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League Table]소형 메자닌 펀드, 폭락장 속 존재감 발휘[헤지펀드/규모별 수익률]설정액 500억 미만 DB운용 메자닌 33% 상위권
이돈섭 기자공개 2022-07-19 08:16:47
설정액 1000억원 이상 대형펀드 성과는 부진했다. 연초 이후 두 자릿수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가 있었지만, 설정 후 누적 수익률이 마이너스 92% 밑으로 고꾸라진 것을 감안하면 유의미한 수익률을 낸 펀드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설정액 500억~1000억원 중형펀드 중에서는 현금 비중을 늘린 롱숏펀드가 돋보였다.
◇전체 헤지펀드 수익률 상위권, 대부분 소형펀드
더벨 헤지펀드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설정기간 1년 이상 운용규모 100억원 이상 626개 헤지펀드 중 설정액이 500억원 이하 소형펀드는 총 534개였다. 국내에서 PBS를 이용해 설정한 헤지펀드 10개 중 9개 정도 규모가 500억원을 넘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 펀드들의 연초 이후 수익률 평균은 마이너스 5%였다.
펀드 설정규모별 리그테이블은 설정액 1000억원 이상 대형펀드와 500억~1000억원 사이 중형펀드, 500억원 이하 소형펀드 등 세 구간으로 분류했다. 소형펀드의 연초 평균 누적 수익률 마이너스 5%는 대형펀드 마이너스 5.8%에 비해 선방한 결과이지만, 중형펀드 마이너스 4.3%와 견주면 다소 힘이 달리는 모습이었다.
다만 개별 수익률은 상당한 수준으로, 전체 펀드 중 수익률 상위 상당수가 소형펀드로 분류됐다. 소형펀드 수익률 상위 10위 펀드 중 9개 펀드가 전체 펀드 상위 10개 안에 들어갈 정도였다. 전체 펀드 중 플러스 수익률 펀드 비중이 3분의 1에 불과하고 해당 평균 수익률이 3.5%였음을 감안하면 전체 성과를 견인한 셈이다.
가장 높은 수익률을 거둔 펀드는 코너스톤자산운용 '코너스톤 일반사모메자닌투자신탁 제1호'였다. 지난 6월 말 이 펀드 설정액은 201억원으로 지난해 말과 변함없었다. 연초 이후 수익률은 42.9%로 가장 높았지만 4년 전 설정 이후 누적 수익률이 마이너스 98.6%로 최근 6개월 수익률이 큰 의미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DB자산운용 'DB메자닌플러스 코스닥벤처 일반사모투자신탁 제2호'가 연초 이후 33% 수익률로 상위 2위에 이름을 올렸다. 해당 펀드의 설정액은 103억원으로 최근 6개월간 117억원이 빠져나갔다. '케이알 전문투자형 사모부동산 제14호'와 '옵티멈 스칼렛 사모부동산 22호'가 각각 26.6%와 24.9%로 선두권에 랭크됐다.
케이알 부동산 펀드와 옵티멈 부동산 펀드 모두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 인근 스칼렛빌딩을 자산으로 담고 있는 펀드다. '파인트리 일반사모투자신탁 803'도 22.5% 수익률로 상위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갔다. '코람코 프리IPO 공모주'와 '블래쉬 하이브리드' 등도 두 자릿수 수익률을 내며 시장 악조건 속 약진했다.
◇대형펀드 성적 부진…롱숏 중형펀드 성적 '차곡차곡'
일부 대형 펀드 약진도 눈에 띄었다. 다만 플러스 성과를 낸 대형펀드 수익률 평균치는 2.6% 수준에 불과해 큰 의미를 부여하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펀드 중에서는 1729억원 규모 AIP 유로그린 12호 펀드와 1140억원 규모 헤리티지 에스앤엘403 펀드가 각각 4.3%, 1.9% 수익률을 내며 선방했다. 그 밖의 플러스 수익률 대형펀드들은 모두 채권형이었다.
중형펀드 수익률 최상위권에는 샘자산운용의 '샘19-1 일반사모투자신탁 제1호'가 랭크됐다. 지난 6월 말 이 펀드 설정액은 623억원으로 지난해 말 309억과 비교해 314억원(101.6%) 증가했다. 이 펀드는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롱숏 전략 주력 펀드로 연초 이후 7.5% 수익률을 기록하며 동 전략 펀드 성과를 크게 압도했다.
펀드 내 현금 비중을 전체 자산의 60%까지 확대한 것이 수익률 유지에 도움이 됐고, 2019년 11월 설정 이후 누적 수익률 147.4%에 상당 수준 보탬이 됐다. '헤리티지 미국 맨해튼'(586억원, 5.7%), '과 '쿼드 앱솔루트 롱숏 에쿼티(513억원, 4.8%)'가 그 뒤를 이었다. 중형펀드 상위권 10위 안에는 부동산 펀드가 7개 포함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Art Feed]1000억 짜리 자코메티 조각 공개…삼성 리움미술관 소장품전
- [영상]'황제주' 등극 삼양식품…불닭으로 어디까지 가나
- [i-point]대동, 새만금서 '정밀농업 솔루션' 고도화 협력 추진
- [Sanction Radar]반복된 코인거래소 전산장애…DAXA 차원 대응책 마련
- 엑스페릭스, 'ID4Africa 2025'서 초박형 광학식 지문스캐터 공개
- [thebell interview]"수익성 개선 집중, 포트폴리오 다각화 자신"
- [i-point]폴라리스오피스·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AI 기반 IP 투자 생태계 조성
- [Company Watch]삐아, 물류 법인 '삐아서비스' 설립 배경은
- [thebell interview]채이배 소장 “세금 행정 불합리 개선 노력할 것"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감사의견 적정'시큐레터, 1년 개선기간 행보 주목
이돈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감액배당 리포트]KT알파, 사업 재편 중 자본 재배치…시장 반응은 아직
- [금융지주 사외이사 트렌드]하우스 색깔 제각각…규모 확대냐 구성 변화냐
- [금융지주 사외이사 트렌드]여성 교수 이사회 진입 가속화…전공분야는 다양해져
- [금융지주 사외이사 트렌드]전문성 요건 강화하자 기업인 늘었다
- [금융지주 사외이사 트렌드]사라지는 관료 출신…사외이사 인식 변화 '실마리'
- [영상]주식시장 '큰손' 국민연금…의결권 이렇게 행사한다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SKC 전직 의장, 직접 투자에 주식 보상 얹은 결과는
- [감액배당 리포트]에스트래픽 밸류업 시동…감액배당 PBR 확대 이끌까
- [이사회 분석/코오롱인더스트리]종교인 출신 사외이사 영입한 까닭
- [저평가 시그널: PBR 0.3]지주사 만성적 저평가…16개가 0.3배 미만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