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스톡]CJ CGV, 실적 개선에도 주가 전망 '먹구름'목표주가 하향, 투자의견 HOLD까지…한·중 실적 부진, 순손실 확대 영향
이지혜 기자공개 2025-02-11 08:20:12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0일 15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CJ CGV가 최근 내놓은 2024년 잠정실적을 보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늘었다. 하지만 주가 전망은 오히려 어두워졌다. 지난해 실적 확인 뒤 CJ CGV에 대한 리포트를 낸 주요 증권사들은 모두 '목표주가를 내린다'고 밝혔다.한국과 중국의 실적 부진이 주 이유다. 증권업계는 올해도 한국과 중국사업의 회복세가 더딜 것으로 내다봤다. 설상가상 총차입금이 증가하는 등 재무건전성마저 약화됐다. 당분간 CJ CGV의 주가 반등이 어려울 것이란 판단이 나오는 배경이다.
◇"6개월 내 주가 반등 어렵다"…한·중 실적개선 더뎌
1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CJ CGV가 지난해 잠정실적을 발표한 이후 리포트를 발간한 증권사는 3곳뿐인 것으로 집계됐다. 실적 발표 이전에는 약 5개 증권사가 리포트를 발간했으나 이번에는 대신증권, KB증권, 삼성증권만이 투자의견을 제시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들 세 증권사 모두 CJ CGV의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다는 것이다. 대신증권은 CJ CGV의 목표주가를 종전 1만원에서 9000원으로 10% 내려잡았다. KB증권은 7000원에서 6100원으로 14% 하향조정했다.
삼성증권은 6300원에서 5800원으로 8%가량 낮추고 투자의견을 HOLD(보유)로 유지했다. 일반적으로 HOLD는 주가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거나 현재 가격이 적정하다고 판단돼 투자를 추천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증권사의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CJ CGV의 주가가 앞으로 3~6개월 안에 반등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목표주가 자체보다는 주가의 등락 추이를 관찰하는 편이 더 의미 있다"며 "목표주가는 종종 대상 기업과의 관계를 고려해 설정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목표주가 하향의 단초는 CJ CGV가 앞서 발표한 지난해 잠정실적이었다. CJ CGV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조9579억원, 영업이익 759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6.7%, 영업이익은 54.8% 증가했다.
문제는 순이익이다. 이 기간 당기순손실은 1738억원으로 2023년 대비 적자폭이 503억원 확대됐다. 증권업계 예상치에 한참 못 미친다.
최민하 삼성증권 연구원은 “CJ CGV가 흑자기조를 이어갔지만 한국과 중국사업에서 적자를 본 탓에 전체 실적이 시장 눈높이를 하회했다”며 “재무부담이 여전히 크며 국내외에서 영화관 시장의 수요가 회복되는지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CJ CGV는 지난해 한국사업에서 76억원, 중국사업에서 161억원의 영업손실을 봤다. 한국과 중국사업은 전체 매출에서 합산 52%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큰데 증권업계의 예상보다 업황 회복속도가 더딘 것으로 분석된다. 신흥국 영화 관람객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지만 한국과 중국은 여전히 타격을 회복하지 못하는 모양새다.
◇재무건전성 부담 여전, 올리브네트웍스 자회사 편입효과 반감
주요 국가의 실적부진으로 CJ CGV는 재무건전성도 좀처럼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CJ올리브네트웍스 자회사 편입효과가 반감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용현 KB증권 연구원은 "CJ CGV가 CJ올리브네트웍스 편입에도 국내와 중국의 관람객 수 부진 지속으로 느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주가가 반등하려면 재무건전성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CJ㈜는 지난해 6월 CJ CGV에 CJ올리브네트웍스를 현물출자했다. 이에 따라 CJ CGV는 CJ올리브네트웍스를 100% 자회사로 거느리며 한동안 재무건전성이 크게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연결기준 부채비율이 2023년 말 1122.7%에서 지난해 3분기 말 392.9%로, 순차입금비율은 같은 기간 162.5%에서 66.8%로 개선됐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 한국과 중국사업 실적 악화로 이런 지표는 다시 악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부채비율은 595.2%로 상승했고 순차입금비율은 125.1%다.
이날 CJ CGV 주가는 5150원으로 장을 마쳤다. 직전 거래일 대비 주가가 0.58% 떨어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계열사 정리 나선 쌍방울 그룹]광림, 지배구조 정리 노력에도 시장 퇴출 '위기'
- [더즌 road to IPO]이중화 기술 독보적, 쿠콘·웹케시보다 높은 몸값 '자신'
- [두산스코다파워 체코 IPO]상장 후 중간지주사 청산, 지배구조 '단순화'
- [타이어업계 고환율 수혜 점검]넥센타이어, 환율 수혜 불구 '실적 후퇴'…순차입금↑
- [i-point]배터리솔루션즈, 인선모터스와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MOU
- [i-point]크레버스, 기말배당 기준일 4월 1일 확정
- [게임사 기초체력 분석]스마일게이트, 압도적 수익성 비결 '중국 로열티'
- [KT AICT 파트너]'AI 중심 파트너십' 선언, 유망기업 키워 '과실' 얻는다
- [Red & Blue]'아디다스' 성장세 탄 화승엔터프라이즈, 수혜 집중
- [Red & Blue]'자금 확충' 와이씨켐, 유리기판 핵심소재 양산 확정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퍼포먼스&스톡]'주가 전망 맑음' SM엔터, 자회사 리스크 끝났다
- [Company Watch]골프웨어로 돌파구 찾는 골프존 '기대 반 우려 반'
- [Earnings & Consensus]CJ CGV, 올리브네트웍스 편입 방어막 '약화'
- [퍼포먼스&스톡]CJ CGV, 실적 개선에도 주가 전망 '먹구름'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디어유의 엔진 버블, 글로벌화로 성장 속도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SM엔터 '슈퍼앱'의 꿈, 카카오와 이룰까
- K-컬처, 글로벌 자본의 늪
- [Company Watch]카카오엔터, 재편 속도…IST엔터 매각 단행
- [공연 티켓 파워]YG엔터 대형신인 베이비몬스터, 첫 월드투어 '순항'
- [엔터4사 실적 Preview]'공연이 살렸다' 하이브, 4분기 역대 최대 매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