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Index/포스코그룹]주춤한 철강사업, 그룹 매출 뒷걸음질[외형과 수익성/매출]①8개 계열사 합산 4조 감소, 포스코퓨처엠은 43% 성장
고진영 기자공개 2024-01-04 07:40:59
[편집자주]
기업은 숫자로 말한다. 매출과 영업이익 기반의 영업활동과 유·무형자산 처분과 매입의 투자활동, 차입과 상환, 배당 등 재무활동의 결과물이 모두 숫자로 나타난다. THE CFO는 기업 집단이 시장과 투자자에 전달하는 각종 숫자와 지표(Financial Index)들을 분석했다. 숫자들을 통해 기업집단 내 주목해야 할 개별 기업들을 가려보고 기업집단의 재무 현황을 살펴본다. 이를 넘어 숫자를 기반으로 기업집단과 기업집단 간의 비교도 실시해봤다.
이 기사는 2023년 12월 28일 11시30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파이낸셜 인덱스(Financial Index)란?[외형과 수익성]
①매출
매출은 기업 영업활동의 대표적인 결과물이다. 외형 변화를 들여다볼 수 있는 가장 기본적 잣대라고 볼 수 있다. 매출은 시장 환경에 크게 영향 받지만 회사 전략에 따른 증감도 만만치 않다. 올해 포스코그룹의 매출 변화를 주요 계열사별로 살펴본다.
올해 포스코그룹은 차세대 동력으로 밀고 있는 포스코퓨처엠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9월 말 매출이 40%대 성장률을 보이면서 역대 최고 성적을 찍었다. 간판회사 포스코의 경우 두자릿수 매출 증가율을 나타냈지만 분할 전 포스코홀딩스로 인식된 몫까지 감안하면 철강사업 외형은 도리어 감소했다.
포스코 다음으로 규모가 큰 포스코인터내셔널 역시 매출이 5조원 가까이 뒷걸음질해 그룹 전반의 실적을 끌어내렸다.
주요 계열사는 포스코그룹의 상장사 6개(포스코홀딩스,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퓨처엠, 포스코DX,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엠텍)와 포스코, 포스코이앤씨 등 8개 회사의 주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했다. 다만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는 별도 재무제표를 봤다.
THE CFO 집계에 따르면 포스코그룹 8개 계열사의 합산 매출은 올 9월 말 기준 70조7243억원을 기록했다. 포스코의 종속회사인 포스코스틸리온과 포스코엠텍을 제외하고 셈한 수치다. 작년 9월 말(75조292억원)과 비교해 5.7%(4조3048억원) 줄었다.

매출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계열사는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인터내셔널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이 기간 매출이 7조9962억원에서 1조2685억원으로 84.1%(6조7277억원) 역성장했다. 순수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의 수입원은 계열사에서 받는 배당금과 브랜드 사용료, 임대료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제일 비중이 큰 배당금수익을 보면 1년 동안 오히려 늘었다.
올 9월 말 포스코홀딩스의 배당금수익은 작년 9월 말(4191억원)보다 7000억원가량 많은 1조1132억원이다. 배당금수익이 증가했는데도 매출이 줄어든 이유는 지난해의 경우 분할 전 발생했던 철강매출이 7조2623억원 잡혔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 3월 포스코를 물적분할로 떼어내면서 철강사업이 이전됐다.
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매출이 지난해 9월 말 30조233억원에서 올 9월 말 25조2234억원으로 16%(4조7999원) 줄었다. 2020년 21조원대였던 연매출이 2022년 약 38조원으로 급증했는데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1년간 매출 감소분만 합쳐도 11조5000억원을 넘는다.

반면 포스코DX(옛 포스코ICT)와 포스코퓨처엠은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였다. 포스코DX는 7105억원에서 1조1302억원으로 59.1%(4198억원), 포스코퓨처엠은 2조5211억원에서 3조6140억원으로 43.4%(1조929억원) 불었다. 특히 포스코퓨처엠은 2021년 연매출이 1조9895억원 수준이었는데 2022년 3조3019억원으로 급증했고 올해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그룹의 기둥인 포스코를 보면 올 9월 말 매출 32조95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26조9140억원)보다 19.3%(5조1815억원) 많다. 하지만 지난해의 경우 3월 초 분할이 완료되기 전까지 약 2개월간 낸 매출 약 7조원이 포스코홀딩스로 반영됐다. 이 금액을 더하면 포스코의 지난해 9월 말 매출은 약 34조원으로 늘어난다. 올 들어 매출이 사실상 줄었다고 볼 수 있는 셈이다.
포스코의 종속 자회사인 포스코스틸리온과 포스코엠텍 역시 1년간 매출이 각각 11.2%(1109억원), 4.8%(125억원) 감소했다. 올 9월 말 기준 두 회사의 매출은 각각 8765억원, 2475억원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폴라리스AI-식스팹, 국내 엣지컴퓨팅 시장 공략 협력
- [온코크로스 AI 신약 사업화 전략]대표급 'BD' 추대 의미, '사업화' 중심 의사결정 올인
- 기아, 전기차 목표 '내리고' 하이브리드 '올리고'
- 한화·LG, 한전과 영등포 데이터센터 구축 '맞손'
- [thebell note]찜찜했던 한진칼 주총
- [캐시플로 모니터]한일시멘트, FCF 순유입 전환…환경투자 '지속'
- [i-point]에스넷시스템, 시스코 주최 세미나 참여
- [Company Watch]회생 딛고 올라선 원일티엔아이, 10년간 알짜 이익
- [Company Watch]지란지교시큐리티, 순손실 배경 'SSR' 영업권 손상
- 삼성·LG 'OLED TV' 확전에 정철동 웃는다
고진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밸류업 성과 평가]조선업 활황에…HD현대그룹 상위권 '독식'
- [the 강한기업/현대그린푸드]분할 2년, 외형 대신 얻은 순현금
- [the 강한기업/현대그린푸드]범현대가 급식소…'해외 성장 활로' 열렸다
- [이자비용 분석]LG디스플레이 '조단위' 이자 탈출…재무개선 신호탄
- [이자비용 분석]이마트 삼킨 이자비용, 5000억이 전부일까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IPO자금 들어온 엠앤씨솔루션…보유현금 왜 줄었나
- [재무전략 분석]'긴축 모드' LG헬로비전, 1000억대 추가 손상 배경은
- [상장사 배당 10년]포스코홀딩스, 18년 전으로 돌아온 배당규모 사정은
- [the 강한기업]'고생 끝에 낙' 오는 DN오토모티브
- [유동성 풍향계]'승승장구' 올리브영, 6000억대 사옥 인수 체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