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 Briefing]현대위아 "완성차 中 판매 부진 때문에…"'엔진 수요' 뚝 매출 급감, 고정비 상승 '영업이익·순익' 동반부진
고설봉 기자공개 2017-07-28 08:19:31
이 기사는 2017년 07월 27일 16시3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위아가 올해 2분기 부진한 실적을 내놨다. 중국 내 완성차 판매부진에 따른 자동차 엔진 수요 감소에 따른 결과다. 산업기계 등 기계장치 매출도 감소세를 보였다. 중국 내 핵심사업 부진이 심화되는 가운데 멕시코와 서산 등 신규 공장에서 고정비가 높아지면서 영업이익도 둔화됐다.현대위아는 2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컨퍼런스 콜을 진행했다. 엔진 사업의 중국 내 완성차 판매 부진에 따른 수요 둔화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엔진, 소재, 터보차저 등 중국 핵심사업 부진이 심화되면서 매출 상승세가 꺾인 것으로 해석된다.
더불어 기계부문은 지난해부터 지속된 수주감소에 따라 매출이 줄어들고 고정비 부담이 증가됐다. 경쟁 업체와 가격 경쟁 심화로 인해 판매 활성화 비용 증가 등으로 인한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 겪었다. 또 일부 일회성 비용이 발생해서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이명호 재경본부장(전무)은 "올해 상반기 완성차 판매 부진에 따른 주력사업인 자동차 엔진의 판매 부진과 산업기계 등 프로젝트성 기계장치 매출의 감소로 전체 실적이 부진했다"며 "더불어 가동률이 본 궤도에 오르지 못한 멕시코와 서산 디젤 공장의 고정비용이 높아 영업이익도 지난해 동기대비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어 "기계부문은 판매 부진과 고정비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 원인으로 영업적자를 기록했다"며 "경쟁심화에 따른 판매 활성화 비용 및 신제품 런칭 비용 등도 추가로 투입되면서 영업이익 실현이 잘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올해 하반기에는 실적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한다. 이 전무는 "하반기에도 자동차산업 및 전반적인 경영 환경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러나 차량부품 및 기계 산업에 걸쳐 전반적으로 공장 가동률 상승으로 상반기에 비해 개선된 경영 성과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이 전무는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던 서산 및 멕시코 등의 공장 가동률이 상승하면서 적정수준의 수익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소형 카파엔진 공장이 가동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 신규공장 가동률이 정상화되면 하반기로 갈수록 고정비가 줄어들면서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또 "기계부문은 범용기와 FA(공장자동화)에서 수주가 늘고 있는 만큼 하반기 실적 상승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만 이 전무는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며 "정치적 이슈가 해결되면 중국 엔진공장 가동률도 점차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위아는 올해 2분기 매출액 1조 8133억 원, 영업이익 301억 원, 순이익 403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은 6.9% 감소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66.8%, 31.2% 감소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윤석열 대통령 탄핵]새정부 출범 대응 고심, '무게 실리는' 재계 대관조직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오션 지분매입·에어로 유증, 이사회 투명성 지켜졌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회장의 '과감한' 결단, 승계 속도 높였다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상선에 '건설사 붙이기' 그 성과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thebell desk]한화그룹이 잃어가는 것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첫 관문' 넘었다…두번째 과제 '계열분리'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미국발 리스크 해소한 기아, 남은 숙제 '멕시코공장'
- 폴라리스쉬핑, 메리츠 차입금 조기상환...이자 300억 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