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호스' 메테우스운용 "리츠로 존재감 각인시키겠다" [thebell interview]강경윤 부동산투자부문장 "내년 말까지 리츠AMC 본인가"
이돈섭 기자공개 2021-10-22 12:42:32
이 기사는 2021년 10월 19일 14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 국내 부동산 투자 업계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룬 하우스로 꼽히는 메테우스자산운용이 리츠 시장 진출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은행과 증권, 자산운용사 등을 넘나들며 대체투자 쪽 커리어를 쌓아온 강경윤 전 인마크리츠자산운용 부사장(사진)을 영입했다.강 전 부사장은 국내외 금융상품 전문가로 시장 안팎 정평이 나 있다. 말끔한 인상만큼 매너가 좋다는 평도 따른다.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그는 씨티은행과 삼성증권, 뱅크오브싱가포르, 메리츠증권, 인마크리츠운용 등에서 투자기회 발굴에 주력해 왔다.
강 전 부사장이 맡은 직책은 부동산투자부문장. 부동산 투자와 관련된 사업 일체를 전담하는 조직이다. 지난 15일 서울 영동대로 변에 위치한 메테우스운용 본사에서 강 부문장을 만나 그가 생각하는 리츠 시장과 향후 리츠 진출 계획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 물류센터와 데이터센터, 오피스 빌딩 밸류에드 관심

이런 과정에서 김세헌 메테우스운용 대체투자부문 대표와 인연을 맺었고 김 대표는 때마침 사업 확대를 고민하던 노윤현 총괄대표에게 강 전 인마크리츠운용 부사장을 천거했다. 노 대표는 서울의 한 일식집에서 강 전 부사장과 소주 다섯 병을 내리 비워냈다.
"인마크리츠운용 당시 리츠 인가 획득부터 사업 운영 경력까지 사업 전체를 주도해 왔던 경력을 긍정적으로 봐주셨습니다. 수익성 중심으로 일하면서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를 잡아가는 하우스라 평소에 관심이 많았고, 자율성 높은 조직에서 성과를 내고 싶었습니다."
노 대표 체제의 메테우스운용은 펀드 사업과 금융주선 업무에 주력해왔다. 광주 곤지암 물류센터와 이천 복합물류센터 개발 등 트랙레코드도 다양하다. 지난해 순이익은 75억원. 2018년 설립 이듬해 23억원 흑자 전환에 성공, 1년 만에 순이익을 3배 이상 불렸다.
노 대표는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차원에서 벤처 투자와 리츠 방면 등 진출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하지만 사업 분야 적임자를 찾기 어려워 신사업 진출이 차일피일 미뤄지던 상황. 노 대표가 안고 있던 답답함은 강 부문장 만남으로 상당 부분 해소됐을 것이다.
강 부문장은 경기도 오산시를 중심으로 물류센터 개발 기회를 살피는 한편, 데이터 센터 개발을 위한 부지 물색과 서울 강남권 오피스 빌딩 밸류애드 사업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매력적인 물건을 발굴하고 만기가 돌아오는 자산을 두루 엮어 상품을 꾸릴 계획이다.
◇ 내년 하반기까지 본인가 목표…리츠 시장 '확대일로'
강 부문장은 늦어도 내년 하반기까지 리츠AMC 본인가를 취득해 리츠 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본부에는 전문 운용인력 2명이 포진해 있는데, 인가 확보를 위해서는 전문 운용인력을 총 5명까지 충원해야 한다. 당분간 인력 확보에 주력할 수밖에 없다.
"리츠 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진 지가 불과 얼마 되지 않아 이 분야 경력을 쌓은 인력풀이 넓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펀드 운용과 비교해 챙겨야 할 것들도 많죠. 하지만 최근 3년 사이 시장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있어 고무적입니다."
리츠 시장은 향후 성장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강 부문장의 생각이다. 투자자 재산세 분리과세와 현물출자 시 양도세 이연 등 리츠 시장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시장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외국에 비해 시장 규모도 작은 편이다.
투자자 입장에서도 매력적이다. 리츠 상품을 시장에 선보이려면 국토교통부 승인을 거쳐야 하는 까닭에, 편입 자산은 검증을 거칠 수밖에 없어 상품이 안정적이다. 리츠 자산에는 만기가 없기 때문에 장기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퇴직연금 운용상품으로도 제격이다.
모자리츠와 멀티에셋 구조를 활용해 다양한 자산을 편입할 수 있고 상장 시 유동성도 확보할 수 있어 운용사 입장에선 확장성이 높은 사업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부동산 자산 간 양극화가 진행된 까닭에 자산 선별 능력이 중요해진 점은 까다로운 부분이다.
그는 "오피스 빌딩과 주택의 경우 가격이 다시 올라오고 있지만, 호텔 등과 같은 자산은 여전히 빠져있는 상태"라며 "양극화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금융권 전반을 두루 거친 전문가로서 해외 시장으로 행보를 넓혀가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돈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포스코퓨처엠에서 '-29%'…김원용 사외이사의 쓴웃음
- [thebell interview]"상법 개정안은 자본시장 리트머스 시험지"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판사 출신 김태희 사외이사, 에스엠 성장에 통큰 베팅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현대차 유진 오 사외이사, 연평균 5% 수익률 기록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연평균 2%…운용업계 대부 정찬형 사외이사 성적표
- [2025 theBoard Forum]"밸류업 핵심은 이사회…대주주-일반주주 이해 맞춰야"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포스코홀딩스 손성규 사외이사 상속 지분 포함 5배 수익
- 상법 개정안 논쟁의 순기능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LG생활건강 저점 판단…이태희 사외이사 베팅 결과는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들썩이는 방산주, 한국항공우주 사외이사 '일거양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