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사업재편 2.0]㈜한화 아래로 모이는 계열사들, 승계 밑그림 나왔다1년 반 사이 한화갤러리아·모멘텀·신설지주, 자회사로 새출발
조은아 기자공개 2024-04-08 09:35:26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4일 07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가 모멘텀 부문을 100% 자회사로 물적분할하기로 했다. 독립법인으로 출범해 이차전지 사업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한화의 현재 조직구조를 볼 때 설득력이 있는 얘기다.다만 이게 전부는 아니다. 한화그룹은 몇 년 사이 계열사 및 사업부 이합집산을 통해 사업구조를 재편하고 있는데 승계와 떼어놓고 보기 어렵다는 게 재계의 시각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한화는 이사회를 열어 모멘텀 부문 물적분할 안건을 결의했다. 다음달 임시 주주총회를 거쳐 오는 7월 초 모든 절차가 완료될 예정이다. 모멘텀 부문은 현재 배터리 소재 가공에서부터 전극-조립-포메이션-모듈팩 공정에 들어가는 설비 라인업을 갖추고 국내외 배터리 기업에 턴키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한화 안에는 모멘텀 부문 외에 건설 부문, 글로벌 부문 등 3개의 사업 부문과 모든 사업 부문을 아우르는 전략 부문이 있다. 사업적 관련성이 높지 않은 부문들이 한 곳에 모여있어 사업 추진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클 수밖에 없었다. 앞으로 한화모멘텀(가칭)으로 독립하면 경영에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차전지 사업이 최근 몇 년 사이 가장 뜨거운 사업으로 떠오르면서 한화그룹 역시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현재 성장이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갔긴했으나 먼 미래를 놓고 볼 때 성장성만큼은 확실하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한화그룹은 이차전지를 만드는 과정에 직접 진출하진 않았지만 이차전지를 만들 때 필요한 설비를 제조하며 간접적으로 사업에 진출했다.
이번 분할은 물적분할로 이뤄진다. 모멘텀 부문이 따로 떨어져나와 한화의 100% 자회사가 되는 구조다. 효율성 물론 높아질 것으로 보이지만 최근 이뤄진 한화그룹 일련의 사업구조 재편을 보면 단순히 효율성만을 위한 작업은 아니다.
최근 몇 년 사이 한화그룹의 사업구조 재편 과정을 살펴보면 기존 다른 회사 안에 속해있거나 다른 회사 아래 놓여있던 회사들이 ㈜한화 아래로 속속 모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승계와 연결짓는 이유도 여기에있다. ㈜한화 아래 여러 계열사들이 병렬로 놓여있는 구조에선 계열사 분배가 쉬워지기 때문이다.

㈜한화는 김승연 회장이 22.65%(보통주 기준)로 최대주주에 올라있다. 김동관 부회장이 4.44%, 김동원 사장이 1.67%, 김동선 부사장이 1.67%를 보유 중이다. 지분율 차이가 있지만 김승연 회장의 지분이 어디로 흘러가느냐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가 존재한다.
한화그룹은 지난해 한화솔루션 안에 있던 한화갤러리아를 인적분할을 통해 독립시켰다. 이를 통해 ㈜한화가 한화갤러리아의 최대 주주에 올랐다. 인적분할을 통해 분할할 경우 기존 최대 주주가 분할 후에도 그대로 유지된다.
최근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인적분할을 통해 신설지주를 만들고 이 회사에 한화정밀기계와 한화비전 지분 100%를 넘기기로 했다. 신설지주의 최대주주 역시 ㈜한화다. 최근 1년 반 사이에만 ㈜한화 아래 한화갤러리아, 신설지주, 한화모멘텀이 새롭게 자리잡은 셈이다.
세 회사 모두 김승연 회장의 삼남인 김동선 부사장이 가져갈 가능성이 높다는 점 역시 공통점이다. 몇 년 전 까지만 해도 유통 사업 정도만 그의 몫으로 분류됐으나 최근 로봇 사업, 기계 사업, 레저 사업 등으로 조금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조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은행권 신지형도]어느덧 10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 시장 판도 변화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통합 2년차 KB프라삭은행, 희비 엇갈려
- KB금융 부사장 1명으로 줄었다, 배경은
- [은행권 신지형도]김기홍 체제 3기, 전북·광주은행의 전국구 공략법은
- KB금융, 자회사 기타비상무이사 선임 관행 깼다
- [은행권 신지형도]출범 10개월, 아이엠뱅크는 메기가 될 수 있을까
- 주요 금융지주 보유목적 '단순투자'로 하향한 국민연금, 배경은
- 삼성생명, 올해 세전이익 목표는 1조9500억
- [은행권 신지형도]위협 받는 지방 맹주, BNK의 해법은
- 진옥동 신한 회장 성과 평가 프로세스, 한층 더 정교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