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A, 판교 랜드마크 '알파리움타워' 매각 추진 주관사 선정 작업 착수, 가격 최소 7000억 거론
김경태 기자공개 2021-08-13 07:59:50
이 기사는 2021년 08월 12일 17:4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싱가포르계 부동산투자사 에이알에이(ARA)코리아가 성남 판교에 소재한 알파리움타워 매각에 나선다. 최근 판교 오피스시장이 활황을 맞이하면서 매각금액이 7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주관 자격을 따내기 위한 부동산자문사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진 상태다.12일 부동산투자업계에 따르면 ARA코리아는 지난달 마지막 주 부동산자문사에 알파리움타워 매각주관사 선정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배포했다.
국내 최상위권 자문사 대부분 제안서 준비에 여념이 없는 상태다. 그간 프라임급오피스빌딩 매각자문에서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던 일부 대형회계법인도 매각주관사 선정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는 후문이다.

알파리움타워는 판교 C2-2, C2-3블록에 지하 3층~지상 13층 2개 동으로 만들어졌다. 2015년에 완공됐다. 연면적은 12만3699㎡(3만7485평)이다. 애초 주인은 알파돔시티였다. 이 곳은 판교에 초대형 복합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2008년 설립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롯데건설, GS건설 등이 주요 주주다.
알파돔시티는 2016년 알파리움타워 매각을 추진했다. 2016년 8월 진행된 매각 본입찰에 국내외 투자자 11곳이 출사표를 던지며 흥행했다. ARA가 최종 인수후보자로 낙점됐고 이듬해 초 거래를 마무리했다. 매입가는 5279억원이다.
ARA는 부동산투자회사(리츠)를 조성해 알파리움타워를 매입했다. 해당 리츠의 최대주주는 한국교직원공제회로 지분율은 39.6%다. 이 외에 파인트리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과 농협생명보험이 10.8%씩 갖고 있다. 싱가포르에 소재한 ARA리얼에스테이트(Real estate)는 지분 10.01%를 보유하고 있다. 리츠 운용은 ARA코리아가 맡았다.
알파리움타워는 안정적인 임차 관리 덕분에 매해 꾸준히 이익을 남겼다. 작년 연간 영업수익은 320억원이다. 영업이익은 189억원, 당기순이익은 167억원이다. 현재 임대가능면적의 약 93%가 채워진 상태다. 우량 임차인이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현재 주요 임차인으로는 엔씨(NC)소프트가 있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2031년까지 계약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판교 오피스 시장은 서울의 도심권역(CBD), 강남권역(GBD), 여의도권역(YBD)과 더불어 '한국의 4대 업무지구'로 불릴 만큼 성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게임, IT 등 신성장산업의 대기업들이 대거 둥지를 틀면서 공실률이 서울의 주요 권역보다 낮은 수준에 형성됐다.
이 때문에 부동산자문사 사이에서도 알파리움타워의 거래 성사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향후 매각 입찰에는 안정적인 코어(Core) 자산에 투자하는 부동산운용사, 증권사 위주의 참여가 예상된다.
알파리움타워의 매각가로 최소 7000억원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ARA알파리움리츠가 소유한 건물 연면적(11만2253㎡)에 단순 대입하면 평(3.3㎡)당 2061만원 수준이다. 부동산자문사 사이에서는 최근 판교 오피스 시장을 고려할 때 평당 2500만원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경우 총 금액은 8000억원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브이티지엠피, 日라쿠텐 '연간 5억엔 돌파상' 수상
- 현실세계로 나온 '메이플 월드', Z세대에 인기
- 쏘카, 기업밸류 1.5조 '파격적'으로 낮췄다
- [IPO 그 후]브랜드엑스 이수연 대표, 꾸준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 국보 "美 레드힐, 600억대 라이선스·로열티 현금 확보"
- [IB 프로파일]'섬세한 IPO 전략가' 최신호 한국증권 본부장
- [2022 정기 신용평가]'명암' 뚜렷한 신용카드사, 핵심은 '이자비용 관리'
- [VC 경영분석]SV인베, '대형펀드 운용+글로벌 투자' 전략 통했다
- 4년차 신생 에이벤처스, 'AUM 2200억' 돌파
- 전고체 승부수 띄운 삼성, 배터리도 반도체처럼 '2030'?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최적 타이밍' 롯데몰 광명점 딜클로징, 교공·과기공 '방긋'
- 베어링PEA, PI첨단소재 인수금융 조달 '불확실성' 뚫을까
- [남양유업 M&A 법정다툼]갑자기 등장한 '재매각시 우선협상권', 2주만에 소멸
- [로펌 빅7 M&A 전략]김진오 김앤장 변호사 "글로벌 톱티어 책임감, 차별화된 자문 강화"
- [로펌 빅7 M&A 전략]법률시장 개방 맞선 김앤장, ‘단 하나의’ 월드클래스
- 한앤코, SKC PET필름사업 인수자금 조달 구조 '고심'
- IFC 파는 브룩필드, 초유의 ‘3차 입찰’ 패착되나
- '북미 부동산 타격' 미래에셋운용, IFC 딜클로징 변수되나
- '해외 투자 경고음' 미래에셋운용, '4600억' 워싱턴DC 빌딩도 파나
- '불확실성 고조' 미래에셋운용, 미국 1750K 빌딩 매각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