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 KCGI '적대적 M&A' 아니어도 불편한 이유 14년 장기투자, 주요계열사 견제와 감시…오너 3세 '원스톱 경영복귀' 위협
고설봉 기자공개 2018-11-20 08:29:06
이 기사는 2018년 11월 19일 16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CGI가 19일 한진칼 지분 인수 뒤 첫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적대적 M&A 등은 없다'고 못을 박았다. 그러나 이번 발표로 오히려 한진그룹 후계구도에 다양한 변수가 생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KCGI는 한진칼의 경영활동에 대한 감시와 견제에 충실할 것이란 계획을 밝혔다. 또 저평가 된 계열사들의 가치 제고에 힘쓸 것을 명확히 했다. 투자기간은 최장 14년이 될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KCGI는 "일각에서는 KCGI 1호 펀드가 전격적으로 9%를 취득한 것을 들어 경영권 장악의 의도로 해석하고 있는데 이 또한 사실과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적대적 M&A 등은 없다고 못을 박았지만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등 오너일가의 우군이 아니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KCGI는 오히려 "중기적 투자로 지배구조 개선, 기업가치 제고, 지속가능경영 및 주주이익 증대를 도모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번 KCGI의 입장 발표로 명확해진 부분은 투자 의도다. KCGI는 우선 14년 장기 펀드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장기적으로 한진칼에 투자해 계열사 등의 저평가된 가치를 끌어올려 투자수익을 얻겠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이어 가치 제고의 대상도 열거했다. KCGI는 "한진칼은 한진그룹의 지주회사로 대한항공, 진에어, 한진, 칼호텔네트웍스 등의 주요 계열사들을 지배하고 있는 회사"라며 "이들 계열사들은 유휴자산의 보유와 투자지연 등으로 매우 저평가되어 있으며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을 통한 기업가치 증대의 기회도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
이번 KCGI의 입장 발표는 향후 조 회장 및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 등 오너일가의 후계 승계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된다. 기존처럼 한진칼 지분을 토대로 조 회장 및 조 사장 등이 누리던 계열사 장악력은 일부분 위협받을 것으로 보인다.
KCGI가 구체적으로 명시한 가치 훼손 자회사는 대한항공, 진에어, 한진, 칼호텔네트워트 등이다. 이들 계열사는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가 각각 경영수업을 받던 핵심 계열사다. 일선에서 물러난 조 전 부사장과 조 전 전무가 향후 경영복귀를 한다면 또 다시 이들 계열사가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대한항공은 조원태 사장의 발판이다. 대한항공에서 경영수업을 마치고, 경영 전면에 나서 회사를 이끌고 있다. 향후 조 회장으로부터의 경영권 및 그룹 승계에 있어 조 사장에게 가장 중요한 발판이다.
KCGI가 대한항공의 가치가 저평가 됐다고 발표하고, 향후 가치 제고를 위한 견제와 감시를 명확히 한 부분은 조 사장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조 사장이 대한항공에 대한 주요 의사결정권을 쥐고 역량을 발휘하는 데 있어 KCGI의 견제는 사실상 부담스러운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조현아 전 부사장의 경우도 향후 경영복귀 가능성이 더 낮아졌다. 2014년 '땅콩회항' 이전부터 조 부사장은 칼호텔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경영수업을 했다. 사건이 불거진 뒤 잠시 활동을 중단했고, 올해 초 경영복귀 했다. 그러나 동생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의 '물컵 갑질'이 불거지면 동반 사퇴했다. 향후 또 다시 경영복귀를 할 경우 조 전 부사장의 발판은 칼호텔네트워크다.
진에어도 상황이 비슷하다. 진에어는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가 임원으로 등재돼 경영수업을 받던 곳이다. 이 곳은 사실상 조 전 전무의 활동 무대였고, 후계 승계를 위한 토대였다. 하지만 '물컵갑질' 이후 조 전 전무는 진에어 등기임원에서 사퇴했다. 조 전 전무의 경우도 경영복귀를 하게 된다면 진에어로 돌아올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KCGI는 지속적인 견제와 감시를 할 것으로 밝혔다. 그 기간도 최장 14년이다. 향후 한진칼을 발판으로 KCGI는 계열사 경영 전반에 대한 경영 투명성 강화 요구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조 회장 일가도 기존처럼 대표이사, 이사회 멤버 등에 진입하는 것이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에스넷시스템, 시스코 주최 세미나 참여
- [Company Watch]회생 딛고 올라선 원일티엔아이, 10년간 알짜 이익
- [Company Watch]지란지교시큐리티, 순손실 배경 'SSR' 영업권 손상
- 삼성·LG 'OLED TV' 확전에 정철동 웃는다
- '펀딩 3관왕' 트리거투자, 조력자 '유경원 상무' 눈길
- [VC 투자기업]뱅카우, 22일 4호 공모청약…5호부터 복수계좌 도입
- [thebell interview]황상연 HB인베 PE본부장 "차별화된 투자·밸류업 방점"
- [VC 투자기업]이플로우, 프리시리즈A 시동…독일법인 세운다
- [VC 투자기업]아토리서치, 적자 확대에 IPO 시계 늦춰졌다
- [동상이목(同想異目)] '아보하' 시장이 그립다?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변곡점 맞은 해운업]대한해운, 실적 성장보다 '가파른' 재무구조 개선세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그룹 벌크 이끄는 대한해운, 호황기 지났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 '자생력'에 베팅했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옥상옥’ 그룹 지배구조, 개편 없이 그대로 간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한화 합병 안한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새정부 출범 대응 고심, '무게 실리는' 재계 대관조직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오션 지분매입·에어로 유증, 이사회 투명성 지켜졌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회장의 '과감한' 결단, 승계 속도 높였다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상선에 '건설사 붙이기' 그 성과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