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 지킨 정신아, 올해도 자사주 매입 '시동' 1억 상당 장내매수, 8월에 한 번 더 '예고'
노윤주 기자공개 2025-02-20 07:35:14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9일 18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사진)가 매년 두차례 자사주를 매입하겠다는 약속을 지켰다. 주가 부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기적인 자사주 매입으로 책임경영 의지를 표명하겠다는 입장이다.하지만 정 대표의 부양 행보와 실적 호조에도 카카오 주가는 좀처럼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다. AI 서비스 부재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시장은 연내 오픈AI와 협업해 선보일 서비스를 기다리고 있다.
19일 카카오는 정신아 대표가 자사주 2626주를 매입한다고 공시했다. 매입 금액은 총 1억원이다. 이날 먼저 1330주를 주당 3만8900원에 장내매수했고 20일 1296주를 주당 3만9150원에 매수하겠다고 사전 보고 형식으로 공시를 올렸다. 이번 매입으로 정 대표의 보유 주식수는 기존 4871주에서 7497주로 늘어났다.
정 대표는 지난해 취임과 함께 주주서한을 통해 매년 2월과 8월 실적발표 이후 각각 1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겠다고 약속했다. 연말 결산과 반기 결산 실적발표 직후 자사주를 매입하며 경영 성과에 책임을 지겠다는 의미다. 실제로 지난해 5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1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을 이행했다.

더불어 정 대표는 대표이사 재직 기간 동안 매입한 주식을 매도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여기에 경영성과 연동 보수 책정 제도를 도입했다. 정 대표 보수의 60%에 달하는 성과급을 주주수익률 기반으로 산정한다. 단기성과급은 당해 사업의 주주수익률을 기준으로, 장기성과급은 3개년간의 주주수익률을 기반으로 계산한다.
정 대표가 나서 책임경영 의지를 다지고 있지만 카카오 주가는 좀처럼 상승 구간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올해 1월에는 3만5000원대에서 거래되기 시작했고 오픈AI와의 협업 소식이 전해지며 최근 4만5000원까지 상승한 바 있다.
하지만 곧바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실적 호조를 반영하지 못하는 모양새다. 카카오는 최근 4분기 실적발표에서 2024년에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결 기준 매출은 7조8738억원, 영업이익은 4915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4.2%, 6.6% 증가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번 자사주 매입도 지난해 주주서한에서 밝힌 약속의 일환"이라며 "작년엔 5월에 첫 매입을 했지만 올해부터는 2월 8월 두차례 매입하기로 했었다"라고 설명했다.
IT 업계서는 자사주 매입에 더해 AI 서비스 출시가 더해져야 주가가 움직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오픈AI와 파트너십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장에서 기대감이 커졌었다"라며 "그 이후로 구체적인 협업 내용이 공개되지 않아 기대가 식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결국 킬링 서비스 출시 여부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미술품 증권신고서 분석]아티피오, 투자증권 정정 후 통과…핵심은 '배당소득세'
- [i-point]소룩스 "주가하락 반대매매 탓, 임상·합병 추진 계속"
- [i-point]아이티센 "금 품귀 현상, 조각투자·개인거래 등 대안 주목"
- 무뇨스 현대차 사장, 첫 타운홀 미팅…'3H 청사진' 의미는
- '현대엔지 시공' 신광교 클라우드시티 '반도체 수요 겨냥'
- 에스이인터, ‘젤라또피케’ 브랜드 안착…사업 다각화 순항
- [에이유브랜즈 IPO]무신사 플랫폼 동반성장, 브랜드 발굴 '성공작' 나올까
- [주주총회 프리뷰]주주서한 받은 농심, '기업가치 정상화' 요구 배경은
- [Company Watch]현대지에프홀딩스, 재무 청사진 '순차입금 20% 감축'
- [IR Briefing]이광후 모니터랩 대표 "SaaS 플랫폼 비즈니스 집중"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T AICT 파트너]김영섭 '성공 공식' 따르는 KT클라우드, 외부 협력 '강화'
- 'AIX' 속도 올린 SKT·SKC&C, 세무조사에 발목 잡히나
- 한경협 회원사 된 두나무, 코인 산업 '양지화' 기대
- 국세청, 코빗·업비트 세무조사 착수…코인 업계 '긴장'
- [KT AICT 파트너]커지는 디지털트윈 시장에서 속도조절 '일단 육성부터'
- 빗썸·KB 제휴 새 사례, 거래소들 은행변경 '물꼬' 트나
- 약속 지킨 정신아, 올해도 자사주 매입 '시동'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코인원, 한숨돌린 법인계좌 문제 '시스템 개발 속도' 중요
- [KT AICT 파트너]'조단위 투자' LLM 개발, 비용 절감 위해 래블업 '맞손'
- 두나무, MPAG 지분 75% 확보 '포트폴리오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