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Forum]"저축은행 선제적 리스크관리 나서야"[2017 금융 Forum]권남진 예보 저축은행관리부 조사지원팀장 "더 이상 외형성장 위험"
원충희 기자공개 2017-01-26 09:38:44
이 기사는 2017년 01월 25일 14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저축은행업권에서는 경기부진과 법정 최고금리 인하 압박, 건전성 규제 강화 등 비우호적인 경영환경이 지속될 전망이다. 규모와 수익성은 2011년 저축은행 부실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양극화와 특정여신 쏠림현상은 전문가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더 이상의 외형성장을 자제하고 덩치에 적합한 시스템 구축, 여신 포트폴리오 다변화, 대주주 견제장치의 실효적 정착을 위한 노력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과거 저축은행 부실행태를 반면교사로 삼아 선제적 리스크관리가 중요해진 시점이다.
|
권 팀장은 "저축은행 96개사의 데이터(2007년 3월~2015년 12월)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자산증가 속도가 빠를수록, 대출자산의 편중도가 심할수록, 최대주주의 보유지분율이 과도할수록 부실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이를 감안해 저축은행들이 사전적 리스크관리에 적극 나서야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또 "최근 저축은행 대출 가운데 자산 1조 원 이상 대형사의 비중이 53.3%(2016년 9월 말 기준)에 달하고 있다"며 "이 같은 양극화 현상은 지난 2011년 대규모 부실사태와 비슷한 추이로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실사태 당시 자산 1조 원 이상 저축은행 18개 중 12개가 퇴출됐다는 점에 비춰보면 양극화는 걱정되는 현상"이라며 "대형저축은행들은 양적성장을 자제하고 규모에 걸맞은 신용평가시스템과 여신관리체계 등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여신 측면에서는 특정자산에 편중되는 기조를 우려했다. 2014년 6월에서 2016년 9월까지 저축은행 여신행태를 보면 개인대출 비중이 33.2%에서 43%로 치솟았다. 그 중 비주택담보대출 비중은 19.2%에 달한다. 이는 부실사태 이전(2005년 6월~2010년 6월)의 행태와 비슷한 흐름이다. 당시 저축은행 대출 가운데 부동산대출 비중이 50%를 웃돌았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은 20% 이상이었다.
권 팀장은 "건설업과 PF관련 대출 및 신용대출이 증가할수록, 거액대출 건수가 많을수록 부실위험이 심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높은 자산증가율이 지속될수록 정상적인 여신심사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여신자산의 질적 제고와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대주주(오너) 지분율도 저축은행 부실행태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분석됐다. 예보가 전문가들을 통해 저축은행 대주주 지분율과 부실가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분율 50% 이상을 넘으면 부실가능성도 증가했다. 대주주의 독단을 견제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권 팀장은 "대주주에 대한 견제장치가 미흡할 경우 부실가능성이 증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금융회사지배구조법 등 지배구조 기준에 따른 조치를 강화하고 실효적 정착을 위한 노력과 사외이사 및 감사의 독립성 확보를 통한 내부통제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지금은 양적중심 성장을 지양하고 과거 저축은행 대규모 부실사태를 거울삼아 선제적 리스크관리가 중요한 시기"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 [thebell note]'시니어 창업시대'를 기다리며
- [i-point]박진수 주성씨앤에어 대표 "북미 네트워크 기반 영구자석 사업 본격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서버리스 ‘웹오피스’ GS인증 1등급
- [i-point]킵스바이오파마, 윤상배 신임 대표 합류
- [i-point]국떡, 美 특허청 상표권 등록…"글로벌 시장 본격 공략"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사외이사 주 연령은 50~60대, 남성이 76% 이상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