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오너가 7명, 작년 보수 금액은 정몽구 명예회장, 퇴직소득 수령 탓 총액 급증…정의선 회장·정태영 부회장 순
김경태 기자공개 2021-04-09 08:26:04
이 기사는 2021년 04월 07일 15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차그룹 오너가(家) 중 계열사 경영에 참여하며 5억원 이상의 보수를 받은 인물은 2019년과 마찬가지로 총 7명이다. 정몽구 명예회장이 퇴직소득을 받아 압도적인 1위를 나타냈다. 그의 장남 정의선 회장, 사위인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이 뒤를 이었다.작년말 기준 현대차그룹 계열사는 총 55곳이다. 사업보고서를 통해 보수 5억원 이상을 받은 임직원으로 공개된 인원은 총 81명이다. 이중 현대차그룹 오너가는 7명으로 전년과 변화가 없었다.
정 명예회장은 오너가를 포함한 전체 인원 중 보수금액이 가장 많았다. 현대차에서 550억1500만원, 현대모비스에서 17억3400만원을 각각 받았다. 총 567억4900만원이다. 2019년에는 2곳에서 총 70억4000만원을 수령했는데 8배 정도 늘었다.
이는 현대차에서 퇴직소득을 받았기 때문이다. 정 명예회장은 작년 3월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났다. 10월에는 그룹 회장직을 정 회장이 이어받고 명예회장으로 추대됐다.
정 명예회장은 현대차에서 47년을 근무했다. 현대차는 퇴직소득을 산정할 때 임원근속연수와 지급률을 곱해 산정한다. 이로 인해 총 527억3800만원의 퇴직소득이 잡히면서 작년에 수령한 급여가 급격히 증가했다.
정 회장은 그의 부친의 뒤를 이어 보수금액 2위를 기록했다. 현대차에서 40억800만원, 현대모비스에서 19억7200만원을 받았다. 총 59억8000만원이다. 2019년에는 51억8900만원이었는데 증가했다.
작년 정 회장의 보수가 늘어난 것은 직급 변동이 영향을 미쳤다. 그는 작년 10월 수석부회장에서 그룹 회장으로 공식 취임했다. 10월13일까지는 수석부회장 직급의 급여가, 다음 날부터는 회장 직급의 급여를 받았다.
근로소득 중 급여 외에 상여는 9억4600만원으로 전년(7억5000만원)보다 늘었다. 다만 2019년에는 장기근속에 따른 포상금과 진료비 등을 이유로 기타 근로소득 1억5200만원을 수령했지만 작년에는 받지 않았다.

정 회장의 뒤를 이은 3위는 정 부회장이다. 그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금융사인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대커머셜 3곳에서 보수를 받았다. 각각 16억9500만원, 14억3100만원, 13억6100만원이다. 총 44억8700만원으로 2019년(39억8900만원)보다 12.5% 늘었다.
정 부회장은 작년 상반기만 해도 정 명예회장과 정 회장보다 많은 금액을 수령했다. 하지만 정 명예회장의 퇴직소득 수령, 정 회장의 회장 취임 등으로 순위가 뒤바뀐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정 부회장은 금융 3사 외에도 임원으로 이름을 올린 계열사가 있다. 자신이 최대주주(지분율 73.31%)인 서울피엠씨(PMC)의 사내이사다. 이곳은 부동산 관리가 주력인 계열사로 사업보고서는 공시하지 않고 있다.
정 명예회장의 차녀이자 정 부회장의 부인인 정명이 현대커머셜 총괄대표는 15억400만원을 받았다. 장녀 정성이 이노션 고문(사내이사)은 14억8700만원을 수령했다. 정 회장의 사촌으로 현대비앤지(BNG)스틸을 경영하는 정일선 사장과 정문선 부사장은 각각 13억9400만원, 9억100만원을 받았다.
오너가 7명이 작년에 받은 보수 금액 합계는 725억200만원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정 명예회장을 제외한 6명이 받은 금액 합계는 157억5300만원으로 전년보다 7.2% 늘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증권사 생크션 리스크 점검]톱10 중 제재 최다 신한증권, 내부통제로 달라질까
- [Deal Story]동원시스템즈, 계열 실적 안정성 통했다
- [Deal Story]한화호텔앤드리조트 공모채 2배 수요 확보 '완판'
- [발행사분석]롯데리츠, 마트 담보 공모채 발행…조달비용 감축 기대
- [Deal Story]한숨돌린 고려아연, 뜨거웠던 시장 반응에 안도
- [키스트론 IPO]밸류 목표 PER 10배…일본서 피어그룹 찾았다
- [발행사분석]대웅제약 차입 확대, 조달 간격 줄였다
- [대한조선 IPO]예비심사 청구 초읽기, 이사회 내부 정비 완료
- 뉴로핏, 밸류 마지노선 '미전환 CB'로 결정될까
- 토스증권 보드 멤버에 CFO 합류, 흑자 유지·미국 사업 '의지'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