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배당 이어간 롯데케미칼 지주체제 편입 이후 첫 배당…롯데지주 836억·롯데물산 719억
박기수 기자공개 2019-02-14 09:08:16
이 기사는 2019년 02월 12일 18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말 외부 환경 악화로 2017년 대비 수익성이 악화한 롯데케미칼이 대폭 향상됐던 배당 수준을 올해도 유지했다. 지난해 말 수요 부진 및 정기보수 등으로 2017년보다 순이익이 대폭 줄었지만 배당 총액은 유지돼 배당 성향은 높아졌다. 최대주주가 된 롯데지주를 포함해 일본 롯데 계열인 롯데물산과 일본 롯데홀딩스도 백억원대 배당금을 받을 전망이다.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12일 이사회를 열고 보통주 1주당 1만500원을 배당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배당 총액은 3599억원이고 시가배당률은 3.7%다. 배당금 지급 예정 일자는 4월 26일이다.
롯데그룹은 2017년 중순 지주사 전환 전 합병 대상 계열사들을 대상으로 배당 성향을 2배 이상 늘리는 내용의 주주 가치 제고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지주사 전환 이후에도 롯데그룹은 주주 친화 정책을 강조해왔다. 롯데케미칼도 이에 발을 맞췄다. 롯데케미칼의 배당 총액이 눈에 띄게 늘어난 시점은 지난해 초다. 지난해 초 2017년 실적을 바탕으로 롯데케미칼은 3599억원의 배당금을 지급했다. 2017년 초에는 절반 수준도 안되는 1348억원만을 배당으로 풀었다.
올해 롯데케미칼의 배당성향 근삿값은 21.44%이다. 당기순이익 중 배당성향 산출의 기준이 되는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을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다만 해당 값이 당기순이익과는 큰 차이가 없어 실제 올해 배당성향도 21% 부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해 배당성향이었던 15.75%보다 약 5%포인트 이상 높아진 수치다.
|
롯데케미칼의 이번 배당으로 796만5201주(23.24%)를 보유해 최대주주인 롯데지주는 총 836억3461만원을 받는다. 지난해 10월 신동빈 회장 경영 복귀 이후 한국 롯데그룹의 지주사인 롯데지주는 롯데케미칼의 최대주주로 올라서며 자회사로 그룹 계열사로 편입했다. 이전의 주주 구성은 롯데물산(31.27%), 호텔롯데(12.68%), 일본 롯데홀딩스(9.3%) 등으로 이뤄져 있었다.
다만 여전히 일본 롯데그룹 계열사들의 지분율이 낮지 않은 상태다. 일본 롯데홀딩스가 56.99%, 호텔롯데가 31.13%의 지분을 보유한 롯데물산은 롯데케미칼의 지분 685만5084주(20%)를 보유해 2대 주주 자리에 올라있다. 롯데물산은 이번 배당으로 719억7838만원 가량을 받는다.
일본 롯데홀딩스 자체도 롯데케미칼의 지분 318만6000주(9.3%)를 보유해 3대 주주의 자리에 있다. 일본 롯데홀딩스는 이번 배당으로 334억5300만원을 받는다. 이외 일본 롯데홀딩스와 일본 L계열 투자회사 등이 지분 100%를 보유한 호텔롯데도 롯데케미칼의 지분 24만5351주(0.72%)를 보유해 25억원을 수령한다.
|
순이익이 늘어났다면 더 높은 배당도 기대해봄 직했다. 다만 지난해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전반적인 수요 감소와 함께 여수공장과 울산공장의 정기보수로 인한 일회성 비용 증가 등 실적 감소 요인이 많았다. 여기에 지난해 4분기 유가 급락으로 대규모 재고평가 손실이 발생하면서 전 사업 부문에서 수익성 감소가 일어났다. 지난해 롯데케미칼의 순이익은 1조6784억원으로 2017년 2조2846억원보다 26.5% 감소했다.
실제 분기별로 놓고 봤을 때 상반기 이후 모든 사업 부문에서 영업이익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4분기 올레핀 계열과 아로마틱스 계열의 영업이익은 각각 884억원, 238억원이다.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이었던 3119억원(올레핀), 968억원(아로마틱스)보다 각각 71%, 75% 감소했다. 2017년 4분기와 비교했을 때는 감소 폭이 더 크다. 2017년 4분기 롯데케미칼은 올레핀 부문에서 4529억원의 영업이익을, 아로마틱스 부문에서는 89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올해 4분기보다 약 4배가량 많은 영업이익이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미국 에탄크래커(ECC) 공장 및 말레이시아 타이탄 증설 물량 효과 등으로 수익성 강화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롯데그룹의 주주 친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동시에 주주 권익을 지속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년만에 돌아온' 초록뱀미디어, 권경훈 회장 행보 주목
- [i-point]샌즈랩, AI NDR 솔루션 일본 공급 개시
- 'PE 2년차' 오스템임플란트, 중국실적 타격 '미국·인도' 대안
- [와이바이오로직스 항암신약 로드맵]'뉴 모달리티' 도전 자신감, 원석 광산 플랫폼 'Ymax-ABL'
- [웹툰사 지배구조 점검]적자 커진 와이랩, 공격적 투자 전략 '난기류'
- [사외이사 BSM 점검]금융계열사 많은 한화그룹, '금융 특화' 사외이사 다수
- [thebell interview]"자본시장법 개정이 현실적…현 상법 체계 이상 없다"
- [ROE 분석]농협금융, 반등했지만 '여전히 은행계지주 바닥권'
- [조선업 리포트]'수주 호조' 선수금 유입에 차입금 다 갚은 HD현대삼호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잉여현금흐름 '20조' 육박…계열사 대부분 흑자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잉여현금흐름 '20조' 육박…계열사 대부분 흑자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한화에어로, 차입 조달했어도 부채비율 유럽과 '비슷'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오션 연결로 부채비율 낮췄는데…유증이 최선이었나
- [Financial Index/삼성그룹]1년새 주가 어디가 올랐나…금융사·삼성重·삼바 '미소'
- 손재일 한화에어로 대표 "유증이 최선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