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시장, 中 자본 밀물 국내 내년 친환경차 의무 판매제 검토, 테라테크노스 등 기업 입질
신상윤 기자공개 2019-06-11 11:00:00
이 기사는 2019년 06월 11일 08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중국이 전기차 시장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한국 내 생산기지 조성과 더불어 전기차 배터리 등 관련 기술을 확보한 기업들을 물색 중이다. 중국 정부가 전기차 보급에 공을 들이고 있는 가운데 무역전쟁 여파로 미국 활로가 막히면서 한국 기업 사냥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10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초 '친환경 차 의무 판매제' 도입을 검토 중이다. 매년 자동차 판매량의 일정 비율을 전기차 및 수소차 등으로 판매하도록 하는 제도다. 미국은 지난 2005년, 중국은 올해 각각 도입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는 '전기차 굴기' 정책을 필두로 관련 산업을 장려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중국 기업들이 주도하는 중이다. 지난해 중국 내에서만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의 절반에 달하는 125만 대가 팔렸다. 올해는 160만 대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다.
전기차 관련 기술은 중국 기업들이 한국을 넘어선 상황이다. 최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친환경 자동차 전시회 'EV 트렌드 코리아'에서는 중국의 전기차들이 국내외 방문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대규모 자본을 앞세워 전기차 관련 기술을 확보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송과자동차(Songuo Motors)는 한국 건원건설과 합작법인 'SNK모터스'를 설립해 대구에 전기차 공장을 만들었다. 올 하반기부터 전기차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또 다른 중국의 전기차 기업 체리자동차는 코스닥 상장사 나노스와 함께 군산 새만금 산업단지에 대규모 전기차 공장 설립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차 배터리 관련 기술 확보에도 나섰다. IB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투자전문기업은 코스닥 상장사 삼원테크의 자회사인 테라테크노스 투자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테라테크노스는 전기차 배터리인 리튬이온배터리의 원재료인 산화규소(SiOx)를 개발하는 업체다. 삼원테크는 향후 40년 간 테라테크노스가 생산, 판매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독점 권한을 갖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면서 최근 한국의 관련 기술을 가진 기업들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가 전기차 등 친환경차 의무 판매제 등을 도입하게 되면 기술 등에서 앞선 중국 기업들이 국내 시장을 잠식할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원트랜스폼과 파트너쉽 체결
- hy, 계절 맞춘 '잇츠온 박속 연포탕' 신제품 출시
- 'e빔 전문' 쎄크, 수요예측 흥행...IPO 공모가 최상단 확정
- [i-point]미래아이앤지, 수협은행에 'SWIFT ISO20022' 솔루션 공급
- 넥슨 '카잔' 흥행 비결은 '보스전·최적화·소통'
- [WM 풍향계]"금 팔까요? 살까요?" 엇갈리는 문의 급증
- 오라이언 이성엽, '메자닌' 안목 적중…코벤 성과 눈길
- 제일엠앤에스, CB 투자 운용사 어쩌나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표대결 아닌 설득에 초점…트러스톤 '대화형 주주행동'
- 연금 통합한 우리은행 WM그룹, 컨설팅 파트 간판 바꾼다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SK에코플랜트, 하이닉스발 수주 효과 '기대감'
- [디벨로퍼 리포트]엠디엠그룹, '서리풀·해운대' 앞두고 숨 고르기
- [이사회 분석]동신건설, 베일에 가린 오너3세 대표로 등장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삼성물산 건설부문, 수익성 견인한 공사비 협상력
- [디벨로퍼 리포트]빌더스개발원, 첫 매출 '이천 부발역 에피트' 촉진 관건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현대건설, 발주처 증액 협상 난이도 높아졌다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사업 다각화 성과 수익성 개선 효과로
- [thebell desk]삼호개발의 도전과 발전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지에이이노더스, '현대건설' 이탈 후 홀로서기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