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쿼터스, 삼정KPMG 손잡고 '바르닭' 분리 매각 시동 패션 · 뷰티 사업 집중 포석, 관련 업종 내 이익창출 유일
임효정 기자공개 2024-01-31 08:09:30
이 기사는 2024년 01월 30일 11:38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메디쿼터스가 닭가슴살 브랜드 바르닭이 포함된 푸드사업부를 분리 매각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를 위해 삼정KPMG를 주관사로 선정하고 마케팅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번 분리 매각은 기업공개(IPO)에 앞서 주력 섹터인 패션·뷰티 분야에 집중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메디쿼터스가 푸드사업부를 떼내는 작업을 추진한다. 포괄적 영업 양수도를 하는 방식이다. 주관업무는 삼정KPMG가 맡았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4/01/30/20240130083804124.png)
푸드사업부에는 닭가슴살 브랜드인 바르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메디쿼터스가 바르닭을 론칭한건 2019년이다. 이후 성장을 거듭하며 지난해 자사몰 가입자수 100만명을 돌파하기도 했다. 바르닭 이 외에도 닭가슴살 브랜드인 작심닭, 단백질 음료 브랜드인 더프랩, 이너뷰티 브랜드인 닥터리브, 제로 음료수 브랜드인 제로아워 등이 포함됐다.
푸드사업부 주력 브랜드인 바르닭은 관련 업계 내에서 유일하게 이익이 나고 있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다. 계육 시세가 상승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이익을 낼 수 있었던 데는 선제적으로 공급망을 관리한 영향이 컸다. 주요 도축사를 통해 직접 구매하며 수급이 불안정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가격 통제력을 끌어 올렸다. 이와 함께 신제품을 기획해 제조사 로스율을 줄이며 원가관리에 힘썼다.
충성고객도 주효했다. 바르닭의 경우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사몰 가입자수가 100만명을 돌파하며 안정적인 매출을 견인하고 있다. 향후 국내 가금류 가공식품 시장이 연평균 9%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톱티어로서 성장성이 높다는 평가다.
메디쿼터스는 푸드사업부 매각으로 패션과 뷰티사업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2016년 설립된 메디쿼터스는 플랫폼과 브랜드 빌더기업으로, 현재 2개의 플랫폼과 10여개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운영 중인 대표 플랫폼은 누구(NUGU)와 마이루핏(MYROUFIT)이다. 패션과 뷰티사업에 집중하면서 현재 IPO를 준비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신테카바이오, 항암제 물질 발굴 계약 "6조 시장 공략"
- 삼성의 AI 신약 기업 투자 속내, 플래그십과 협력 강화
- 비브스튜디오스, 스냅파이 중국 현지 진출
- [Red & Blue]밥캣 놓친 두산로보틱스, 과제로 남은 '신뢰 회복'
- [Financial Index/대한항공]아시아나 잔여 영구채 1.2조 처리 방안은
- 에스엘에너지, 최대주주 우호 지분 과반 확보
- 한컴그룹, 의료 소외계층 무료 진료 사업 후원
- 시지메드텍, '노보시스 트라우마' 식약처 품목 허가
- 크레버스, 120억 '영구 교환사채' 발행
- 파라텍, 서산소방서에 전기차 화재진압장비 기부
임효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보령, '바이젠셀' 지분 절반 매각…내년 풋옵션 유력
- 새마을금고, 'M캐피탈 인수' 승인…이달 SPA체결 유력
- [2024 이사회 평가]'참여도·정보접근성 준수' 락앤락, 경영성과는 아쉬움
- [2024 이사회 평가]아세아시멘트, 대표-의장 미분리…구성·평가·견제 미흡
- 제이더블유앤파트너스, '중우엠텍' 인수 완료
- '프리드라이프 베팅' KKR, 10%대 수익률 거둔다
- [M&A인사이트]김 산업 엑시트 사례, M&A시장의 이정표 된다
- [M&A인사이트]빛난 PMI 전략, 김 산업의 경쟁력 재구성
- '프리드라이프 매각' VIG, 8년 만에 상조업 엑시트하나
- [M&A인사이트]'검은 반도체' 김 산업, M&A로 생태계 바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