 위해서다. 또 전문가 성장 과정을 마련해 기술자들이 조직관리자가 아닌 기술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체계도 마련했다.
'님' 호칭 사용도 전사로 확대 적용된다. GS건설은 수평적 조직문화를 위해 직원 간 '님'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임원과 직책자에게는 해당 호칭이 사용되지 않았다. 앞으로는 이들 임원 및 직잭차에게도 '님' 호칭을 적용하도록 변경된다.
GS건설은 지난해 허윤홍 대표이사가 새로 취임한 후 경영 쇄신에 매진하고 있다. 검단사태로 인해 실추된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지난 7월에는 신뢰와 혁신을 강조하는 내용의 새 비전을 허 대표가 직접 발표하기도 했다.
신뢰도 제고 과정에서 아파트 브랜드 자이의 교체도 검토했다. 다만 GS건설은 교체 대신 리뉴얼을 통해 신뢰도를 제고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를 위해 지난 11월 브랜드 리뉴얼 간담회를 열고 브랜드 로고를 변경했다.
같은달 발표된 인사에서도 허 대표의 혁신 의지가 엿보인다. GS건설은 지난 11월 정기인사를 통해 50명의 집행임원 중 20%에 해당하는 약 10명을 줄였다. 지난해보다는 퇴임한 인원이 적지만 예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많은 편이다. 2024년 정기인사에서는 전체 집행인원의 20%에 달하는 임원이 퇴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GS건설 관계자는 "외형성장이 아닌 효율성 제고에 초점을 맞춘 고강도 조직개편을 단행했다"며 "경영환경 불확실성에 대비해 사업관리 능력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 절세톡톡] 은퇴한 기업 CEO들이 찾는 곳, KB TAX솔루션부의 절세 팁은?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테마에 흔들리는 주가 '가려진 성과'
- 하나마이크론, 'SK 연결고리' 베트남 관세 예의주시
- 금감원, 상법개정안 처리 지연 정조준…민주당 책임론 부상
- 금감원 "횟수 제한 없다"...한화에어로 공시 리스크 확대되나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충청권 기업금융 '부메랑', 상상인플러스 충격 '고스란히'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롯데캐피탈, 안정지향 기조가 만든 '무연체' 부동산PF
- 심사 기준 강화, 대신증권 초대형 IB 진입 지연 불가피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관리·감독 문제 고개…중앙회, 지원 체계 개편 '시동'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순이익률로 본 카드사 성적표…삼성의 독주, 반전의 하나
이재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PF Radar]디벨로퍼 신영, KT 신촌지사 개발 하반기 첫삽 뜰까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호반건설, '충당금 1% 하회' 공사비 회수 자신감
- HDC현산, 용산정비창에 파크하얏트 유치 '추진'
- [디벨로퍼 프로젝트 리포트]PIA, 논현 파라다이스빌딩 개발계획 재변경 추진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호반건설, 우발부채 1조 육박…유동자산 2조 상회
- 대신자산신탁, 안동 차입형 사업지 계정대 '유동화'
- [PF Radar]신영에스앤디, 문봉동 IDC 선매매 약정기간 '연장'
- [건설리포트]'재무건전성 강화' 호반건설, 공사원가 관리 과제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한화 건설부문, 장기 지연 사업장 공사비 회수 '과제'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HL D&I한라, 브릿지론 우발부채 해소 '정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