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경영권 승계 '첫삽'…한화에너지 IPO '시동'①김동관·동원·동선 지분 100%…'재원 마련·지배권 확대' 동시 가능
고설봉 기자공개 2025-03-17 08:34:30
[편집자주]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인 김동관·김동원·김동선으로 경영권을 양도하는 작업이 본격화했다. 그룹사 사업부문을 나누고 지배구조를 개편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승계 재원 마련의 핵심 키로 여겨지던 한화에너지 IPO도 개시됐다. 정부와 규제 당국, 시장 관계자, 공급망 등 여러 이해관계자가 얽혀 있는 만큼 관심이 집중된다. 더벨은 한화그룹 승계전략을 분석하고 각 과정에서 풀어내야할 과제와 리스크를 점검한다.
이 기사는 2025년 03월 12일 10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그룹이 경영권 승계를 위한 첫 삽을 떴다. 재원 마련의 키로 여겨지던 한화에너지의 기업공개(IPO)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한화에너지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인 김동관·김동원·김동선이 지분 100%를 보유한 기업이다.한화에너지 IPO는 세 형제의 승계 리스크를 해소할 중요한 열쇠다. 상장 후 ㈜한화와 합병을 통해 그룹사 전체 지배력을 강화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또 상장 과정에서의 일부 구주 매출을 시작으로 상장 후 자본잉여금을 활용한 배당 등 상속재원 마련을 위한 현금창출까지 일사천리로 진행할수 있다.

◇세 형제 '꽃놀이패' 한화에너지
한화에너지는 2007년 12월 17일 한화솔루션으로부터 물적분할해 설립됐다. 여수국가산업단지와 군산2국가산단에서 열병합발전소 기반 집단에너지 사업을 하는 곳이다. 해외 태양광과 전력 리테일 등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수년간 한화임팩트, 한화파워시스템 등 계열사 및 태양광 사업 투자를 늘리며 사세를 키웠다.
다만 투자 대비 수익창출력은 크지 않다. 한화에너지는 2021년 영업손실 235억원을 낸 이후 2022년 529억원 흑자로 전환했고, 2023년에는 2150억원 영업이익을 거뒀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 3조9468억원, 영업이익 827억원을 각각 달성했다.
재무구조도 좋지 않다. 한화에너지의 연결 기준 순차입금은 2021년 말 2조7540억원에서 지난해 9월 말 4조4958억원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은 144.25%에서 154.80%로 상승했다.
한화에너지의 진정한 가치는 오너 3세들의 개인회사라는 점이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지분 50%를,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과 김동선 한화호탤앤드리조트 부사장이 지분 각각 25%를 보유하고 있다. 오너 일가가 지분을 100%를 보유한 그룹 내 유일한 회사다.
그만큼 그동안 한화에너지는 김 회장으로부터 세 형제로의 한화그룹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키 역할을 할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특히 세 형제가 지분 100%를 보유한 만큼 상속재원 마련부터 주요 자회사 경영권 지분 확보까지 전방위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한화 지배력 확대, 상속 재원 마련 '동시에'
한화에너지의 가장 큰 매력은 한화그룹 지주사 격인 ㈜한화 지분 22.16%를 보유했다는 점이다. 한화그룹 오너일가는 김승연 회장 22.65%, 김동관 부회장 5.43%, 김동원 사장 2.14%, 김동선 부사장 2.17% 등이다.
한화에너지가 IPO 이후 세 형제는 활용할 수 있는 카드가 많아진다. 우선 ㈜한화와의 합병이 단행된다면 지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한화에너지가 보유한 ㈜한화 지분이 합병 과정에서 한화에너지와 세 형제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반대로 김승연 회장의 지분율이 희석되면서 향후 상속 및 증여 대상 자산규모가 작아지면 상속세 부담도 줄어든다.
또 세 형제의 상속재원 마련에서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동안 한화에너지는 세 형제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이렇다 할 실적을 거두지 못하고 본업 경쟁력도 크게 개선되지 않으면서 큰 두각을 나타내짐 못했다. 그러나 IPO를 단행하면 우선 세 형제가 일부라도 구주매출을 통해 현금을 확보할 수 있다.
재계 관계자는 “한화에너지는 오너일가가 지분 100%를 보유한 유일한 회사로 승계 과정에서 적극 활용될 것으로 전망됐다”며 “㈜한화 지배력 강화와 상속재원 마련 등 다각도에서 세 형제에게 유리한 IPO”라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Red & Blue]'원격의료' 인성정보, 'AI 홈닥터' 추진 '눈길'
- [SK스퀘어의 새판짜기]'흑자' 인크로스, 계열사와 다른 '사업 확장' 노선
- [i-point]아이티센코어, 멀티모달 AI 기업 맥케이와 기술협력
- [i-point]포커스에이아이, '원 아이디 솔루션' 출시 목전
- [보험사 CSM 점검]삼성화재, 계리적 가정 변경 여파…물량 공세로 극복
- [금융사 KPI 점검/우리은행]정진완 행장 '개인·중기' 고객 증대에 영업력 집중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안건소위 편입 승인 논의 본격화, 관건은 '내부통제 개선'
- 우리카드, 감사위 재정비…'관 출신'으로 무게 실었다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한국캐피탈, 리테일 관리 모델 최적화…부도 위험 필터링 강화
- [애큐온은 지금]두 번의 대주주 교체, 인수합병 거쳐 복합금융그룹으로 성장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GM·르노·KGM 생존기]수입차에도 밀린 3사, 입지 좁아지는 내수시장
- [GM·르노·KGM 생존기]중견 3사의 저력, 2년 연속 '70만대 벽' 넘어섰다
- [감액배당 리포트]'실적 부진' KCC글라스, 자본준비금으로 배당재원 확대
- [감액배당 리포트]HS효성, 분리독립 첫해 배당재원 3000억 장전
- [감액배당 리포트]'세금없는' 배당, 제도 바뀌기전 자금회수 '러시'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그룹 중견해운사 버팀목 '대한해운'
- [변곡점 맞은 해운업]대한해운, 실적 성장보다 '가파른' 재무구조 개선세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그룹 벌크 이끄는 대한해운, 호황기 지났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 '자생력'에 베팅했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옥상옥’ 그룹 지배구조, 개편 없이 그대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