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인사 풍향계]김영문 BNK저축 대표 연임…PF 리스크 해소 '고삐'수익성 개선 통한 손실 규모 줄여…관리 중심 내실경영 추진
김경찬 기자공개 2025-01-14 12:46:05
이 기사는 2025년 01월 10일 11시3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영문 BNK저축은행 대표(사진)가 연임에 성공했다. 김 대표는 건전성관리, 수익성 개선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BNK저축은행을 1년 더 이끌게 됐다. BNK금융그룹은 저축은행 업권의 불황이 지속되면서 김 대표의 유임으로 조직 안정화에 무게를 둔 모습이다.올해 김영문 대표의 최우선 과제는 건전성 회복이다. 건전성 제고를 위해선 선결 과제로 부동산PF 리스크 해소에 나서야 한다. 김 대표는 올해도 건전성관리에 중점을 둔 내실 있는 영업에 나설 전망이다.
◇BNK금융, 경영능력 입증 김영문 대표에 힘 실어
BNK저축은행은 최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김영문 대표를 차기 대표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앞서 BNK금융지주는 자회사CEO후보추천위원회(자추위)를 열고 김 대표를 BNK저축은행 대표 후보자로 추천했다. 연임에 성공한 김 대표의 임기는 1년으로 올해 12월 말까지다.

김영문 대표는 그룹 계열사 대표 경력도 있다. 2022년 BNK시스템 대표로 선임돼 2년간 이끌었다. BNK시스템에서는 그룹의 IT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면서 계획을 초과하는 재무실적을 지속 달성했다. 김 대표는 안정적으로 BNK시스템을 이끌며 경영능력을 인정받아 BNK저축은행 대표로 발탁됐다.
자추위는 김영문 대표에 대해 "BNK저축은행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기반을 다지며 그룹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김 대표는 지난 1년간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을 개선하며 조정영업이익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3분기까지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 42억원의 순손실을 거뒀으나 전년 동기 대비 106억원 순증했다. 이에 따른 자기자본이익율(ROE)도 6.39%포인트 개선되는 성과를 보였다.

◇PF 관리 전담팀 신설, 올해도 부실채권 조기회수 집중
김영문 대표는 연임에 성공하면서 관리 중심의 내실경영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지난해 부임하면서 부동산PF 관리라는 과제를 부여받았다. 이와 관련해 PF를 담당하는 기업금융본부를 기업금융부로 축소했으며 여신관리부 산하에는 PF지원팀을 신설했다. 기업여신 영업에 대한 집중도를 낮추고 PF 리스크관리에 무게를 둔 것이다.
기업금융에서 줄어든 수익성은 가계대출에서 회복하고 있다. BNK저축은행은 자체 개인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고도화하고 개인신용대출을 적극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지난해 9월말 기준 가계대출 자산은 8352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22.5% 증가했다. 자산 비중은 51.59%로 확대돼 가계대출 중심으로 대출 포트폴리오 재편을 이뤄냈다.
다만 부동산 관련 채권 부실로 대손 부담이 가중돼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부동산 업종 관련 고정이하여신(NPL)은 18.4%로 13%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부동산PF 사업성 재평가로 NPL자산이 600억원가량 순증하면서 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된 것이다. 사업장 부실로 연체도 884억원이 발생하면서 연체율이 15.2%에 달했다.
임기 2년차를 맞이한 만큼 김영문 대표의 어깨가 무겁다. 그룹 내에서는 비은행 계열사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BNK저축은행의 실적 반등이 필요할 때다. 손익 실현을 위해선 우선 PF 중심으로 자산건전성 회복이 요구된다. 김 대표는 올해도 부실채권 회수에 집중하며 리테일금융에서 성장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HDC현산, 용산정비창 '글로벌 랜드마크' 조성 약속
- [i-point]'글로벌 시장 공략' SAMG엔터, 배정현 총괄 영입
- [VC 투자기업]트립비토즈, 첫 감사보고서 제출…매출 성장 지속
- 삼일제약, 자사주 활용 메자닌 차환 일석이조 '재무효과'
- [VC 투자기업]CJ프레시웨이 공략한 에니아이, 매출 상승 기대감
- ]VC 투자기업]바로팜, 첫 감사보고서 제출…500억 매출 눈앞
- HLB, 포스트 리보세라닙 전열…계열사 지배구조 재편
- [이뮨온시아 IPO]의사에서 경영자로, '국산 항암 신약' 비전으로 뭉친 '원팀'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위기도 재기도 'CU06', 시력개선 효과 '자체임상' 승부수
- [VC 투자기업]'셀러 소통' 나선 발란, 정산 방안은 '오리무중'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OK캐피탈, 관리 체계 고도화 분주…사업 재편 '사활'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롯데캐피탈, 안정지향 기조가 만든 '무연체' 부동산PF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하나캐피탈, 연체 관리 전담 인력 배치…심사 체계도 강화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IBK캐피탈, 부동산PF 자산 관리 정조준…부실 전이 사전 차단
- 김정수 애큐온저축 대표의 근거 있는 자신감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BNK캐피탈, 여신감리 기능 확대…자산 손실 최소화 목표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신한캐피탈, 한도 관리 세분화…PF 중심 고위험 자산 초점
- [여전사경영분석]IBK캐피탈, 지분법 손실에 순익 '뒷걸음'…올해 GP 역량 강화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우리금융캐피탈, 잠재 위험 대비 수입차 고액여신 집중 관리
- [여전사경영분석]현대캐피탈, 친환경차 리스 중심 영업수익 확대…순익은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