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3월 20일 07시5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의 오피스텔 시장은 비정상적이다. 1인 가구 증가로 임대수요가 몰리면서 임대료는 계속 오르는데 매매가격은 침체돼 있다. 디벨로퍼 사이에서는 오피스텔 개발사업이 지역을 가리지 않고 망하는 지름길로 꼽힌다."다수의 오피스텔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한 금융기관 관계자와 식사 자리에서 나온 이야기다. 그의 설명대로 현재 국내에서 오피스텔 개발은 쉽지 않은 프로젝트다. 취재 과정에서 서울 핵심지 오피스텔 개발사업도 좌초되는 것을 수도 없이 목격했다.
오피스텔 개발사업의 어려움이 임대수요 부족에서 기인한 것은 아니다. KB부동산통계를 보면 서울과 수도권은 물론 5대 광역시와 세종시가 포함된 종합지역의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2022년 1월 이후 3년 넘게 상승세를 지속하는 중이다.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임대료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임대수요 증가로 인해 공급은 필요한데 이를 매입해줄 투자수요가 부족하다는 의미다.
세법이 문제다. 현행 세법은 오피스텔을 주거용으로 사용할 경우 이를 주택으로 간주해 다주택자 중과세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중과세 대상이 되면 양도소득세는 20~30% 중과되고 8~12%에 달하는 취득세 등을 납부해야 한다. 사실상 오피스텔을 매입하지 말라는 수준이다.
다만 현재는 이들 중과세가 적용되지 않는다. 부동산경기 부양을 위해 정부가 한시적으로 중과세 적용을 유예하고 있다. 그럼에도 세법이 오피스텔 매입수요 부족의 원인일 수밖에 없는 까닭은 '한시적'이라는 표현이 가지는 리스크 때문이다. 언제든 중과세가 다시 적용될 수 있는 리스크가 있는데 오피스텔에 투자하려는 수요가 늘어날 리 없다.
2월 기준 종합지역 오피스텔의 평균가격은 2억6092만원이다. 임대수익률은 5.29%로 대출을 전혀 일으키지 않고 매입했다고 가정하면 세전으로 한달에 115만원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정도의 수익을 투기로 간주해 중과세를 부과하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 든다.
최근 건설부동산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인은 자금흐름의 문제다. 미분양으로 인해 자금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이미 적잖은 시행사와 시공사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분명한 수요가 있음에도 세법 리스크로 인해 투자가 억제되고 있는 오피스텔 부동산에 대한 세제 개편은 무엇보다 확실한 경기 부양책이 될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건설, 수익성 8% 목표…TSR 주주환원 첫 도입
-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에너지 트랜지션 리더 도약"
- [i-point]아이티센, ‘아이티센글로벌’로 사명 변경
- 토스, 최초 연간 흑자 달성…앱 출시 10년만에 성과
- 라이프 강대권, '인게이지먼트 4호' 발빠른 목표 달성
- 대신증권, 압구정에 프라이빗라운지 연다…고급화 전략 속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NH증권, 지점장도 고객자산 보유…PB 수명 연장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스타급 세무 전문가' 라인업 구축…경험 기반 컨설팅"
- 브이아이운용 세운지구 투자…포스코이앤씨·NH증권 맞손
이재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배주주순이익 30% 수준으로 배당 확대할 것"
- [PF Radar]호반건설, 자양5구역 개발사업 2700억 투입
- 대광건영, 토지 담보로 운영자금 1000억 확보
- 두산건설, 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 분양 '채비'
- '수익률 제고' 대신밸류리츠, 프리IPO 납입 완료
-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 "끼엔장신도시, 내년부터 실적 반영"
- SK디앤디, '증권사 매입약정' 사모채 발행한 까닭은
- [PF Radar]마스턴투자운용, KT청량지사 개발사업 착공 '눈앞'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평촌·송도 개발사업 정산 '기대감'
- 일성건설, 적자 배경 '선제적 충당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