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저축은행 자금세탁방지체계 개선지도 동부·NH 등 6개사…의심거래 추출기준, 보고체계 미흡 등 지적
원충희 기자공개 2017-01-16 09:45:35
이 기사는 2017년 01월 13일 17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감독원이 동부·NH·더케이 등 자금세탁방지체계가 허술한 6개 저축은행에 대해 개선을 지도했다. 이들은 의심거래 보고체계가 미비하고 자금세탁 위험평가 및 고객확인 업무도 소홀히 한 것으로 나타났다.1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동부·KB·NH·더케이·예가람·MS 등 6개 저축은행을 점검한 결과와 개선사항을 최근 통보했다. 이들 모두 의심거래 추출기준이나 보고제도에 문제가 있는 등 자금세탁방지체계가 미비했다.
금감원 측은 "이들 저축은행은 의심거래 추출기준의 적정성 여부를 분석해 기준을 변경하거나 조정하는 등 추출기준의 적합성을 점검해야 하는데 이를 소홀히 했다"며 "의심거래로 추출된 금융거래 중 일부를 보고하지 않고 제외사유도 제대로 기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의심거래 추출기준 적합성 점검을 철저히 하고 의심거래 보고에서 제외하는 경우 제외사유를 명확히 기재토록 하라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심거래보고제도와 고액현금거래보고제도에 따라 금융회사들은 금융거래 중 불법재산 및 자금세탁 행위로 의심되는 거래에 대해 금융정보분석원에 보고할 의무가 있다. 금융정보분석원은 이런 정보를 모아 분석해 법 집행기관에 제공하는 금융위원회 소속기관이다.
그러나 저축은행의 경우 정밀한 자금세탁방지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곳이 많아 의심거래 보고를 누락하는 등 자금세탁 방지의 구멍으로 여겨지고 있다. 실제로 이번에 지적받은 6개 저축은행 가운데 일부는 자금세탁 위험평가나 고객확인 업무를 소홀히 했다. 이럴 경우 대부업자, 카지노사업자, 환전상 등 자금세탁 고위험 직종들의 거래를 제대로 살펴볼 수 없다.
금감원은 "의심거래 고객 확인시 직업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해 자금세탁 위험평가가 적절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개선하라고 권고했다"며 "의심거래 및 고액 현금거래 보고책임자로 일정 권한과 직위에 있는 임직원을 선임토록 지도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전략 청사진’ 공개 금호타이어, 불확실성 극복 키워드는
- [CAPEX 톺아보기]LGD, 2000억 추가 확보 '8세대 대신 6세대 OLED 올인'
- 스마일게이트, 순이익 반토막에도 '실속은 2배'
- [SK스퀘어의 새판짜기]SK플래닛, 수익성 위해 OK캐쉬백만 남긴다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승계 지렛대' 수산아이앤티, 2세 경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 강공' H20 수출규제, 삼성전자 돌파구 '절실'
- KT, AI중심 콘텐츠 전략 '유효' 미디어 매출 목표는 '글쎄'
- [상호관세 후폭풍]'급박' 삼성SDI, 트럼프 인연 '특급 로비스트' 고용
- 열매컴퍼니, 요시토모나라 증권 넉달만에 청산
- [디벨로퍼 리포트]신영, 여의도·한남 사업 성과…'외형·수익성' 다 챙겼다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배구조 분석/코리안리]원종규의 오너십, 자사주+백기사 '이중방벽'
- [지배구조 분석/두산]오너 개인보다 가문…'친족경영'으로 지배력 보강
- [지배구조 분석/엔씨소프트]김택진, 지분 희석 보완책 '백기사'
- [지배구조 분석/네이버]지분에 기대지 않는 창업자 이해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사외이사 주 연령은 50~60대, 남성이 76% 이상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