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1조 신종증권 투자자, 평가손 촉각 신종증권 등급, 사실상 AA0로 하락…금리 상승시 평가손 확대 전망
임정수 기자공개 2014-06-17 09:54:33
이 기사는 2014년 06월 13일 16시1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기업평가가 포스코의 신용등급을 AA+로 하향 조정하면서 지난해 포스코 신종자본증권(이하 영구채)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평가 손실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포스코의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보유한 영구채의 신용등급은 사실상 AA0로 떨어진다. 이 경우 보유 채권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필요하고, 평가 손실도 감수해야 한다.1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의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영구채의 신용등급은 자동으로 떨어진다. 영구채는 후순위성을 갖고 있어 보통 일반 채권에 비해 한 노치(notch) 정도 낮은 등급으로 평가된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이 영구채를 대부분 사모로 발행했기 때문에 신용등급을 평가하거나 등급 변경을 공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하지만 일반 채권 등급이 하락하면 영구채는 한 노치(notch) 아래 등급으로 강등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지난해 상반기에 재무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1조 원 규모의 영구채를 발행했다. 5년 뒤 콜옵션을 행사하는 조건인 8000억 원과 10년 후 콜옵션을 행사하는 2000억 원으로 트랜치(tranche)를 나눠 발행했다. 발행금리는 각각 4.3%와 4.6% 수준이다.
당시 국내 주요 보험사들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삼성생명 삼성화재 한화생명 등이 각각 1000억~2000억 원 규모로 투자했고, 교보생명 미래에셋생명 현대해상 동부화재 메리츠화재 등의 보험사도 수백 억 원 씩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는 증권사가 인수한 뒤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으로 유동화했다.
이들 투자자들은 평가 손실 확대를 우려할 수 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다. 이날 현재 5년물과 10년물 채권의 경우 AA+ 등급과 AA0 등급 간 스프레드는 10~20bp에 불과하다. 5년 후 콜옵션이 있는 영구채의 경우 가중평균만기(Duration)를 3~3.5년 수준이라고 가정하면, 등급 하락으로 입게 될 평가손실은 대략 1000억 원 당 3억~7억 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10년물 채권의 경우 손실 폭이 좀더 크게 나타난다.
투자 회사의 규모를 고려할 때 손실 폭이 크게 부담스러운 수준은 아니다. 하지만 시장 상황이 변해 등급 간 스프레드가 확대되면 평가손실이 확대될 공산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시장 금리가 계속 하락하면서 등급 간 스프레드가 줄어들어 당장에는 등급 하락으로 인한 손실 폭이 크지 않다"면서 "향후 금리 상승 추세로 돌아서면서 등급 간 스프레드가 벌어지면 손실 폭이 확대될 수 있다"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영구채의 경우 만기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금리 민감도가 높다"면서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등급 하락에 따른 영향을 예의주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보단 우주, 보령의 R&D 가치 단 150억 '카나브' 뒷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