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네트웍스 AI 스텝업]조직 전열 '가다듬고' 계열사간 시너지 '강화'①해외 AI 스타트업 지분 인수+펀드 출자…미국 투자법인 '전열 재정비'
박완준 기자공개 2024-12-26 07:54:42
[편집자주]
SK네트웍스는 그룹의 인공지능(AI) 사업의 한 축을 맡고 있다. 직물 사업을 시작으로 종합상사, 렌털까지 차곡차곡 영역을 넓힌 경험을 활용해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SK네트웍스는 내년 AI 제품 상용화에 나선다. 이를 위해 올 연말 국내뿐 아니라 해외 자회사까지 경영의 초점을 AI로 맞췄다. 더벨은 SK네트웍스의 AI 사업 확장을 다각도로 점검해 봤다.
이 기사는 2024년 12월 19일 16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네트웍스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인공지능(AI)을 낙점하며 차근차근 바닥을 다지고 있다. 올해는 SK렌터카 등 주력 사업을 매각해 현금을 확보하는 등 신사업 확장의 포석을 마련했다. 아울러 AI 분야의 해외 유망 스타트업 지분을 사거나 관련 펀드에도 출자해 기반을 다지는 데 힘을 쏟았다.SK네트웍스는 내년부터 AI 사업 확장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 연말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국내 신사업 발굴 조직의 명칭을 바꾸고 전사 차원의 AI 사업 지원과 연계 비즈니스 발굴 등의 역할을 부여했다. 아울러 내년 초 미국 투자법인 하이코캐피탈의 사명 변경을 검토하는 등 AI 사업 진출을 위한 전열 재정비에 나선 모습이다.
◇국내 조직부터 개편…AI 중심 사업모델 전환 가속

엔코아는 27년 업력을 보유한 데이터 관리 솔루션 기업이다. SK네트웍스가 지난해 10월 951억원에 인수했다. SK네트웍스는 엔코아 인수로 AI 기술 개발 역량과 인력 부족 문제를 한 번에 해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올해 계열사로 편입된 후에는 B2B·B2G용 생성형 AI를 개발에 힘쓰며 SK네트웍스의 AI 전략과 시너지를 내는데 교두보 역할로 떠올랐다.
아울러 SK네트웍스는 미래 먹거리 발굴과 투자 관리 등의 업무를 맡고 있는 신성장추진본부를 'AI본부'로 개편했다. AI본부는 신성장추진본부의 기능을 계승하면서도 본사와 자회사 전반의 AI 사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AI와 연계한 신규 사업 발굴과 투자 등도 수행한다. AI본부는 유봉운 경영지원본부장이 총괄한다.
SK네트웍스는 내년부터 계열사와 협력해 AI 기반의 사업 모델을 출시 계획하고 있다. 핵심 계열사인 SK매직에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SK매직은 올 3분기 누적 영업이익 769억원을 거두며 SK네트웍스 영업이익(773억원)의 99.5%를 차지하는 등 전사 수익성을 견인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SK매직은 내년 초 엔코아의 빅데이터 기반 AI 기술을 기존 사업에 접목해 AI 웰니스 플랫폼을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SK네트웍스의 AI 기술 개발 전문 조직 '피닉스 랩'에서도 SK매직의 AI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신제품은 AI 기술이 적용된 정수기와 공기청정기, 반려동물, 헬스케어 등의 영역이 될 전망이다.
◇'AI 거대 시장' 미국 공략…투자법인 사업 전면에
SK네트웍스는 내년 초부터 미국 내 투자법인과 AI 개발조직의 전열을 가다듬을 계획이다. 투자법인 하이코캐피탈의 사명을 변경하고, 실리콘밸리에 구축한 피닉스랩과 협업을 강화하는 내용이 골자다. 국내 조직을 AI 중심으로 개편한 데 이어 세계에서 가장 큰 미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SK네트웍스는 내년 초 하이코캐피탈의 사명 변경을 추진한다. 사명에서 '하이코'를 다른 명칭으로 바꿔 미국에서 독립적인 투자법인 이미지를 강조한다는 목표다. 지난달 SK렌터카 지분 100%를 매각하면서 8200억원을 손에 쥔 만큼 하이코캐피탈에 대한 출자액 증가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이코캐피탈은 2020년 5월 실리콘밸리에 미국 투자전문 완전자회사로 설립된 곳이다. SK네트웍스는 하이코캐피탈에 꾸준히 출자해 올 상반기 말 기준 장부가액 1435억원을 기록했다. 하이코캐피탈은 휴메인과 스탠다드코그니션, 사반토 등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운영해 총자산은 1199억원을 기록했다.
미국 유력 벤처투자사인 보우캐피탈과 공동펀드를 조성해 운영 중인 하이코벤처스도 시너지를 모색하는 한편 AI 관련 투자도 이어갈 방침이다. 하이코벤처스는 AI, 머신러닝(ML), 로보틱스, 웹3 및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T) 등 미래 기술 영역의 유망 기업에 투자하며 미국 투자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SK네트웍스 관계자는 "AI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조직 개편을 단행하며 시너지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며 "AI 역량을 내재화하고 선진 기술 기업과의 투자 협력을 가속해 성과 창출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원트랜스폼과 파트너쉽 체결
- hy, 계절 맞춘 '잇츠온 박속 연포탕' 신제품 출시
- 'e빔 전문' 쎄크, 수요예측 흥행...IPO 공모가 최상단 확정
- [i-point]미래아이앤지, 수협은행에 'SWIFT ISO20022' 솔루션 공급
- 넥슨 '카잔' 흥행 비결은 '보스전·최적화·소통'
- [WM 풍향계]"금 팔까요? 살까요?" 엇갈리는 문의 급증
- 오라이언 이성엽, '메자닌' 안목 적중…코벤 성과 눈길
- 제일엠앤에스, CB 투자 운용사 어쩌나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표대결 아닌 설득에 초점…트러스톤 '대화형 주주행동'
- 연금 통합한 우리은행 WM그룹, 컨설팅 파트 간판 바꾼다
박완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현대차그룹, '트럼프 맨' 하원의원 영입…대미 창구 강화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美 관세에 '주가 요동'…PBR 0.26배 '역대 최저'
- 기아, 전기차 목표 '내리고' 하이브리드 '올리고'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투자 부담됐나...실적 좋은데 현금흐름 4년 연속 '마이너스'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현대차그룹 '범퍼 독점'…신사업 '배터리 케이스' 낙점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승계 키워드 '내부 거래'…4세 경영도 준비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계열사 합병후 시총 '더블업'…저평가는 '여전'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