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글로벌얼터너티브펀드 해지 결정, 투자금 지급 20일 수익자총회서 의안 가결…비유동자산 7% 내년 6월 말까지 현금화 작업
정유현 기자공개 2020-10-22 08:02:11
이 기사는 2020년 10월 20일 13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달 환매가 중단됐던 키움글로벌얼터너티브가 펀드 환매 재개와 상환금 지급을 위한 투자신탁 해지가 결정됐다. 펀드 청산이 결정되면서 수익자들은 별다른 환매 요청 없이 투자금을 돌려받게 된다. 다만 당장 현금화가 불가능한 자산은 내년 6월까지 처리해 돌려준다는 방침이다.20일 키움투자자산운용은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3층에서 수익자 총회를 열고 '키움글로벌얼터너티브증권투자신탁[혼합-재간접형]' 관련해 △ 1호 의안 : 환매의 재개 및 일괄 환매 △ 2호 의안 : 상환금 등 지급을 위한 투자신탁 해지의 건을 의결했다.

펀드의 총 수익자 수는 3만3625명, 수익자 총 좌수 3036만8959만주다. 이날 수익자총회에는 수익자는 52명이 참석했다. 참석한 수익자들의 수익증권 좌수는 22억9897만6536좌다. 서면으로 의결권 행사를 한 수익자들은 1529명으로 좌수는 572억좌를 넘는다.
이날 수익자총회는 환매 중단 관련 수익자들의 질문 세레가 이어지며 당초 순서대로 행사가 진행되지는 못했다. 시작 후 참석 의결권을 집계하는 시간이 지체되자 수익자들은 순서 변경을 요청했고 김기현 CIO의 환매 중단 상황 및 향후 계획에 관한 발표를 먼저 들은 후 50여분 간 질의 응답이 진행됐다.
이후 의안 투표가 진행됐고 10분 후 결과가 발표됐다. 1호 의안은 찬성 의견이 594억좌를 넘었고 반대 3818만좌 대 기권 2864만 좌 대로 찬성이 출석자수의 99.9%를 차지했다. 2호 안건도 찬성이 589억좌를 넘었고, 반대 589만좌 대로 찬성이 99%를 넘었다.
원안대로 의안이 가결되면서 키움글로벌얼터너티브 펀드는 23일 해지되고 일괄 환매 처리된다. 9월 말 기준 펀드 운용 규모는 약 3336억원 규모다.
키움글로벌얼터너티브 펀드는 해외 펀드들을 재간접으로 담아 분산투자하는 공모펀드로 다수의 판매사들의 러브콜을 받으며 인기를 끌었던 상품이다. 하지만 이 펀드에서 투자한 프랑스자산운용사 H2O자산운용의 'H2O멀티본드'와 'H2O알레그로' 펀드에 대해 프랑스 금융당국이 8월 말 자산 동결 조치를 내리자 지난달 7일부터 일시적으로 환매가 중단됐다.
환매 중단 후 키움투자자산운용은 H2O멀티본드와 H2O알레그로 펀드의 사이드 포켓팅을 진행하고 나머지 부분을 정상 거래가 재개된 첫 날 (10월 13일) 전부 환매 청구해 16일자로 현금화(전체 자산의 93%)를 완료했다. 사이드 포켓팅은 보유자산 일부의 부실, 유동성 부족, 적정 밸류에이션 산정이 어렵게 됐을 때, 해당 자산을 포트폴리오 내 다른 자산과 분리하는 것을 뜻한다. 환매 작업 이후 남아있는 두 펀드의 사이드 포켓은 각각 3.9%, 3.1%로 총 7%다.
H2O자산운용은 7%에 대해서는 2021년 6월말까지 순차적으로 매각을 하기위해 개별계약을 체결했고 점진적으로 현금화 작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자산이 회수가 될때마다 즉시 수익자별 지분에 따라 현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해당 계약에 차질이 생길 경우 투자자 이익 보호를 최우선 원칙으로 다른 대안을 모색해 신속한 자산 현금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입장이다.
키움투자자산운용 측은 "환매 연기로 고객님께 불편을 끼쳐드려 대단히 송그스럽게 생각한다"며 "모든 역량을 경주해 펀드 자산관리에 만전을 기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환매 대응할 수 있도록 회선을 다하겠다"고 마무리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승계 키워드 '내부 거래'…4세 경영도 준비
- [Company Watch]테크 전략의 핵심 하이브IM, 적자에도 '5000억 밸류'
- [i-point]신성이엔지,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기술 공개
- [윤석열 대통령 탄핵]금융지주, 불확실성 해소로 밸류업 탄력받나
- [윤석열 대통령 탄핵]원화, 단기 강세 흐름…변동성 확대 '촉각'
- [윤석열 대통령 탄핵]동력 잃은 금융 정책…백지화 가능성도
- [여전사경영분석]롯데캐피탈, 총자산 다시 늘었다…수익성도 방어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자산 84% 수도권 쏠림…M&A 구조조정 대상 '속출'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신한캐피탈, 한도 관리 세분화…PF 중심 고위험 자산 초점
- 63주년 맞은 캠코, 후임 사장 임명은 안갯속
정유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 데자뷔는 아니다' K뷰티, '기회의 문' 열리나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ODM 사업 확장 레버리지 활용, 재무 건전성은 '양호'
-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최종환'호 파라다이스, TSR 연계 보상 제도 도입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
- 롯데그룹, 지속 가능 성장 가속화…'AI·글로벌' 방점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K뷰티 밸류체인 수직 통합, 연매출 1000억 '정조준'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남양유업, 체질 개선 노력 결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최종환 파라다이스 대표 "장충동 호텔 투자, 재무 여력 충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