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League Table]'선두' KB 주춤하자, NH 바짝 추격...500억차 선두경쟁[ECM/유상증자]NH증권, 3분기 딜 몰아쳐...대신·한투, 3위 싸움도 주목
안정문 기자공개 2024-10-02 09:31:09
이 기사는 2024년 09월 30일 16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주식자본시장(ECM)의 유상증자 선두경쟁이 치열하다. KB증권과 NH투자증권의 주관실적 차이가 500억원 정도밖에 나지 않는다.3위 싸움 역시 볼만하다. 대신증권을 한국투자증권이 200억원 차이로 뒤쫓고 있다.
3분기 누적 공모 유상증자 시장의 거래규모는 조934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0.6% 줄었다. 3분기 발행이 80% 넘게 줄었던 것이 영향을 미쳤다.
◇KB증권 상반기 이어 3분기 말 선두, NH 바짝 뒤쫓아
더벨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2024년 1~3분기 국내 유상증자 주관실적 1위 하우스는 KB증권이다. 7건을 맡아 6903억원의 실적을 쌓았다. 3분기 새롭게 추가한 주관실적은 없다. KB증권은 1분기에 LG디스플레이와 대한전선 등 대형 딜을, 2분기에는 유니슨과 HLB생명과학, 신라젠 등 중소형 유증을 주관했다.
주관실적 순으로는 LG디스플레이 3231억원, 대한전선 1542억원, 신라젠 1032억원, HLB생명과학 732억원, 유니슨 305억원 등이다. 1분기에 이어 상반기 순위도 지난 3월에 있었던 LG디스플레이의 1조2925억원 규모 유상증자가 결정지었다. 1~4위 증권사들은 모두 LG디스플레이 유상증자 주관을 맡았던 곳이다.
2위는 5건에 걸쳐 6390억원을 기록한 NH투자증권이다. 3분기 2건의 유상증자를 주관하면서 1위 KB증권과 격차를 줄였다. 3분기에는 7월19일 발행된 1071억원 규모 에코앤드림, 7월23일 발행된 415억원 규모 퀄리타스반도체의 유상증자를 주관했다.
3위는 대신증권으로 5214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에는 7월19일 엑시콘(333억원), 8월6일 하나마이크론(824억원)의 딜을 주관했다. 4위 한국투자증권은 5020억원으로 대신증권을 추격하고 있다. 3분기 추가한 주관실적은 215억원 규모의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건이다.
5위는 미래에셋증권(2477억원), 6위는 SK증권(1001억원), 7위는 아이엠증권(862억원), 8위는 삼성증권(642억원), 9위는 유진투자증권(424억원), 10위는 LS증권(232억원), 11위는 한양증권(182억원)이다.
◇3분기 유증 딜 급감
2024년 3분기 누적 공모 유상증자 시장의 거래금액은 2조9347억원이다. 2023년 같은 기간 4조2266억원과 비교하면 30.6% 줄었다. 3분기 발행이 대폭 줄었던 것이 전년비 규모 축소에 영향을 미쳤다. 2024년 3분기 유상증자 시장 거래 규모는 4615억원으로 82% 줄었다.
3분기 누적기준 리그테이블에 집계된 공모 유상증자 딜은 30건이다. 10위까지 발행 규모 순으로 정렬하면 상반기 딜이 주를 이룬다. LG디스플레이(3월14일) 1조2925억원, 대한전선(3월19일)4623억원, 에코앤드림(7월19일) 1071억원, 신라젠(6월25일) 1032억원, 일진전기(1월30일) 935억원, 후성(4월18일) 826억원, 하나마이크론(8월6일) 824억원, HLB생명과학(6월24일) 732억원, 삼성에프엔리츠(9월20일) 642억원,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6월27일) 558억원 등이다. 7~9월 유상증자는 11건이다. 에코앤드림(1071억원)을 제외하면 모두 1000억원 이하의 딜이다.
조단위 딜이었던 LG디스플레이의 유상증자는 상반기에 이어 3분기 말의 주관순위도 결정지었다. 이 유증은 일반청약 경쟁률 827.38:1을 기록하면서 흥행했다. 성공의 비결로는 최대주주인 LG전자의 참여와 대표 주관사단의 활약 등이 꼽힌다. 주관사단은 LG디스플레이 성장을 강조했다. LG디스플레이는 유증자금을 중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미래 사업 경쟁력 강화 관련 시설투자와 OLED 고객기반 확대 및 원재료 매입에 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키움증권 리테일 훼손 우려…이틀새 시총 2400억 증발
- 더본코리아, '노랑통닭' 인수 포기 배경은
- [i-point]탑런에이피솔루션, LG디스플레이 장비 공급 업체 등록
- [트럼프 제재 나비효과 '레드테크']한국 울리는 적색경보, 차이나리스크 확산
- [i-point]티사이언티픽, 파트너스 데이 성료…"사업 확장 속도"
- [i-point]빛과전자, 국제 전시회 참여 "미국 시장 확대"
- [탈한한령 훈풍 부는 콘텐츠기업들]잠잠한 듯했는데…JYP엔터의 중국 굴기 '반격 노린다'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권준혁 NW부문장, 효율화 vs 통신품질 '균형' 숙제
- [저축은행경영분석]PF 늘린 한투저축, 순익 2위 등극…사후관리 '자신감'
- [저축은행경영분석]'PF 후폭풍' OK저축, 대손상각 규모만 3637억
안정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국증권 이사회 백영재 합류, 사외이사는 2년 연속 감소
- 건설기계기업 호룡 IPO 나선다…실적·재무흐름 긍정적
- 홈플러스의 주장을 등급에 반영해보면
- [thebell League Table]"고맙다 현대차증권" 1건으로 NH증권 선두
- [thebell League Table]KB증권 여전한 강세, 홀로 2500억대 실적 쌓았다
- [Rating Watch]HD현대중공업 A+ 등극, 계열사 등급상향 릴레이
- 쌍용C&E 만기구조 단기화, 금융비용 부담됐나
- [Deal Story]OCI 3배 주문 확보, 언더금리는 확보 못해
- [나우로보틱스 IPO]피어그룹·추정 실적 수정, 희망밴드는 그대로
- 리스크관리 방점 유화증권, 이사진에 전문가 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