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필 회장, 미샤재팬에서도 손 뗐다 작년말 지분 50% 매각·대표이사 사임…에이블씨엔씨 100% 자회사 편입
전효점 기자공개 2019-03-14 13:52:30
이 기사는 2019년 03월 11일 13:4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서영필 전 회장이 지난해 12월경 에이블씨엔씨 일본법인 미샤재팬에서 완전히 손을 뗐다. 서 전 회장은 보유한 미샤재팬 지분 50%를 에이블씨엔씨에 넘기고 대표이사에서도 동시에 물러났다. 에이블씨엔씨는 반년 만에 미샤재팬을 종속법인으로 재편입했다.11일 업계에 따르면 서영필 전 회장이 1월 에이블씨엔씨 남은 지분 2.35%를 처분하기 직전 미샤재팬에서도 완전히 물러났다. 지난해 12월 보유한 미샤재팬 지분 50%를 에이블씨엔씨에 넘기면서다. 지분 가치는 백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에이블씨엔씨는 기존 지분 50%와 서 회장 지분 50%를 넘겨 받아 미샤재팬을 100% 자회사로 편입했다. 같은 시기 서 전 회장은 미샤재팬 대표이사직에서도 사임, 이사회에서도 물러났다.
에이블씨엔씨는 지난해 7월 이후로 반년 간 미샤재팬을 종속기업에서 제외해야 했다. 미샤재팬 이사진은 IMM PE측 이사 3인, 서 전 회장을 포함한 서 전 회장측 이사 2인으로 구성돼 있었는데, 당해 6월 30일 IMM PE측 이사 1인이 사임하면서 2대 2 동수가 됐기 때문이다. 에이블씨엔씨는 지분과 이사회 어디에서도 과반을 점하지 못해서 미샤재팬에 대한 지배력을 잠시 상실할 수밖에 없었다. 서 전 회장은 당해 말까지 미샤재팬 대표직을 역임하면서 일본 사업에서 영향력을 발휘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미샤재팬은 에이블씨엔씨 종속기업 명부에 재등장했다. 서 전 회장이 보유 지분 전량을 에이블씨엔씨에 넘기고, 대표이사에서도 사임하면서다. 에이블씨엔씨는 이사회 과반과 지분 100%를 보유하면서 지배력 조건을 충족하게 됐다. 같은 시기 서 전 회장은 에이블씨엔씨 이사회 기타비상무이사에서도 사임했고, 뒤이은 1월 남은 에이블씨엔씨 지분 2.35%도 처분했다. 이로써 미샤와 서 전 회장의 마지막 연결고리가 끊어졌다.
한편 에이블씨엔씨 일본 사업은 순항 중이다. 연매출 400억원 규모의 중국 법인인 북경애박신화장품상무유한공사가 지난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것과 달리 일본은 미샤가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핵심 시장이다. 미샤재팬은 지난해 284억원의 매출, 1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2012년 이후 한류 열풍이 꺼지면서 매출이 반토막 났으나 2015년 'M 매직쿠션'이 현지에서 히트를 치면서 연매출 140억원으로 회복세에 접어들었다. 이후 2016년 273억, 2017년 282억 등을 기록하면서 반등세를 이어오고 있다.
에이블씨엔씨 관계자는 "지난해 12월부로 서영필 전 회장과 미샤재팬의 접점이 완전히 정리됐다"면서도 "미샤재팬은 올해도 지속적으로 입점처와 입점 제품 수를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021 정책형 뉴딜펀드]‘격전지’ 투자제안형, VC 11곳 깃발 꽂았다
- 현대바이오, 코로나 경구용 치료제 앞세워 '톱10' 진입
- [오너십 시프트]더블유에프엠, 영어사업 확대 승부수
- '위기 속 승계' TJ미디어, 윤나라 사장 체제 과제는
- 동화약품, M&A 이후 메디쎄이 경영진 교체 가속화
- [바이오테크 상장 Before & After]마이크로디지탈, 매출 역성장에 목표치 괴리율 80%
- [코로나 1년 제약사 성과분석]테마주의 한계, 주가 상승분 반납 대다수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상장 3년' 플리토, 전망치 대비 높은 '괴리율' 숙제
- [오너십 시프트]엔에스엔 FI, '260%' 경영권 프리미엄 베팅…엑시트 전략은
- 박상용 체제 비욘드운용, 4년만에 '적자탈출'
전효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퍼시픽글라스 매각' 아모레G, '사익편취' 대응 첫발
- '비용효율 강조' 이마트, 자회사에 실탄 2배 풀었다
- 부사장 공석 메운 황성만, 오뚜기 차기 리더십 시험대
- 쓱닷컴, 네오 개점 지연에 'PP센터' 전력집중
- 롯데제과, '어게인 2019' 글로벌 재기 기지개
- '이커머스' 재미 본 롯데제과, '고수익 채널' 전략 가동
- [이커머스 합종연횡]11번가, '아마존 동맹' 어떻게 지켜낼까
- [이커머스 합종연횡]출발부터 '주춤' 롯데온, 독자 생존 성공할까
- [이커머스 합종연횡]GS리테일, '통합 플랫폼' 달고 네이버·쿠팡 정면승부
- [이커머스 합종연횡]신세계는 왜 네이버에 손을 내밀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