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턴운용, 헤지펀드부문 분사 추진한다 2021년 출범후 독립 결정, 인력충원 등으로 확대 계획
황원지 기자공개 2023-09-13 08:20:05
이 기사는 2023년 09월 08일 15:3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마스턴투자운용이 헤지펀드 부문의 분사를 추진한다. 마스턴운용은 2021년 헤지펀드팀을 신설해 현재 공모주 및 하이일드 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현재 4명 내외의 운용역 외에 경영지원 등 추가 인력을 충원해 총 10명 내외의 조직을 구성할 계획이다.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마스턴투자운용은 마스턴헤지자산운용 독립을 준비중이다. 내부의 헤지본부를 100% 자회사로 분사해 스핀오프 시키는 방안이다. 최근 준법감시인 채용을 마치며 조직 구성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마스턴투자운용은 2021년 1월 헤지펀드 시장에 진출했다. 주력인 부동산 투자 외에도 투자자산을 다변화하는 차원이었다. 당시 외부에서 인재를 영입해 총 4명으로 헤지펀드팀을 꾸렸다. 독립적인 조직으로 시작해 현재 헤지부문으로 승격돼 운영중에 있다.
대표 펀드는 ‘코어인컴REIT일반사모투자신탁제5호’다. 부동산 투자에 강점이 있는 하우스 특성을 살려 국내 상장 리츠에 투자한다. 롱온니 전략으로 설정돼 따로 PBS 서비스는 이용하지 않고, 수탁사는 한국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이다. 2021년 8월 설정돼 165억원 규모로 운용중이다. 같은 전략의 코어인컴REIT6호가 지난해 7월 43억원 규모로 추가 결성되기도 했다.
이외에 코스닥벤처와 하이일드 등 공모주 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현재 ‘마스턴공모주일반사모투자신탁1호’와 ‘마스턴공모주하이일드일반사모투자신탁2호’가 각각 47억원, 67억원 규모로 가동되고 있다. 두 펀드 모두 2021년 1월 첫 시작 당시 설정된 펀드다.
현재 헤지부문을 이끄는 유나무 이사가 신설 법인도 이끌 것으로 보인다. 유 이사는 키움증권, 한화자산운용을 거쳐 2020년 9월 마스턴투자운용으로 자리를 옮겼다. 합류 후 헤지펀드팀을 꾸려 지금까지 이끌고 있다. 현재 마스턴운용의 헤지부문은 유 이사를 포함 4명의 운용역으로 구성돼 있다. 최근 준법감시인 채용을 완료하며 경영지원조직 인력도 충원, 조직 구성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아직 출범일은 정해지지 않았다. 올해 초까지는 9월 중 분사를 계획하고 있었으나 인가 등 일정이 지연됐다. 마스턴운용 관계자는 “아직 분사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으로 출범일이나 출범 후 전략 등은 미정인 상태”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이창용 한은 총재, 전례 없는 위기 속 핵심 과제는
- 강태영 NH농협은행장, 금융사고 제로화 원년 만든다
- '딥체인지' 꾀하는 삼성카드, 플랫폼·데이터 '사활'
- [2024 유통가 리포트]뜨거운 'IPO·M&A' 열기, '블루오션' 입증
- 웅진, 정기인사에 내포된 'IT사업' 강화 의지
- [i-point]휴림로봇, 글로벌 이차전지 제조사 로봇공급자격 획득
- [i-point]비트나인, 사명 '스카이월드와이드' 변경
- [Red & Blue]'나홀로 산타랠리' 우주일렉트로, 수익성 부각
- [Company Watch]세토피아, '세토피아빌딩' 양수 또 다시 연기
- [카드사 생크션 리스크]파견직원 일탈 막는다…KB국민카드, 개인정보 보안 강화
황원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유진운용, 중장기채로 채권펀드 라인업 확대
- 증권사 인사코드 '퇴직연금'…치열해지는 전장
- [thebell PB Survey]"내년에도 국장보단 미장" 해외주식형 펀드 '주목'
- [Adieu 2024]ELB 전성시대…ELS는 실물상환형 인기
- 'NH 루키리그' 더블유운용 랩, 하락장에도 목표달성
- [배당ETF 돋보기]한화 PLUS 고배당주, 배당수익률 최상위권 ‘주목’
- 순항하는 배재규호…한투운용 임원급 모두 재신임
- 엄준흠표 신영운용, AUM 변화 기류 'MMF 1조 돌파'
- [Adieu 2024]신규펀드 주축 'ETF'…금리인하에 채권형 강세
- [Adieu 2024]빨간불 들어온 수익률, 일반주식형 펀드 1.5조 순유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