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League Table]KB, '규모·의미' 압승…뒤쫓는 SK, SKT에 '올인'[DCM/ABS] 주관액 2.6조 상회 KB증권 '선두'…SK증권 SKT 3건 통해 '2위'
윤진현 기자공개 2024-10-02 09:01:41
이 기사는 2024년 09월 30일 16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자산유동화증권(ABS) 시장에서 KB증권의 독주가 이뤄지고 있다. 2조6000억원대의 주관 실적으로 선두를 차지했다. 딜 규모는 물론이고, 의미도 고루 갖춘 트랙레코드를 선보였다.랜드마크 딜인 현대캐피탈 공모 ABS 딜이 그 예다. 국내 기업 최초로 ESG 인증을 받은 ABS에 업계 전반의 이목이 쏠렸다.
후발주자들도 막판 스퍼트를 단행했지만, 순위를 뒤집는 건 쉽지 않았다. ABS 시장의 전통 강호 SK증권은 이번에도 2위에 머물렀다. SK증권은 SKT의 단말기할부채 주관 업무만으로 실적을 내고 있단 점에서 눈여겨 볼 만하다.
◇선두는 역시 'KB'…SKT 유동화 싹쓸이, SK증권 역전 '역부족'
더벨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KB증권의 2024년 3분기 ABS 주관액은 총 2조6251억원이다. 이는 전체 발행액(11조874억원)의 23.7%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주관 건수 역시 27건으로 타 하우스들과 비교해 가장 많았다.
KB증권은 3분기에도 단말기 할부채와 캐피탈 할부·대출채를 적극 주관했다. 유플러스의 매출채권 유동화(유플러스파이브지제칠십육차유동화전문) 및 바바리아스카이코리아 유동화사채 등을 주관했다.
눈길을 끈 건 현대캐피탈의 ABS다. 현대캐피탈이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ESG 인증을 받은 ABS 공모 발행에 성공했다. KB증권도 대표주관사단으로서 파트너 역할을 맡았다. 공모 규모가 6000억원에 달했던 만큼 KB증권은 이 딜로만 3000억원의 주관 실적을 쌓았다.
게다가 KB증권은 3분기 막바지인 9월 26일과 27일 양일간 약 6592억원의 주관 실적을 추가로 쌓았다. 신용보증기금과 바바리안스카이코리아 ABS 딜을 추가하면서 선두를 지킬 수 있었다.
KB증권을 바짝 추격한 건 SK증권. 1조8570억원의 주관 실적으로 16.75%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선두와의 격차는 7681억원에 달했다. SK증권의 2위 수성이 놀라운 배경은 주관 건수에 있다.
단 9건의 주관 실적으로 2위를 지켰다. SK텔레콤의 단말기할부채 유동화에 참여한 덕분이었다. 1월부터 9월까지 '티월드제 95·96·97·98·99·100·101·102·103차유동화전문'만을 연이어 주관하며 건재한 영업력을 보여줬다.
◇3위 쟁탈전 치열, 승자는 한투증권…신한증권 4위 수성
3위권 싸움이 특히 치열했다. 신한투자증권과의 경쟁에서 결국 승기를 잡은 건 한국투자증권이다. 한국투자증권은 2024년 3분기 누적 기준 1조3430억원의 주관 실적을 거뒀다. 신한투자증권(1조3051억원)과의 금액 차이는 단 400억원에 불과했다. 점유율로 보면 0.4%p 차이가 났다.
2024년 7~9월, 단일 분기 기준으로 보면 신한투자증권이 한국투자증권을 앞섰다. 신한투자증권은 2건의 주관건수로 5166억원을 달성했는데, 한국투자증권은 3건의 딜을 따내 3352억원을 기록했다.
치열한 접전이었으나, 상반기 치열하게 주관 실적을 쌓아온 한국투자증권을 완전히 앞지르는 건 쉽지 않았다. 한국투자증권이 2024년 딜 다양성 측면에서도 선두를 점했다. 무려 18건의 주관 건수를 달성했는데 신한투자증권(6건)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다.
한국투자증권은 매년 1조~2조원대의 주관 실적을 기록하는 하우스였다. 특히 2023년 4위에 오른 후 본격적으로 순위경쟁에 집중하고 있다.
이렇듯 2024년 3분기까지 ABS 시장에서는 단말기 매출채권 유동화 딜이 주류를 이룬 가운데 딜 다양성이 순위를 갈랐다. 캐피탈 채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으로 기초자산이 구성됐다.
발행 건수와 절대량 모두 늘어나는 추세다. ABS 발행 규모는 총 11조875억원으로 2023년 동기(10조6134억원)과 비교해 감소했다. 발행 건수는 총 224건으로 2023년 3분기 누적 기준 건수(218건)보다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엔무브 IPO]상장 앞두고 실적 '주춤'…밸류 영향줄까
- [세미파이브 IPO]삼성 파트너와 결이 다르다…해외 피어그룹도 '거론'
- [thebell League Table]LG CNS IPO 효과...KB증권 왕좌 탈환 성공
- [thebell League Table]랜드마크 딜 섭렵 씨티증권, '7연패' 기틀 다졌다
- [세미파이브 IPO]6년간 매출 성장률 '120%'…에쿼티스토리 '가산점'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계열 시너지+메가허브로 성장성 어필
- [IB 풍향계]IPO '빅3' 떠오른 삼성증권, 코스피 빅딜로 기세 이어갈까
- 토스, 최초 연간 흑자 달성…앱 출시 10년만에 성과
- [세미파이브 IPO]2분기 예심 '가닥'...코스피 vs 코스닥 최적 전략 고심
- [Korean Paper]'순식간에 70억달러' 석유공사…달러채 재개 선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