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모멘트 인수' 스톤브릿지, 600억 프로젝트펀드 조성 마무리 브릿지론 상환 목적, 과기공·블라인드펀드 각 300억씩 출자
윤준영 기자공개 2024-12-04 07:48:59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3일 14시2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스톤브릿지캐피탈(이하 스톤브릿지)이 웨딩홀 '아펠가모'를 운영하는 유모멘트 인수를 위해 활용한 브릿지론 상환을 마무리 지었다. 별도 프로젝트 펀드를 조성해 대출을 갚았다. 과학기술인공제회(과기공)를 출자자로 맞은 데 이어 2호 블라인드펀드를 통해 나머지 자금을 충당했다.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스톤브릿지캐피탈은 600억원 규모의 브릿지론 상환을 위한 프로젝트펀드 조성을 마무리 지었다.
스톤브릿지는 올 6월 1200억원 규모로 유모멘트 전환사채(CB)와 우선주를 인수했다. 스톤브릿지가 인수한 유모멘트 CB와 우선주를 모두 전환하면 보유 지분은 72.5%가 된다.
스톤브릿지는 올해 하반기부터 600억원 규모의 브릿지론을 상환하기 위해 프로젝트펀드를 조성하고 자금을 모집해왔다. 지난 10월에는 과기공을 앵커 LP로 확보하며 300억원 규모의 출자를 확약 받았다.
나머지 절반에 해당하는 300억원은 스톤브릿지가 기존에 조성한 2호 블라인드펀드를 통해 충당했다. 당초 일부 금액은 캐피탈사들을 대주단으로 모집할 계획이 있었으나 연말 북클로징 시기가 겹치며 스톤브릿지 블라인드펀드를 활용하기로 했다.
또한 과거 유모멘트에 투자했던 기관들은 이번 딜에 참여하기가 어려웠다. 신한캐피탈이나 IBK캐피탈 등 주요 캐피탈사들은 대부분 이미 기존에 해당 딜에 투자했던 곳들이 많다. 이 때문에 금번 스톤브릿지의 유모멘트 신주 인수 건을 다시 투자심의위원회에 올리기가 어려웠다는 분석이다.
스톤브릿지는 이번 유모멘트 인수를 통해 2호 블라인드펀드 소진율을 높이게 됐다. 스톤브릿지는 지난해 초 6800억원 규모의 두번째 블라인드펀드 모집을 마무리 했다. 이후로 유진소닉, 에이스엔지니어링, 코렌스이엠, DS단석 등의 포트폴리오를 꾸려 왔다.
유모멘트는 서울 주요 도심에 아펠가모와 더채플, 루벨 등 총 8곳의 웨딩홀을 운영하는 회사다. 지난 2021년 에버그린PE가 UCK파트너스로부터 1300억원에 인수했다. 스톤브릿지 인수 후에도 에버그린PE는 지분 27.5%를 보유한 2대주주로 남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율촌 그룹대표 전격 교체, 기업법무·금융 ‘박재현·신영수호 출항’
- [서울보증보험 IPO]밸류에이션 38% 하향…상장 완주 의지
- 산은, 정치리스크 우려 불구 아시아계 SSA서 안밀렸다
- '장기휴면' 회사채 발행사 속속 복귀…무림페이퍼도 동참
- [서울보증보험 IPO]상장 재수 본격화…올 두번째 코스피 주자 '유력'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김광일 MBK 부회장 "절박한 최윤범, 넘지 말아야 할 선 넘어"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지연 끝 주총 파행…MBK "자본시장 유린"
- [LG CNS IPO]더즌 상장 준비 본격화, 카카오페이 의무보호 '1년'
- 한화솔루션 CP 확대, 실적 부진과 연관있나
- [LG CNS IPO]상장후 주가 흐름 예의주시…'하향 압박 지속' 우려
윤준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악셀그룹 사태' KKR, 6호 펀드 '휘청'…국내 출자자 난처
- '고려아연 임시주총 임박' 주요 LP들, MBK·영풍 추천후보 지지
- IMM PE, 신한금융 장기보유 '무게'…우리금융과 다른 길 간다
- SV인베스트먼트, '2000억' BMC 리파이낸싱 추진
-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매각, MBK·칼라일 2파전 되나
- '광폭 행보' CVC캐피탈, 스타비젼 낙점 배경은 '수익성'
- '고환율'과 국내 PEF의 적자생존
- '지지부진'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소수지분 구조로 선회하나
- KB증권, '조단위' LG CNS 리파이낸싱 셀다운 성공할까
- 레이크우드파트너스, 미국 헬스케어 기업 투자 '잭팟' 터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