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신용등급 ‘정중동’ 펀더멘털 강화할까 [해운사 재무건전성 점검]③정부 해운업 지원 '수혜'…실적·재무 꾸준한 개선세
고설봉 기자공개 2018-04-19 08:16:34
[편집자주]
정부가 해운업 재건을 위해 전방위 지원을 펼친다. 오는 7월 출범하는 해양진흥공사를 통해 자금을 지원하고 신용보강을 해주는 등 해운사들의 숨통을 터주기로 했다. 정부는 일단 자체 평가 기준 신용등급 'BB' 이상 해운사만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평가를 받게 될 해운사의 경영 및 재무현황을 점검한다.
이 기사는 2018년 04월 16일 10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상선은 이번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의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정부의 전폭 지원으로 총 20척, 35만2000 TEU 규모 컨테이너선 신조 발주에 착수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로부터 금융지원 및 신용공여 등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다만 현대상선의 신용등급은 아직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신용평가사(이하 신평사)로부터 부여 받는 신용등급도 투기등급(BB)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변하지 않고 있다. 최근 실적 및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있는 현대상선이 펀더멘털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한국신용평가 관계자는 "해운재건 5개년 계획 발표를 감안, 정성평가를 최대한 반영해 도출한 신용등급"이라며 "펀더멘털 자체는 조금만 더 떨어지면 투기등급 이하로 내려가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지난 2월 한국신용평가는 현대상선 신용등급을 BB(안정적)로 부여했다. 한신평은 BB 등급에 대해 "원리금 지급능력이 당장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장래 안전에 대해서는 단언할 수 없는 투기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이라고 별도 주석을 통해 밝혔다.
한신평은 평가 리포트에서 "글로벌 영업환경 변화와 저하된 사업경쟁력, 영업실적 부진과 열위한 수익구조" 등을 언급하는 등 지표와 수치를 통해 산출하는 정량평가에서는 현대상선을 높게 평가하지 않았다.
다만 "출자전환 및 조건변경 등 자본확충으로 완화된 재무부담, 정책적 지원 수혜 및 한국산업은행의 지원가능성, 국내 유일의 글로벌 컨테이너선사로서의 중요성" 등 정성평가를 종합적으로 반영했다고 밝혔다.
한국신용평가 관계자는 "해운재건 5개년 계획 발표를 감안, 정성평가를 최대한 반영해 도출한 신용등급"이라며 "펀더멘털 자체는 조금만 더 떨어지면 투기등급 이하로 내려가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신평은 총 4개의 평가 기준을 두고 신용등급을 부여한다. 규모와 시장지위(30%), 사업안정성(30%), 영업효율성(10%),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30%) 등을 토대로 정량평가를 내린다.
|
그동안 현대상선이 신평사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은 실적 때문이다. 정량평가의 주요 지표로 활용하는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이하 에비타)은 2016년 마이너스(-) 6470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현대상선의 에비타는 마이너스(-) 2874억원으로 대폭 수치가 개선됐다.
영업적자 축소가 에비타 개선의 주요 원동력으로 풀이된다. 현대상선은 영업력 회복과 지속적인 원가경쟁력 강화 등 노력으로 적자를 줄였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마이너스(-) 8.09%를 기록했다. 2016년 마이너스(-) 18.18%보다 10% 포인트 넘게 적자폭이 감소했다.
지난해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도 줄어들며 원가경쟁력이 더 좋아졌다. 매출원가율은 102.02%를 기록했고, 판관비율은 6.07%로 집계됐다. 2016년 대비 각각 9.25%와 0.84% 포인트 줄었다.
|
또 다른 주요 평가 지표인 차입금 현황도 현대상선의 펀더멘털 개선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요소다. 지난해 말 현대상선의 부채비율은 301.65%를 기록했다. 2016년 말 349.34%대비 47.69% 포인트 개선됐다.
지난해 현대상선의 총차입금은 2조683억원으로 집계됐다. 2016년 대비 감소했다. 현금성자산은 6764억원을 기록하며 오히려 늘었다. 이에 따라 순차입금은 1조3920억원 수준을 기록했고, 순차입금비율은 155.2%로 집계됐다. 2016년대비 52.97% 포인트 감소했다.
이에 따른 이자비용 및 부채관련 손실 등 금융비용도 지출 규모가 줄었다. 지난해 현대상선은금융비용으로 3403억원을 지출했다. 2016년 3505억원 대비 약 100억원 가량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줄였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매년 실적을 개선하고 있고, 부채도 줄이고 있다"며 "정부 지원이 확정된 만큼 대형선 신조를 통해 원가경쟁력을 더 확보하면 수익성도 대거 올라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이사회 분석]신한카드, 일본계 주주 영향 속 사외이사 2인 교체
- [은행권 신지형도]어느덧 10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 시장 판도 변화는
- [NPL CEO 돋보기]수익은 속도에서 나온다…송호영 키움F&I 대표의 '한 수'
- [이사회 분석]KB국민카드, 통화정책 전문가 모셨다...사외이사에 황인선
- [티맵모빌리티는 지금]'계약 유지율 98%' 티맵 API, 물류기업·구급차도 택했다
- [i-point]크라우드웍스, AI 학습용 데이터 구매 플랫폼 오픈
- [i-point]'코드게이트 2025' 국제 해킹 방어대회 본선 진출자 발표
- [i-point]아이티센클로잇, '파트너스 데이' 개최
- 디앤씨미디어, 보다 끈끈해진 넷마블 관계
- [애경그룹 리밸런싱]AK홀딩스, 유동성 압박 속 추가 매각 카드 꺼낼까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desk]한화그룹이 잃어가는 것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첫 관문' 넘었다…두번째 과제 '계열분리'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미국발 리스크 해소한 기아, 남은 숙제 '멕시코공장'
- 폴라리스쉬핑, 메리츠 차입금 조기상환...이자 300억 절감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현대차, 울산공장 생산·수출 '재조정' 불가피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승계비율 ‘1대 0.5대 0.5’ 분쟁 막을 '안전장치'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무관세·친환경차’ 미국 시장 '톱3' 노린다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메타플랜트 준공 '관세전쟁' 승기 굳혔다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매년 8조 투자…현대차그룹 투자재원 넉넉한가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다시 '주목 받는' 보스턴다이내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