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국민은행, 1년째 떨어지던 BIS비율 반등 기본자본비율 하락, 보완자본비율 상승…조건부자본증권 발행 효과

원충희 기자공개 2018-07-20 15:43:23

이 기사는 2018년 07월 20일 08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B국민은행의 국제결제기준 자기자본비율(이하 BIS비율)이 5개 분기 만에 반등했다. 기본자본비율(Tier1)과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하락했으나 지난 4월 발행한 3000억원 규모 조건부자본증권이 보완자본으로 편입되면서 BIS비율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20일 KB금융지주에 따르면 6월 말 국민은행의 BIS비율은 15.89%로 전분기(15.81%)대비 0.08%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1분기부터 꾸준히 떨어지던 BIS비율은 5개 분기 만에 반등했다. 은행의 BIS비율이 오르니 KB금융그룹의 BIS비율도 15.09%로 15.14% 상승했다.

국민은행 BIS비율
*KB금융그룹 2018년 상반기 경영실적 발췌

은행의 자본적정성 지표인 BIS비율은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으로 계산된다. 이 때 자기자본은 기본자본과 보완자본(Tier2)으로 구성된다. 기본자본은 실질 순자산으로 영구적 성격을 지닌 자본금, 자본준비금, 이익잉여금 등을 말하며 보완자본은 후순위채권 등 부채성격을 띤 자본을 뜻한다. 기본자본에서 우선주, 신종자본증권 발행액 등을 제외한 게 보통주자본비율이다.

국민은행의 경우 우선주와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 적이 없어 보통주자본과 기본자본이 동일하다. 6월 말 기본자본비율과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4.84%로 전분기(14.90%)대비 떨어졌다. 그럼에도 BIS비율이 상승했다는 것은 보완자본이 늘었다는 의미다. 실제로 보완자본비율은 0.91%에서 1.05%로 올랐다.

이는 지난 4월 중 3000억원 규모의 조건부자본증권을 발행한데 따른 것이다. 조건부자본증권은 부실기관 지정 등 유사시 상각(상각형)되거나 보통주로 전환(전환형)되는 조건이 붙은 채권이다. 국민은행이 발행한 것은 상각형으로 전액 보완자본으로 인정된다.

국민은행 자기자본 구성

그동안 국민은행의 보완자본은 급감하는 추세였다. 지난 2016년 3월 말 보완자본 규모는 3조104억원에서 지난 3월 말 1조5236억원으로 2년 만에 반 토막이 났다. 제도변경으로 대손준비금이 기본자본으로 재분류된 데다 후순위채무가 급격히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 2012년 4월부터 2013년 8월에 걸쳐 발행했던 후순위채권의 자본인정한도 차감기간이 도래한 탓이다.

만기 5년 이상 후순위채는 100% 보완자본으로 인정되나 잔존만기 5년 이내인 후순위채는 발행금액의 20%씩을 해마다 보완자본에서 차감한다. 국민은행은 2015년부터 자본차감 기간이 돌아오기 시작했다.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을 발행한 것도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