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이사 중임' 윤대인 대방건설 이사, 보폭 넓힐까 구교운 회장 사위 등기임원 연장, 주택 중심 포트폴리오 조정 관심
김경태 기자공개 2016-10-14 08:15:53
이 기사는 2016년 10월 12일 11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방건설 창업주 구교운 회장의 사위인 윤대인 이사가 등기임원직을 이어나가게 되면서, 향후 행보에 관심이 모아진다. 최근 외부활동도 적극 나서고 있어 경영 활동폭을 지속 넓힐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윤 이사가 대표이사로서 8년째 일하고 있는 대방산업개발에 이목이 집중된다.1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윤 이사는 올 8월 초 대방건설 사내이사에 재선임됐다. 윤 이사는 2001년 8월 최초로 대방건설 사내이사로 취임했다. 그 후 4차례 중임했다. 이번에 또다시 신임을 받는데 성공하면서 새로운 3년 임기를 시작하게 됐다.
윤 이사는 올해 46살로 부인은 구수진 씨다. 구 회장의 사위이자 구찬우 대방건설 사장의 매제다. 나주대학교 태권도학과를 졸업했다. 31살 때 대방건설 임원이 된 그는 조금씩 경영 보폭을 확대해왔다.
올 1월 지역 인재육성을 위한 기금을 전남 나주시에 기탁하는 행사에도 대방건설 대표로 참석하며 외부 활동을 본격 시작했다. 최근에는 연세대학교에서 E-MBA(최고경영자 과정: Executive MBA)를 수료하면서 경영 활동에 대한 의지를 보여줬다.
대방건설은 현재 주택사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포트폴리오 조정 가능성이 제기된다. 윤 이사가 새로운 임기 동안 사업 다각화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해,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방건설 외에 윤 이사가 직접 이끌고 있는 관계사에서도 성과를 거둘지 관심이다. 그는 2008년 8월 대방산업개발 대표이사 겸 사내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2011년과 2014년 두 차례 중임했다. 내년 8월 임기가 끝나지만, 이번에 대방건설 이사직을 또다시 차지하면서 대방산업개발을 계속 이끌어갈 가능성이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무엇보다 부인 구수진 씨 역시 2011년 3월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됐고, 2014년 중임해 윤 이사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방산업개발은 2002년 설립 당시에는 '세건'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다. 그 후 2011년 현재 상호로 바꿨다. 대방건설의 특수관계기업이지만 구수진 씨가 50.01%의 지분을 보유해 대방건설이 지배하는 구도에서 떨어져 있다. 따라서 향후 대방건설 지배구조 재편이 일어날 시 중요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다.
대방산업개발은 2012년과 2013년에는 2600억 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 그 후 새로운 일감을 찾지 못해 실적이 급락했다. 지난해 매출은 236억 원으로 전년보다 71.83% 줄었다. 영업이익은 62.54% 감소한 63억 원, 당기순이익은 93.57% 축소된 9억 원을 나타냈다.
하지만 대방산업개발은 올해 5월 2억 원 유상증자로 자본금을 14억 원으로 늘렸고, 사업을 지속하려는 뜻을 보여줬다. 대방산업개발은 2004년과 2013년에 각 2억, 5억 원 유증을 실시했는데, 3년 만의 증자였다.
실제 대방산업개발은 오랜만에 대규모사업을 맡아 진행하고 있다. 대방산업개발은 시행과 시공을 맡아 마곡지구 B7-1블록과 2블록에 오피스텔 '대방디엠시티2차' 총 714세대를 공급하고 있다. 올 8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는데, 고분양가에도 불구하고 현재 분양률이 70%를 넘어서며 흥행에 성공했다.
대방건설은 같은 지역에서 분양한 '대방디엠시티 1차'를 약 1년반 만에 완판했다. 대방산업개발이 이보다 짧은 기간에 분양을 마무리하면, 윤 이사의 입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SK그룹, 실트론 매각 추진 배경 '오너 지분 탓'
- [Company Watch]삼성메디슨, 소니오 시너지 가시화 '아직'
- [Company Watch]삼성전자, 실적 버팀목 MX…'노태문 직대' 힘실리나
- '파운드리 끈기' 삼성, 빅테크 영업에 'ARM 출신' 투입
- [Company Watch]'호실적' LG전자, 질적 성장 '진검승부' 남았다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DX부문 첫 실적·후속인사 '고차방정식'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