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인베스트먼트, 김정민 단독대표 체제로 조명우 각자대표 퇴사 조직 재정비, 4년만에 1인 대표 복귀 '경영타격 미미'
이윤정 기자공개 2022-01-10 13:17:36
이 기사는 2022년 01월 07일 13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기술금융회사 메가인베스트먼트가 단독대표 체제로 전환됐다. 각자대표인 조명우 대표가 퇴사를 하면서 4년만에 다시 단독대표로 정비됐다.7일 벤처캐피탈업계에 따르면 메가인베스트는 김정민 단독대표로 체제가 변경됐다. 그동안 각자대표로 호흡을 함께 한 조 대표가 회사를 떠나면서 자연스럽게 단독대표로 전환됐다.
메가인베스트먼트는 2012년 메가스터디가 설립한 신기술금융회사다. 메가스터디 최대주주인 손주은 회장이 출자한 설립 자본금 200억원과 별개로 김 대표 본인도 지분을 출자해 설립부터 주도했다.
LG반도체를 거쳐 1995년 일신창업투자에 합류한 김 대표는 우리기술투자,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등에서 투자 심사역으로 활동했다. 김 대표는 우리기술투자 시절 메가스터디에 투자를 단행한 주인공이기도 하다. 이때의 인연이 메가인베스트먼트 설립으로까지 이어졌다.
김 대표 취임 이후 메가인베스트먼트는 적극적인 펀드레이징에 나서며 빠르게 운용자산(AUM)을 늘렸다. 2021년 더벨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메가인베스트먼트의 벤처조합 운용자산 규모는 1775억원에 이른다. 대규모 펀드 결성으로 빠른 외형 성장을 이루면서 설립 7년만인 2019년 메가인베스트먼트는 조명우 당시 전무를 대표이사 겸 최고투자책임자(CIO)로 승진하면서 각자대표 체제를 구축했다.
김 대표가 IT와 서비스업 분야에 대한 초기기업 투자 전문가라면 조 전대표는 플랫폼, 모바일, 커머스, 바이오, 콘텐츠 분야에 스패셜리스트다. 특히 한국컴퓨터통신, 알티캐스트, 기업은행, IBK투자증권 등에서 근무하며 기업금융, 자산운용, 기업공개(IPO) 등의 경험까지 겸비하고 있다. SV인베스트먼트와 우리기술투자를 거쳐 2016년 메가인베스트먼트에 합류했다.
김정민·조명우 각자대표 전환을 기점으로 메가인베스트먼트는 파트너간 수평화된 의사결정 구조를 갖췄다. 직급에 상관없이 대등한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투자를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어 2020년부터 투자 본부를 2본부 나눠 각각 김대표와 조 전 대표가 맡아 운용을 해 왔다.
메가인베스트먼트는 이미 각자대표로 조직이 운영돼 온 만큼 큰 변화는 없을 것이란 설명이다.
메가인베스트먼트는 관계자는 "투자 결정에 있어서는 의견 교류가 있었지만 딜 소싱 등은 개별적으로 이뤄져 왔다"며 "이번 조 대표 사임이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지분 매각 끝 TCC스틸, 승계작업 본격화하나
- [i-point]폴라리스AI파마, 도메인 특화 AI ‘제약 ASK-Doc’ 개발 '박차'
- [IR Briefing]'전기차 전력변환 부품사' 모티브링크 “현대차와 인도 진출"
- [i-point]휴림로봇, 자율이동로봇 시장 확대 본격화
- [컨콜 Q&A 리뷰]'관세 태풍' 앞에 선 포스코, 일단은 '침착 모드' 유지
- [IR Briefing]LG화학, 'CAPEX' 또 줄인다...양극재 캐파 조정
- 'KDDX' 다시 고개드는 분할건조 "불가능" vs "선례 있어"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영풍-MBK, 순환출자 해소보다 법적대응 먼저 나선 배경은
- [Earning & Consensus]'최대 실적' 한국타이어, '영업익 32% 급증' 배경은
- 최태원 회장-올트먼 CEO 3차 회동…AI동맹 급물살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