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2년 07월 27일 11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했다. 공동 주관보다는 단독 주관을 맡고 싶고, 단순 주관사보다는 대표주관사 타이틀에 더 구미가 당기는 법이다.만약 복수의 증권사가 공동으로 대표주관을 업무를 맡는다면? 행정 사무주관 타이틀을 놓고 대표주관사 간에 경쟁이 벌어진다. 사무주관 업무를 담당하는 대표주관사가 주도권을 갖게 되고, 인수 물량도 보통 많이 가져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반기 기업공개(IPO) 시장의 최대어로 꼽히는 포스코특수강의 상장 대표주관사인 동양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별도의 사무주관 역할 없이 그야말로 '공동으로' 주관 업무를 담당하기로 했다.
포스코특수강의 공모규모는 최소 50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포스코그룹의 계열사라는 점 때문에 업계는 사무주관 타이틀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됐다.한국증권은 IPO 트랙레코드와 다수의 주관 경험을 앞세워 사무주관 자리를 노렸고, 포스코특수강과 네트워크가 좋은 동양 역시 사무주관 타이틀을 놓치고 싶지 않았다.
설왕설래하던 사무주관 자리는 결국 발행사인 포스코특수강의 중재로 공동으로 맡게됐다. 실사부터 거래소 상장 심사, 공모 마케팅 등 상장에 관계된 모든 업무를 함께 진행하기로 한 것이다. 인수 물량도 차등 없이 같은 비율로 가져가기로 했다.
다만 역할에 있어 약간의 차별은 뒀다. IPO 경험이 많은 한국증권이 거래소 및 금융감독원 등 유관기관과의 업무 조정에 더 신경을 쓰기로 했다. 동양은 시장분석 및 밸류에이션, 마케팅 등에 주안점을 두기로 했다.
복수의 대표주관사가 공동으로 주관 업무를 맡는 거래에 사무주관을 같이 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 업무의 효율성 차원에서 1개 증권사가 사무주관 주도권을 쥐고 대표주관 업무를 진행한다.
IB업계 관계자는 "포스코특수강처럼 공모규모가 큰 거래에서 사무주관 역할 없이 거래를 진행하는 것은 특이한 경우"라며 "한국투자증권과 동양증권이 사무주관 자리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기보다 조금씩 양보하는 차선을 택한 것 같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