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 Radar]'역대 최대 정기출자' 과기공, 기업투자 드라이브 배경은AUM 증가 속 기업투자 비중 목표 30% 유지, '전망 밝다' 판단
이영호 기자공개 2024-08-22 08:13:26
이 기사는 2024년 08월 20일 14시18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과학기술인공제회(이하 과기공)가 기업투자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앞서 역대 최대 규모 정기출자에 나서면서 시장 눈길을 끄는데에도 성공했다. 과기공은 투자 포트폴리오 중 기업투자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다. 하반기 기업투자 수익 전망치가 긍정적이라는 판단으로 과감한 출자행보에 나섰다는 관측이다.20일 업계에 따르면 과기공은 올해 기업투자 비중 목표치를 30%로 설정했다. 이는 예년과 비교했을 때 비슷한 수준이다. 기업투자는 프라이빗에퀴티(PE), 벤처캐피탈(VC) 출자를 통한 간접투자 방식으로 이뤄진다. 실제 과기공은 전체 운용자산(AUM) 가운데 기업투자 비중을 28~29% 정도로 유지하고 있다.
과기공 AUM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AUM 11조원을 넘겼다. 올해 AUM 역시 더 커지고 있다. 기업투자 비중이 극적으로 변화한 것은 아니지만 현행 기준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과기공이 기업투자에 투입할 수 있는 실탄은 상당 수준 늘어난다.
이를 토대로 과기공은 하반기 들어 기업투자 출자에 보다 힘을 싣는 모습이다. 과기공은 이달 정기출자에서 PE, VC에 총 2850억원을 제공하겠다고 공시했다. 이는 역대 과기공 정기출자 사업 중 가장 큰 규모다.
과감한 출자 행보에는 하반기 기업투자 전망에 대한 긍정 평가가 깔려있다. 기업투자가 타 자산군 대비 하반기 리스크 관리에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결과다. 지난해 전체 수익률을 견인했던 주식투자의 경우 상반기 호조세가 연말까지 이어질지 불분명한 면이 있다. 부동산과 인프라 등 타 대체투자는 투자심리 회복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업투자는 과기공에 오랜 기간 견조한 투자 성과를 안겨다줬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 기준 연평균 투자수익률은 약 8.9%다. 기업투자가 최고 수익률을 내는 것은 아니었다. 다만 투자구조로 상방을 열어놓으면서 하방은 막을 수 있다. 꾸준하게 투자 수익을 내면서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는 셈이다.
투자 수익률로만 본다면 두자릿수 수익을 거두는 주식투자를 따라잡긴 어렵다. 다만 주식시장의 큰 변동성은 변수다. 실제 2022년 주식투자는 -18.91% 손실을 기록하기도 했다. 기업투자에 이어 비중이 두 번째로 큰 부동산투자도 그간 10% 가까운 수익률을 냈다. 다만 지난해부터 부동산 투자심리가 꺾였다는 점에서 불확실성이 있다.
과기공이 기업투자에 힘을 주면서 PE업계 주목도도 높아졌다. 금번 과기공 정기출자에는 내로라하는 PE들이 몰릴 것으로 전망된다. 하우스당 배분되는 금액이 300억~500억원 규모로 커졌다. 블라인드펀드를 조성 중인 PE들이 군침을 흘리는 이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영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대차잔고 상위권' 에코프로비엠, 반전카드는?
- 한진칼 '주총장 등장' 호반, 일부 안건 '이의제기'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셈법 복잡해진' 글로비스, 사업다각화 기회 살릴까
- 공매도 재개 앞두고…UBS "국내 이차전지 섹터 팔아라"
- 'SK' 이름 떼는 SK렌터카 득실은
- B2C 중고차 진출 롯데렌탈, '조용한 행보' 이유는
- [변곡점 맞은 해운업]'호실적' 팬오션, BDI 추세 '관건'
- 수익성 주춤 롯데렌탈, 사업재편 '성장통'
- [2025 thebell 경영전략 Forum]"제조업 부흥 원하는 트럼프, 한국이 파트너 돼야"
- '최대 매출' 대한항공, 조원태 회장 보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