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교보생명, 신창재-유필화 '콤비 플레이' [지배구조 분석]신창재 회장-유필화 선임사외이사, 대산문화재단때부터 인연

안영훈 기자공개 2014-07-10 08:22:51

이 기사는 2014년 07월 08일 16시3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사진)은 생명보험업계 내 유일한 오너 대표이사로, 자산 75조 원의 교보생명 경영을 직접 챙기고 있다.

크기조정신창재
전문경영인에게 실제 경영을 맡기고 이사회 의장으로 참여하는 손해보험사의 오너와는 다른 모습이다. 지난해 교보생명은 신 회장 밑으로 부회장 자리를 마련했지만 다른 회사의 경영 고문과 같은 역할만을 수행한다.

실제 경영은 신 회장을 중심으로 한 부사장·전무 경영진에서 이뤄진다. 모든 것을 직접 챙겨야 하는 신 회장의 경영스타일에 기인한다. 신 회장은 차·부장급으로 이뤄지는 파트장 인사 하나도 직접 담당자와 면담을 가지고 결정할 정도로, 하나에서 열까지 모두를 직접 챙기고 있다.

◇ 외부 인사와의 불편한 동거

문제는 이사회 지배구조다. 아직까진 한번도 충돌을 빚지 않았지만 교보생명의 이사회 구조는 모든 것을 본인이 직접 결정하고 챙기는 신 회장에게 불편하다.

교보생명 이사회는 신 회장을 비롯한 사내이사 3명과 사외이사 4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사외이사 2명(박영택, 하리 라잔)은 교보생명의 주요 주주인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와 코세어캐피탈 쪽 인사다.

신 회장측 지분 33.78%엔 개별적으론 못 미치지만 외국계 주요 주주들의 지분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 신 회장은 불편한 동거를 감수하고 있는 것이다.

신 회장이 오랜 꿈인 우리은행 인수와 관련해서, 최근 "임원들과 상의하고 이사회 결정에 따라 최종 결정하는 것이며, 내가 뭐라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며 "아직 결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말한 것도 불편한 동거를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교보1

◇ 든든한 아군 선임사외이사…10년 넘은 친분

교보생명은 올해 2년 임기가 만료된 유필화 사외이사(성균관대 교수)의 재임을 결정했다.

유 사외이사는 재임 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교보생명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장, 보상위원회 위원장,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위원장은 아니지만 리스크관리위원회와 경영위원회에도 참석하고 있다. 교보생명 이사회 산하 5개 위원회에 모두 참석하고 있는 것이다.

교보2

외국계 주주측 사외이사 2명이 모두 이사회 산하 위원회 활동이 힘들어 나머지 사외이사 2명만으로 자리를 채우면서 이뤄진 일이지만, 신 회장에겐 불편한 동거관계 속에서 지배력을 강화하는 기회가 됐다.

유 사외이사가 교보생명 사외이사로 선임된 것은 2012년이지만 신 회장과의 개인적인 친분은 10년 넘게 이어져 왔기 때문이다.

교보생명의 창립자인 고 신용호 전 회장은 지난 1992년 국내 문인들의 후원을 위해 대산문화재단을 설립했고, 1993년 신창재 회장은 대산문화재단 이사장으로 취임했고, 1990년대 말 신 회장은 대산문화재단의 이사로 유 사외이사를 영입했다.

결국 신 회장과 유 사외이사의 관계는 '대산문화재단 이사장과 이사' 관계에서 현재 '교보생명 이사회 의장과 선임사외이사' 관계로 변화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