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건설 투자한 세종벤처밸리, 공사 시작 '초읽기' 주민 보상 문제 등으로 지연…SK건설 분양·토목공사 수익 기대
이정완 기자공개 2021-04-01 14:33:59
이 기사는 2021년 03월 30일 13:4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건설이 자체사업 성격으로 진행 중인 세종 벤처밸리 산업단지가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사업은 지역 주민 반대로 인해 개발이 지지부진하던 상황이었다. 공사가 시작되면 분양 수익은 물론 SK건설의 토목 실적 상승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30일 업계에 따르면 SK건설이 지분 29%를 들고 있는 세종벤처밸리는 지난달 초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통해 총 900억원을 조달했다. 대출구조는 트랜치 A 650억원, 트랜치 B 100억원, 트랜치 C 150억원으로 짜였다.
대출 실행을 위해 유동화시장을 활용하기도 했다. 특수목적법인(SPC) ‘인베스트세종제삼차’는 세종벤처밸리에게 150억원의 자금을 지원했다. 유동화자산은 세종벤처밸리의 트랜치 C 대출채권이었다. 대출만기일은 2025년 2월 말이다.
세종벤처밸리는 이렇게 마련한 자금을 바탕으로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심중리 547번지 일원에 세종벤처밸리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한다. 사업비는 1500억원 규모로 오는 5월 착공해 2025년 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종벤처밸리는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시행사다. SK건설이 지분 29%를 들고 있고 지방 건설사인 금송산업개발이 나머지 지분 71%를 들고 있다. 2004년 설립된 금송산업개발은 세종시를 기반으로 하는 건설사다. 연매출은 100억원 수준이다. 세종벤처밸리 외에 세종첨단산업단지(지분율 56%), 예산신소재산업단지(지분율 70%) 등에도 투자하며 산업단지 조성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세종벤처벨리 산업단지는 2015년 입주를 희망하는 벤처기업과 협약을 맺으며 개발이 가시화됐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산업단지 지정계획을 승인했고 같은 해 12월 세종시도 산업단지계획을 승인했다.
다만 산업단지 편입 지역 주민이 사업에 반발하면서 지금까지 공사가 시작되지 못했다. 부동산 보상액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사업이 본격화되기 어려웠다. 시행사 측에서는 상향된 보상액을 제시하며 협의 중이다.
사업이 시작되면 SK건설도 관련 실적이 반영될 예정이다. 2018년 세종시가 세종 벤처밸리 일반산업단지 출자 타당성을 검토하며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분양 매출액은 1422억원으로 산정됐다. 분양 수익을 지분율 만큼 나눠가진다고 가정하면 SK건설 몫은 418억원이다. 이 수치는 2018년 계산된 분양가였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는 가격 상승도 가능하다.
더불어 SK건설은 사업 시공까지 맡고 있어 토목 실적도 함께 상승할 전망이다. 토목 사업을 담당하는 인프라 사업부문은 SK건설 전체 매출의 약 10% 수준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인프라 사업부문은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새로운 산업단지 시공에 돌입하면 실적 반등도 기대할 수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보상 문제 등을 해결한 후 연내 착공에 돌입할 분위기”라고 개발 진행 상황을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 SK건설, 지주사 출신 사내이사 선임…그룹 '영향력' 강화
- SK건설, 높아진 기업가치…자사주에 쏠리는 눈
- 1년 반만 기업가치 두배 뛴 SK건설, 환경사업이 '관건'
- SK건설 녹색채권, ‘조 단위’ 수요 확보…ESG경영 청신호
- SK건설, PRS 계약 만기 도래…IPO 늦출 수 없다
- IPO 앞둔 SK건설, 'IFRS' 변경 마무리 시점은
- SK건설, '드러난' IPO 움직임…회계·세무 전문가 뽑는다
- 녹색 프로젝트 발굴나선 SK건설, 역할 커지는 SV그룹
- 'EMC홀딩스' 품은 SK건설, 계열사 지배구조 손질
- 'ESG 변신' 교두보 쌓는 김병권 SK건설 오또센터장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브이티지엠피, 日라쿠텐 '연간 5억엔 돌파상' 수상
- 현실세계로 나온 '메이플 월드', Z세대에 인기
- 쏘카, 기업밸류 1.5조 '파격적'으로 낮췄다
- [IPO 그 후]브랜드엑스 이수연 대표, 꾸준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 국보 "美 레드힐, 600억대 라이선스·로열티 현금 확보"
- [IB 프로파일]'섬세한 IPO 전략가' 최신호 한국증권 본부장
- [2022 정기 신용평가]'명암' 뚜렷한 신용카드사, 핵심은 '이자비용 관리'
- [VC 경영분석]SV인베, '대형펀드 운용+글로벌 투자' 전략 통했다
- 4년차 신생 에이벤처스, 'AUM 2200억' 돌파
- 전고체 승부수 띄운 삼성, 배터리도 반도체처럼 '2030'?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디앤디, 태영건설과 지식산업센터 개발 '맞손'
- 키움운용, '3500억' 롯데몰 광명점 인수 마무리
- 엠플러스운용, 안성 죽산물류센터 매각 돌입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삼강엠앤티,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 선점 이끈다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블룸SK퓨얼셀, 연료전지 시장 선도하는 기술력
- [디벨로퍼 열전]루시아홀딩스, 도산대로서 완판 '루시아벨트 꿈 이룬다'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기대주' 테스,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의 성장 잠재력
- SK에코플랜트, RCPS 모집 완료…프리IPO 첫 '결실'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환경시설관리㈜, 영업이익보다 돋보인 '에비타' 주목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기업가치 '10조'의 길…친환경 M&A로 채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