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성그룹 지주사 전환]'컨트롤타워 구축' 3세 후계구도 변화 오나③독립 경영 체제 재편, 공동 겸직 시스템 변화 '촉각'
박창현 기자공개 2020-08-26 07:53:38
이 기사는 2020년 08월 21일 15:01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단재완 해성그룹 회장은 슬하에 장남 단우영 부회장과 차남 단우준 사장, 두 아들은 두고 있다. 두 아들은 10년 전 나란히 그룹에 들어와 경영 수업을 받고 있다. 아버지는 치우침이 없었다. 직책, 지분, 권한 등을 거의 똑같이 2등분 해왔다. 사실상 기계적 균형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해성그룹 3세 후계구도 역시 지주사 체제 전환이라는 변혁기를 맞이하면서 시험대 위에 올랐다. 과연 단 회장은 어떤 선택을 내릴까.해성그룹은 현재 해성산업을 중심으로 지주사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첫 단계로 제지 사업 부문만 따로 떼어내 신설법인 '한국제지'를 세울 계획이다. 5000억원대 자산을 가진 100% 자회사가 생기면서 지주비율 50%를 달성, 지주사 성립 요건이 충족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시장에선 그동안 기계적으로 진행돼 왔던 3세 후계구도에 변화가 생길지 관심을 쏟고 있다. 현재까지 단우영 부회장과 단우준 사장은 '데칼코마니'에 비견될 정도로 동일하고, 균형에 맞춰 승계 절차를 밟아오고 있다.
1979년생과 1981년생으로 두 살 터울인 형제는 어려서부터 비슷한 길을 걸어왔다. 두 형제는 나란히 미국 유학을 다녀왔고, 졸업 후에는 똑같이 삼일회계법인에서 컨설턴트로 근무했다. 2008년 장남이 먼저 경영 수업을 시작했고 곧 차남도 그룹에 합류했다.
단 회장은 동일하게 기회를 열어줬다. 일찍이 사업 영역을 분리해 독자 경영 기반을 마련해 주는 여타 그룹사들과 달리 두 형제는 항상 같은 시험 무대에 섰다. 이 기조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두 사람은 한국제지와 계양전기, 해성산업, 해성디에스 등 핵심 계열사의 사내이사로서, 이사진에 나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단 회장이 이사회 의장을 맡고 두 아들이 양쪽에서 아버지를 보좌하고 있는 형국이다. 담당 업무만 다르다. 명목상 단우영 부회장이 운영 총괄을, 단우준 사장은 전략 총괄을 맡고 있다. 제지와 산업용품, 반도체 등 사업 성격이 전혀 다른 전 영역에 걸쳐 3세들이 공동 경영에 나서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올해 지주사 체제로 전환되면, 독자적인 역할 분담이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주사 전환 목적은 일차적으로 각 사업 부문별 특성에 맞는 의사결정 체계를 확립해 조직 효율성과 책임 경영 체제를 확립하는데 맞춰져 있다.
이에 전문 경영 시스템 도입 없이 기존의 3세 공동 경영 방식을 고수할 경우, 지주사 전환에 대한 명분을 잃어 일반 주주들의 지지를 얻기 힘들고 더 나아가 추진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주사 전환이 결국 오너일가 맞춤형 지배구조 재편을 위한 행보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변화의 조짐도 보인다. 올해 인수한 백판지 전문기업 '세하' 이사진 구성 현황이 그 증거다. 단 회장은 두 아들 중 장남인 단우영 부회장에게만 등기임원 자리를 허락했다. 여기에 이사회 의장 자리까지 내줬다. 이전까지 상장 계열사의 이사회 의장 자리는 단 회장 몫이었다. 유일하게 그 권한을 장남에게 넘겨준 셈이다. 반면, 둘째 단우준 사장은 세하 미등기임원으로 전략 총괄 업무만 맡았다.
업계 관계자는 "해성그룹은 향후 단 회장과 두 아들이 지주사를 중심으로 계열사를 두루 경영하는 구도로 움직일 것"이라며 "당장 물리적인 계열 분리나 승계 작업이 진행되지는 않더라도 후계자들이 독자 경영에 나설 수 있는 토대가 조성될 여지는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넥스턴바이오·넥스아이디랩' 설립
- 소리바다, NFT 기반 차세대 '음원 플랫폼' 출시 예고
- 디쓰리쥬빌리, '환경' 포트폴리오 확장 가속도
- 티그리스인베, '영상VFX' 자이언트스텝 결실 맺는다
- 시노펙스, 마스크 'CE B모듈' 인증 획득
- 엔지스테크널러지, 감사의견 '거절' 해소 총력
- [건설사 해외사업 점검]포스코건설, 살아나는 사업본능…연간 수주 2조 육박
- [건설사 해외사업 점검]현대건설, MENA 비용처리 ‘전화위복’될까
- [건설리포트]부영주택, 4300세대 월영 미분양 사실상 완판 '수익 껑충'
- [중견건설사 재무 점검]남화토건, 민간건축 강화로 일감 가뭄 '탈출'
박창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라이브플렉스의 변신]한빛대부의 경영권 인수, '금융色' 짙어졌다
- 유씨아이 "감사 이슈, 자회사 회계 문제…적극 대응 강구"
- [오너십 시프트]'주가 급등' 바이오로그디바이스, FI 잭팟 터지나
- [유증&디테일]곳간 채운 경남바이오파마, '헬스케어' 살리기 나서나
- [유증&디테일]그룹사 재편 자금줄 된 '라이브플렉스 4회차 CB'
- [유증&디테일]김병진 회장의 '㈜장산', 그룹 지배구조 '핵' 급부상
- [코스닥 주총 돋보기]누리플랜, 창업자의 귀환…'책임 경영' 힘 싣는다
- 삼본전자, '써클 Re: 홍월침식' 론칭…마케팅 본격화
- 넥스턴, '넥스턴 바이오사이언스'로 새 출발…경영진도 교체
- [코스닥 주총 돋보기]'썬연료' 태양의 철벽 방어, 주주제안 사라졌다