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빅3' 디오, 경영권 매각 다시 궤도 오른다 크레디트스위스 주관사 유지, 오스템임플란트 매각 반사이익 주목
감병근 기자공개 2023-02-14 08:25:30
이 기사는 2023년 02월 13일 15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인 임플란트 전문기업 디오의 경영권 매각 작업이 다시 본격화되고 있다. 작년 8월 기존 경영권 매각 계약이 해제된 지 6개월여 만이다. 오스템임플란트에 이어 디오까지 주인이 바뀌면서 국내 임플란트 시장의 지각변동이 이어질 지 주목된다.13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크레디트스위스는 최근 디오 최대주주인 나이스투자파트너스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지분 29.6%를 매각하기 위해 제한된 인수후보군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진행 중이다. 크레디트스위스는 2021년 디오 경영권 매각이 추진된 이후 주관사 지위를 줄곧 유지해오고 있다.

디오 기존 주주 측은 작년 경영권 매각이 무산된 이후에도 주관사를 교체하지 않고 새 주인을 찾는 작업을 지속해온 것으로 파악된다. 작년에는 휴젤 창업자로 잘 알려진 홍성범 상하이서울리거 회장이 이끄는 세심 컨소시엄이 디오 경영권 인수에 근접한 바 있다.
세심 컨소시엄은 작년 3월 기존 주주들의 보유지분(26.4%)에 신주(9.8%)를 더해 디오 지분 36.2%를 3064억에 인수하기로 주식매매계약(SPA)까지 체결했다. 하지만 같은 해 8월 이 계약은 해제됐다. 계약이 해제된 원인으로는 작년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펀딩 난항, 디오의 주가 하락 등이 거론됐다.
지난해 4월 4만원대를 오르내렸던 디오 주가는 최근 2만원 초반대에 형성돼 있다. 시가총액은 3600억원 수준이다. 이를 적용하면 이번 매각 대상 지분의 시장 가치는 1200억원 가량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대규모 신주 발행 등이 연계되지 않는다면 이번 경영권 매각 대금 규모는 작년 해제된 계약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PEF 운용사 유니슨캐피탈코리아와 MBK파트너스가 인수를 추진 중인 오스템임플란트에 이어 디오까지 주인이 바뀌며 임플란트 시장에 큰 변화가 일어날 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디오는 오스템임플란트, 덴티움과 함께 국내 임플란트업체 ‘빅3’로 평가된다.
디오는 2021년 매출 1500억원, 영업이익 348억원을 기록했다. 2019년부터는 포르투갈, 터키, 이탈리아, 러시아법인 설립을 마무리하며 유럽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중부CC 매각 속도전, 홀당 가격 100억 가능 관측
- 글랜우드PE, 3호 펀드 1조 규모로 내달 1차 클로징
- [LP Radar]'역대 최대 출자' 산재기금, PEF 시장 존재감 커진다
- 대형 조선사, SK오션플랜트 관심 배경 '신규 야드'
- '3조 몸값 반토막' 젠틀몬스터, 구주 거래 밸류 떨어진 이유는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몸값 6000억 현실성 있나 'PE들 회의적'
- '1조 몸값에 구주 취득' 룩소티카, 젠틀몬스터 지분 20% 확보
- 신생 코발트인베-VCM 컨소, 엠플러스운용 인수 완주할까
- 애경그룹, AK플라자 대신 중부CC 파는 이유는
- IMM인베, 1.5조 목표 '10호 인프라펀드' 조성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